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AI 열심히 해도 이미 늦어…민·관, '원팀'으로 협력해야" 작성일 05-09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adL4dwMYI">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0ee9d07e3281e6e5d2ef2d5384c5f808976b5c301fede5cca026f77552589d" dmcf-pid="GNJo8JrRt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5.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허경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moneytoday/20250509153439483pvvj.jpg" data-org-width="1200" dmcf-mid="yuDsoDYct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moneytoday/20250509153439483pvv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스1) 허경 기자 =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에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2025.5.9/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허경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83bf6c7ec004596ab7154c8f8c63f8411ac9243502b42457c787d11fd17b63" dmcf-pid="Hjig6ime1s" dmcf-ptype="general">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AI(인공지능) 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에너지, 데이터, 인재 등 자원을 꼭 필요한 부분에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서는 산·관·학이 함께 '원팀'이 돼 새로운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15ab1836bca9d81a4d4d2435bc8e0524f03acd4326aefccfd948bfaeb4db4bce" dmcf-pid="XAnaPnsdtm" dmcf-ptype="general">최 회장은 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 AI 정책포럼'에서 "AI 경쟁에서 가장 힘든 점은 (기술 개발에) 엄청난 리소스가 들어가는데 기술 발전 속도가 무지하게 빠르다는 것"이라며 "리소스를 제대로 갖춘 국가는 잘 할 수 있고 그렇지 못한 나라는 잘 하기 어렵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3200e694a0dff166406ab3a5e723fa2be008cb54eda79fb80f23a123c9c1619" dmcf-pid="ZcLNQLOJZr" dmcf-ptype="general">최 회장은 "우리가 모든 AI 분야를 다 잘 할 수는 없다"면서도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인프라를 만드는 등 미래를 개척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어 "좀 더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집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4626fb03562ce4e1ffbf4987edc86ce19f0464bda5019fe8343bce758114969c" dmcf-pid="5kojxoIi5w" dmcf-ptype="general">그는 또 "국가의 운명이 상당히 약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AI 경쟁에서 뒤처질 수 없다"며 "수출품 같은 것도 미래에는 결국 AI의 도움이 없으면 경쟁력이 약화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렇게 되면) 국가 경제 모델 자체가 전부 부서질 수 있다"며 "지금 AI 개발을 열심히 한다고 해도 이미 늦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684850c09d0e95802f5028c7d8484eeb0d5dcd113be55f936925ec40c2658726" dmcf-pid="1EgAMgCnYD" dmcf-ptype="general">그는 "하반기에도 이런 토의를 계속 이어가면서 제대로 된 대한민국 AI 정책을 만들어서 집행하면 어떨까"라며 "정부와 민간이 함께 협력해 일을 했으면 한다"고 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e8a40267f72b82ab7e59f4a2860c625aa2a11ccf3cc3612f35f28f9256cab6" dmcf-pid="tDacRahL1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최태원(왼쪽 여섯번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유상임(왼쪽 다섯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왼쪽 일곱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 사파이어홀에서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09. ks@newsis.com /사진=김근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moneytoday/20250509153440881kquf.jpg" data-org-width="1200" dmcf-mid="WKV6uVLKZ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moneytoday/20250509153440881kqu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김근수 기자 = 최태원(왼쪽 여섯번째) 대한상공회의소 회장과 유상임(왼쪽 다섯번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안덕근(왼쪽 일곱번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9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 서울 사파이어홀에서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열린 대한민국 AI정책 포럼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05.09. ks@newsis.com /사진=김근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37fe85a1ce20713c9b608a692168e269cabe8e9ba24dd4b18d9b50f80d47e24" dmcf-pid="FNJo8JrR1k" dmcf-ptype="general">대한상의는 이날 한국인공지능학회, 한국인공지능법학회와 함께 'AI 강국 도약을 위한 한국형 AI 생태계 발전 방향'을 주제로 대한민국 AI 정책포럼을 개최했다. 산·관·학이 한 데 모여 AI가 경제·사회·산업에 미칠 영향을 점검하고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서다. 이날 포럼에는 기업·정부·학계 인사 총 300여명이 참석했다.</p> <p contents-hash="cc667acbf1b0b837e10729b93103aae1017014c320f7e78bb1bce98aa03902c3" dmcf-pid="3jig6imeZc" dmcf-ptype="general">대한상의는 "AI 정책 전반을 심의하는 국가AI위원회가 출범한 지 8개월 째"라며 "이번 포럼은 AI 정책 방향에 대해 민관이 함께 점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6fe80de91e816db6266827af0b65f08f2db78af91c53835f0445d7df6f88c4ec" dmcf-pid="0AnaPnsdtA" dmcf-ptype="general">이날 기조연설자로 나선 염재호 태재대학교 총장 겸 국가 AI 위원회 부위원장은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산·관·학의 원팀 정신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c4dda91a56843d9e01365916416eb6c35679698e5172d0ea5c3999113ca9a371" dmcf-pid="pcLNQLOJZj" dmcf-ptype="general">염 부위원장은 "AI 생태계가 원활히 순환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며 "데이터, 인재, 인프라 등의 자원을 확보하고 민간의 노력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13f443b93b1dee16f5866782cf2f0d6a26a84e28699faeff0696b18bce5cba8c" dmcf-pid="UkojxoIiGN" dmcf-ptype="general">그는 또 "기업은 정부가 수립한 국가 AI 전략과 정책에 적극적으로 호응하고 전반적인 AI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선의의 경쟁을 이어나가야 한다"며 "민관이 원팀으로 협력한다면 한국형 AI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5ab70ae7c793a6d93af4e79c1d4e668ba065dff7b3997044eaef9577d63ef5b1" dmcf-pid="uEgAMgCnHa" dmcf-ptype="general">이어진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한국형 AI 생태계 전략, 기업과 정부의 역할 △제조 AI를 통한 한국의 성공스토리 창출 △글로벌 AI 패권 경쟁 속 K-LLM 경쟁력 확보 방안 등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15edbc41ed5df6a969b94d503db7cc5137cb45cf81a61557e767f95db36395f4" dmcf-pid="7DacRahL1g" dmcf-ptype="general">첫 번째 토론에서 패널들은 글로벌 추세와 비교해 뒤처진 AI 생태계 취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과 정부가 해야 할 역할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a31b94a4df98009188d3e0ea1b5c3db366aa205cb11372eaa297c9e9d13a0c04" dmcf-pid="zwNkeNlo1o" dmcf-ptype="general">김민기 KAIST(한국과학기술원) 경영전문대학원장은 "한국 AI 생태계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 전략자산인 AI 컴퓨팅 인프라의 확충과 함께 AI의 핵심 투입요소인 전력, 데이터, 인재에 대한 공급방안 마련이 시급하다"며 "정부의 재정투입이 인프라에 대한 수요를 견인하고 핵심 투입요소의 경쟁력 확보를 지원함으로써, 민간 투자를 유도하는 마중물 역할을 해야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203a85f6428887175d65ae180418a27dd78c9697068da58404e9717092cc680" dmcf-pid="qrjEdjSgHL" dmcf-ptype="general">이어진 토론에서는 제조AI의 개발과 활용을 촉진할 방안을 다뤘다.</p> <p contents-hash="af5e6e12c82492c5d3d8cbb04521238bc3dda603923f724b8ec143ee67c8a4b1" dmcf-pid="BmADJAvatn" dmcf-ptype="general">권석준 성균관대 교수는 "제조 AI는 생산성 향상을 넘어 한국의 주요 산업 업그레이드를 위한 핵심 전략이 돼야 한다"며 "특히 산업·AI·에너지를 연계한다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 성장동력 측면에서 중요한 전략적 돌파구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맞춤형 데이터센터 운영, AI 바우처를 통한 AIX 수요창출, 메가 샌드박스 등 정부와 산업계가 협력해 전방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p> <p contents-hash="2a4c8ac27b15f33fe219ebd7e3631d0349211d4006e5271d06e4359bfef030f8" dmcf-pid="bscwicTNGi" dmcf-ptype="general">마지막 토론 시간에는 한국형 LLM의 필요성과 경쟁력을 높일 방안이 제시됐다.</p> <p contents-hash="f17412d9b59648004817cea7a82f3ba3d822f6ae8a9d383b78a782f45c9dfa32" dmcf-pid="KOkrnkyj1J" dmcf-ptype="general">한순구 연세대 교수 겸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위원은 "LLM의 네트워크 효과와 국가안보 측면을 고려할 때 K-LLM은 한국 경제에 반드시 필요하다"며 "글로벌 경쟁 환경에 대한 절박한 심정으로 국내 기업과 학교, 정부가 원팀으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108cc12ff99c4231b4591d4f35dd6648c2214cb30d4a2c70650021e740344508" dmcf-pid="9IEmLEWAtd" dmcf-ptype="general">한편 대한상의는 지난 6일 한국이 AI G3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333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AI의 3대 투입요소(에너지·데이터·인재)와 3대 밸류체인(인프라·모델·AI 전환)에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872da381291174716846e434682e7707aa44dff0d8500c73d44b391e6a0b186b" dmcf-pid="2CDsoDYcZe" dmcf-ptype="general">김호빈 기자 hobin@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우주청 "러 탐사선 지구로 추락중···한반도 위험 없어" 05-09 다음 지상파, JTBC 올림픽·월드컵 중계권 입찰 가처분 신청 05-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