애플 부사장 '한 마디'에 구글 주가 7%대 급락…'검색왕국' 덮친 위기 작성일 05-08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05iTxc6C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970b522b00ce9f72bde273f2499cfbc1d030ad802e900c60acde54aa5eee1d5" dmcf-pid="BCrBNp6Fh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AP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8/ked/20250508065104061kips.jpg" data-org-width="1200" dmcf-mid="zPfIzDYcS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8/ked/20250508065104061kip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AP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fcb8cacf0a35a827564452b64a808a36b47328bd5ef27f0e4bf32b72cb3467a" dmcf-pid="bhmbjUP3vr" dmcf-ptype="general">애플이 자사 웹 브라우저를 인공지능(AI) 검색 기능 중심으로 개편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 많은 사람이 구글 등 기존 검색 엔진 대신 오픈AI의 챗GPT 등 AI 챗봇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다. AI가 기존 검색 엔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는 우려에 알파벳(구글 모회사) 주가는 7% 이상 급락했다. </p> <p contents-hash="ede2f958b411aa61869994eb61ade6e7cfc4ca69e4e185f90345b397d591f482" dmcf-pid="KlsKAuQ0Ww" dmcf-ptype="general">에디 큐 애플 서비스 부문 수석부사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연방법원에서 열린 구글의 검색 시장 반(反)독점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오픈AI, 퍼플렉시티, 앤스로픽 등의 AI 기반 검색 기능이 기존 검색 엔진을 대체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람들이 AI를 더 많이 사용하게 된 결과 지난달 ‘사파리’(애플 웹 브라우저)의 검색량이 처음으로 감소했다”고 강조했다. 구글은 현재 사파리의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돼 있다.</p> <p contents-hash="cf2d79fda2982f43d429239b145148ed08a9211a976220670104c9b2c3f9d514" dmcf-pid="9SO9c7xphD" dmcf-ptype="general">큐 부사장은 웹 브라우저에 구글 외에도 여러 AI를 검색 엔진 옵션으로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사실도 밝혔다. 애플은 현재 사파리의 검색 엔진 기본값으로 구글을 설정하고 있다. 특히 ‘구글의 대항마’를 자처하는 AI 기반 검색 엔진 퍼플렉시티와는 이미 논의를 진행 중이고, 앤스로픽·딥시크·xAI의 그록도 탑재 대상으로 검토했다고 밝혔다. 이미 애플은 지난해 오픈AI의 챗GPT를 자체 AI ‘애플 인텔리전스’의 일부로 탑재했다. 큐 부사장은 “이들 AI를 기본 검색 엔진으로 설정하진 않을 것”이라면서도 “현재 AI 플랫폼들은 사람들이 기존 검색 엔진에서 전환할 만큼 훨씬 우수한 기능들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표준 검색에서 AI로 전환되지 않을 이유는 없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67d050bebbb77ad2477a0db1857622302567d1fe6d621f5ff2738daac1315fc3" dmcf-pid="2vI2kzMUTE" dmcf-ptype="general">그의 발언에 알파벳 주가는 급락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알파벳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7.26% 떨어진 151.38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구글이 현재 장악하고 있는 글로벌 검색 엔진 시장 주도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 이번 재판 결과에 따라 구글과의 계약이 강제 해지될 수도 있는 애플도 타격을 입었다. 앞서 이번 재판 과정에서 구글은 사파리 기본 검색 엔진 설정 대가로 애플에 2022년 기준 연 200억달러(약 28조원)를 지급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는데, 미 법무부는 이를 구글이 불법적으로 검색 시장 독점을 유지하기 위한 행위로 봤다. 애플 주가는 전일 대비 1.14% 하락한 196.25달러를 기록했다. </p> <p contents-hash="2bd968266ff2473c5d90d13d9feb62f2e5c16869b999ff3a461c45448bae378f" dmcf-pid="VTCVEqRuSk" dmcf-ptype="general">향후 글로벌 검색 시장에는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시장조사업체 스탯카운터에 따르면 지난달 구글의 글로벌 검색 시장 점유율은 89.7%에 달한다. 하지만 지난해 10월 2015년 이후 처음으로 90%의 벽이 깨진 이후 3개월째 90% 이상으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오폴로 등 일부 시장조사기관에선 챗GPT의 글로벌 검색 시장 점유율이 2%를 넘겼다는 보고서를 내기도 했다. 이 가운데 애플과의 계약이 해지될 경우 구글이 입을 타격은 더욱 클 전망이다. 길 루리아 DA데이비슨 애널리스트는 “애플에서의 독점권 상실은 추가 조치가 없더라도 구글에는 매우 심각한 타격이 될 것”이라며 “구글 검색에 대한 대안이 생긴다면 많은 광고주가 광고 예산의 상당 부분을 구글에서 옮길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p> <p contents-hash="8cd12de62e017c3044b98b3a87fe47a45bf39ab4506262d9220b49366baa8068" dmcf-pid="fyhfDBe7Cc" dmcf-ptype="general">실리콘밸리=송영찬 특파원 0full@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프듀’ 안예슬, 9일 웹툰 ‘내가 죽는 이유’ OST 발매 05-08 다음 “그거 배워서 뭐하게”...투덜대던 김부장님, 막상 AI 사용해보니 “신세계다” 05-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