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국민 앱' 넘어설까…카톡 잇는 단짝의 정체 보니 작성일 05-09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메이트 '카나나' 8일 공개<br>CBT 형태로 선착순 이용 가능<br>창작·정보 검색·일상 대화 기능<br>실시간 뉴스 관련 정보 정확도↓<br>CBT 통해 사용성·완성도 개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M49Y341W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b2f83cfbf7f39fad3f1c6e57dc1c47034804a19395594c54beae7e4d104f6be" dmcf-pid="1R82G08tv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트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속 AI 메이트 캐릭터. 사진=카카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4417jcjx.jpg" data-org-width="1200" dmcf-mid="HDDVHp6Fy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4417jcj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트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속 AI 메이트 캐릭터. 사진=카카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4c9195156b9fe3d5f6f56799c5fe3a90b9c1e75ed5ec89568729346d9a60ca2" dmcf-pid="te6VHp6FSO" dmcf-ptype="general">"저는 친구처럼 일상 대화를 나누거나 궁금한 것을 함께 찾아보거나 해야 할 일을 미리 알려드리는 등 여러 가지를 할 수 있어요."</p> <p contents-hash="ec2c215a919527d4861bf4ffcf68e3cd03544e1aedd3fb7bff48cd572d6a332f" dmcf-pid="FdPfXUP3Cs" dmcf-ptype="general">카카오가 지난 8일 비공개베타테스트(CBT) 형태로 공개한 인공지능(AI) 메이트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속 개인 메이트 '나나'는 첫 대화창을 열자 스스로를 이 같이 소개했다. 나나는 사용자와의 일대일 대화방에서만 존재하는 AI 메이트로, 일반적인 생성형 AI 서비스처럼 대화를 나누듯 이용하면 된다. </p> <p contents-hash="ec9ca22f71b6ab409d7775a7e28426af3df30830d5caf739bbc7ef00189f4f1f" dmcf-pid="3JQ4ZuQ0lm" dmcf-ptype="general">나나는 "할 줄 아는 게 뭐냐"라는 질문에 △글쓰기 △정보 검색 △언어 교정 △간단한 번역 △기분 전환을 위한 대화 등을 꼽았다. </p> <p contents-hash="56bbed27a3707d52ef4c96a788139374d501c963ff5b80688964103cb0e609d0" dmcf-pid="0z35Dl3Ilr" dmcf-ptype="general">가장 손쉽게 사용해볼 수 있는 '정보 검색' 기능을 확인했다. 나나는 날씨·증시·정보 검색 등의 가벼운 '심플챗' 기능을 제공한다. 실제로 "내일 서울 날씨 어때"라고 묻자 실시간 기상정보를 활용해 정확한 정보를 제시했다. </p> <p contents-hash="f1fedbd24852e44b4a993b7fef8dd438c845df7444e5bbcd8ff762d5dceb72f7" dmcf-pid="pq01wS0Chw" dmcf-ptype="general">다만 전날 발표된 카카오의 올해 1분기 실적을 물을 땐 2023년 1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을 다룬 과거 기사를 끌어와 답변을 내놨다. CBT 기간인 만큼 정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인 데다 '뉴스 검색' 용도에 초점을 맞춰 개발된 서비스가 아닌 점을 고려하면 공식 출시 이후 최종 완성도를 체크해봐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p> <p contents-hash="d41001d6c3b543c66fe78396f3c19745e4b383ac9b14ad370c8902920688e032" dmcf-pid="UBptrvphlD" dmcf-ptype="general">나나는 사용자 개인과의 대화 내용과 그룹방에서 오가는 사용자 정보를 활용해 답변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매일 오전 7시30분 IT 뉴스 브리핑해줘"라고 요청하면 일정을 등록하고 해당 시간에 맞춰 알림을 전달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마저도 IT 분야 최근 현안과는 동떨어진 내용을 제시했다. 나나가 먼저 제시한 사용 예시를 활용한 것임을 감안하면 역시 향후 완성도가 관건으로 보인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fd3d9d0841b0628d9356db37377cb1423faf44d8bd3e587f1310c8d9b9841f6" dmcf-pid="ubUFmTUlv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크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내 그룹방에서 '대화 지침'을 설정하는 모습. 사진=카카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5736ziyt.jpg" data-org-width="1200" dmcf-mid="Xcr4ZuQ0S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5736ziy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크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내 그룹방에서 '대화 지침'을 설정하는 모습. 사진=카카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5279a101ec66d4b87fa44bbdcbb1b1347827448f61d6b6ceafb4aa3fb019a1" dmcf-pid="7Ku3syuSCk" dmcf-ptype="general">세부적으로 보면 시·이야기·에세이 등의 창작물을 작성할 때 글쓰기 기능을 지원받을 수 있다. 문법이나 맞춤법 교정, 간단한 번역이 가능하고 학습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도 갖췄다. 사주풀이와 심리테스트와 같은 흥미 위주의 대화도 나눌 수 있다. 멀티모달이 탑재된 상태는 아니지만 PDF 파일 속 텍스트를 인식하고 그에 맞는 답변을 제시한다. </p> <p contents-hash="e14be3ecf5e682cc8dd84d7b46a0917dee430a29191db0db7f44decac5ea7133" dmcf-pid="z970OW7vlc" dmcf-ptype="general">카나나의 가장 큰 차별점은 그룹대화방에서 AI 메이트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기존 AI 서비스들은 사용자와 일대일 대화 환경에서만 작동했다. 하지만 카나나 그룹방 속에 존재하는 그룹 메이트 '카나'는 여러 사용자들이 참여한 대화방에서 대화 내용을 요약하거나 모임 일정과 장소를 정할 수 있도록 돕는다. </p> <p contents-hash="7631f553772daeb183ead5c714262d440627b558f7abf4730b44893bd2fa88ba" dmcf-pid="q2zpIYzTWA" dmcf-ptype="general">예컨대 그룹방에서 약속 장소를 정할 때 '@카나'라고 태그한 다음 계속해서 '같이 찾아줘'라고 입력하면 추천받을 수 있는 식이다. 러닝 동호화 그룹방에서 마라톤 대회 일정 관련 대화를 나눌 경우엔 해당 내용을 파악해 일정을 등록하고 사전 알림을 주거나 새로운 러닝 코스를 추천하기도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eba92b78f4fb3fe1ec197e130e535faf0ce0861a09f43ed7e254017f0a69396" dmcf-pid="BVqUCGqyy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트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내 그룹방에서 개인 메이트 '나나'와 '귓속말 모드'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카카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7044rjzk.jpg" data-org-width="1200" dmcf-mid="ZJ82G08tS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ked/20250509145007044rjz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카카오 인공지능(AI) 메이트 애플리케이션(앱) 카나나 내 그룹방에서 개인 메이트 '나나'와 '귓속말 모드'로 대화를 나누는 모습. 사진=카카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c8fc74682bddbeefd42d703e7b7a9344cd4bbe9dfce8157a5dbdc6bcc7f4c4" dmcf-pid="bfBuhHBWvN" dmcf-ptype="general">그룹방에서도 나나를 '귓속말' 형태로 불러낼 수 있다. 사용자만 볼 수 있는 '귓속말 모드'로 시간이 흘러 읽지 못한 그룹방 대화 내용을 요약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대화 도중 나나에게서 추가 정보를 얻는 방식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p> <p contents-hash="eabe176b1a2d29fe9817e81f6aba98912f9b437eff25e4addb5f2ae6ae6f871a" dmcf-pid="K4b7lXbYya" dmcf-ptype="general">카나의 역할을 설정할 수도 있다. 그룹방 내 '그룹 메이트 프로필'에서 △플래너 같은 △코치 같은 △전문가 같은 △조장 같은 △상담사 같은 등으로 구분된 항목 중 하나를 선택하면 된다. </p> <p contents-hash="27ea6efa8e6c4508c112fa64f04326c3dd4a7074501e6ef0ce4626c5f9df0be0" dmcf-pid="98KzSZKGTg" dmcf-ptype="general">눈치껏 알아서 대화에 끼어들기도 한다. 가족 그룹방에서 '할머니 생신 케이크 픽업' 일정을 등록해뒀다면 카나가 먼저 알림을 보낸다. </p> <p contents-hash="b3a315450e798e4b32c1ad53eb26042b4e3749aadfc5b16ee4b7cedb0e4cc7c2" dmcf-pid="269qv59Hho" dmcf-ptype="general">카카오는 CBT 기간 사용자들이 카나나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파악하고 다양한 의견을 취합할 계획이다. 카나나는 전날 선착순으로 CBT를 진행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89e4c24b7ef1a2064416ef47d3368f085c82d88db699e156093599e24cbe126" dmcf-pid="VP2BT12XCL" dmcf-ptype="general">카카오 관계자는 "더 많은 이용자들이 AI 서비스를 경험하고 사용성을 기반으로 AI의 대중화를 목표하고 있다"며 "정식 서비스에선 그룹 메이트 카나의 역할을 보다 확장시키고 일정 관리 기능의 고도화 등을 통해 라이프 에이전트로 더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문적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f0214307bdf0b1eb5a3c31343dc35b7064b33f9b4f3e059462b380f5386b3171" dmcf-pid="fQVbytVZCn" dmcf-ptype="general">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정현, 치과의사 남편과 예능 나들이…티격태격 현실 부부 05-09 다음 한국기술교육대, 가스 감지 인공 후각 시스템 개발 05-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