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톡톡] 외부 인재 영입 공들이는 현대오토에버 김윤구호… ‘순혈주의 탈피’ 전략 통할까 작성일 05-09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김윤구 사장 취임 이후 ‘외부 수혈’ 주력<br> 삼성·AWS·네이버·쏘카 출신 영입<br>현대차 SDV 전략 대응·신사업 확장 차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UkCEhFOa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10143c92a223743e43f5c80ba2ed5562bdaa9d9f31dd5d1d44bf2c413cf431c" dmcf-pid="6uEhDl3Io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현대오토에버의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모빌진'을 적용해 제작한 차량 모형./현대오토에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chosunbiz/20250509165532494utfo.jpg" data-org-width="1060" dmcf-mid="fD5yOW7vk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chosunbiz/20250509165532494utf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현대오토에버의 차량용 소프트웨어 플랫폼 '모빌진'을 적용해 제작한 차량 모형./현대오토에버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e4e3c6c289799da907ba3290f5e057313cf000af34bf25cbdccf9571e092ef1" dmcf-pid="PsVRfeDxaW" dmcf-ptype="general">현대오토에버는 최근 IT서비스 업계에서 ‘외부 인재’가 가장 많이 모이는 기업으로 정평이 났습니다. 지난해 3월 김윤구 사장이 취임한 이후 삼성전자, 아마존웹서비스(AWS), 네이버클라우드 등에서 임원급 인재를 대거 영입했기 때문인데요. 순혈주의가 강했던 현대오토에버의 외부 수혈 행보는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 전략과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p> <p contents-hash="b472f13d1fd0aaac7a0ed8aa0c7be6d3cbb1bf72bbc760776bf3c79ab260c281" dmcf-pid="QOfe4dwMgy" dmcf-ptype="general">9일 현대오토에버에 따르면 김윤구 사장 취임 이후 회사 임원의 약 40%가 외부 출신으로 채워졌습니다. 지난달까지 총 10명의 핵심 인재를 외부에서 데려왔습니다.</p> <p contents-hash="aabdaf5217e245a0e08cf95d5850053c28a67a2fef95b272b9c367aabb741076" dmcf-pid="xI4d8JrRcT" dmcf-ptype="general">현대오토에버는 지난달 말 삼성전자와 AWS에서 경력을 쌓은 클라우드 전문가 이경수 상무를 클라우드인프라센터장으로 영입했습니다. 지난해 12월에는 AWS, 구글 클라우드, VM웨어, 오라클 등에서 27년 간 일한 양승도 상무를 클라우드기술사업부장으로 임명했습니다. IT서비스 업계의 ‘실적 견인차’로 떠오른 클라우드 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인사로 풀이됩니다.</p> <p contents-hash="7d6df340808138cb710c941c13d96a31bea503ab3f9a6d2cea8206b375957bb1" dmcf-pid="yVhHlXbYAv" dmcf-ptype="general">앞서 현대오토에버는 올해 1월 디지털 전환(DX)센터를 신설하고 삼성SDS 출신 김지현 상무를 초대 센터장으로 임명했습니다. 지난해 3월에는 쏘카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 류석문 상무를 소프트웨어 개발 및 품질 부문 사업부장으로 영입한 데 이어 4월에는 삼성전자 출신 전사적자원관리(ERP) 전문가 김선우 상무를 ERP센터장으로 앉혔습니다.</p> <p contents-hash="02baea31d4e3f40bf6aac5403b4a58a65e1d5dcb92f308ba7b53b1755898b41e" dmcf-pid="WflXSZKGjS" dmcf-ptype="general">이어 7월에는 네이버클라우드 출신 최원혁 상무와 쏘카 출신 지두현 상무를 각각 보안총괄임원(CISO)과 소프트웨어(SW)개발센터장으로 임명했습니다. 8월에는 A.T.커니 출신 박상수 상무를 혁신전략컨버전스사업부장으로, 포스코DX 출신 장연세 상무를 SDx센터장으로 영입했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a116269c6a610fa18e6d37e04ee5e1aeb37349c9c103415f4ddbd7972c8ac4a" dmcf-pid="Y4SZv59Hj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윤구 현대오토에버 사장./현대오토에버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chosunbiz/20250509165534286nsmm.jpg" data-org-width="555" dmcf-mid="4Wz4q8aVk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chosunbiz/20250509165534286nsm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윤구 현대오토에버 사장./현대오토에버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58868201b50d0ed17acc33ba500087436022bf16034396bd8f6b6e86e4f2f25" dmcf-pid="G8v5T12XNh" dmcf-ptype="general">이는 김윤구 사장이 취임 이후 추진하고 있는 회사 체질 개선과 경쟁력 강화 작업의 일환입니다. 김 사장은 “풍부한 경험과 전문 지식을 갖춘 리더의 영입이 회사의 핵심 기술 분야 혁신을 촉진할 중요한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했습니다.</p> <p contents-hash="1a8408a03eb49e02b8153bcfff5d58f5ed6a84fb74d5b0519274f627a1fadcd7" dmcf-pid="H6T1ytVZjC"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보안,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회사의 파격적인 인사가 현대차그룹의 중장기 소프트웨어 전략과 관련이 있다고 분석합니다. 현대차그룹은 모든 차종을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SDV)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밝혔는데, 이 과정에서 관련 소프트웨어의 상당 부분을 담당할 현대오토에버의 역할이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p> <p contents-hash="2f2bdbbbbe209b119d876066bfb82bb5a29e71b1724f3d6f3249524a83061ab5" dmcf-pid="XPytWFf5AI" dmcf-ptype="general">현대차그룹의 IT서비스 계열사인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차를 포함한 글로벌 자동차 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소프트웨어, 네비게이션, 클라우드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내부거래 비중이 92%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현대차그룹 계열사 물량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입니다. 현대오토에버 입장에서 높은 내부거래 비중은 ‘양날의 검’으로, 성장 동력이자 한계로 꼽힙니다.</p> <p contents-hash="779bb37e4748f3da01e187197334d86025a93b94f6013065ddadaa44d594dff0" dmcf-pid="ZQWFY341cO" dmcf-ptype="general">회사는 이런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우수 인적 자원 확보를 통한 미래 성장 동력 발굴과 기술 역량 강화를 택했습니다. 앞으로 늘어날 현대차그룹 물량을 소화하는 동시에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디지털 전환(DX), 보안, 로봇, 해외 사업 등으로 외연을 확장해 계열사 의존도를 낮춘다는 구상입니다.</p> <p contents-hash="456c7e9832eea8583193f171e2345288a271f5623ee5b8a9828c5d06450c02fd" dmcf-pid="5xY3G08tcs" dmcf-ptype="general">현대오토에버의 적극적인 외부 인재 영입은 순혈주의 기조를 깨고 성과·능력 중심의 인재를 채용하는 현대차그룹의 기조와도 궤를 함께합니다. 김 사장은 현대차 인사실장 출신으로, 정의선 회장 취임 이후 지속된 ‘순혈주의 타파’ 인사를 현대오토에버에서 이어가고 있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입니다.</p> <p contents-hash="71a23c2739f39841416b97166decd05b323c9014417ffae07e302bb6385f6994" dmcf-pid="1MG0Hp6FNm" dmcf-ptype="general">현대오토에버 외에도 최근 IT서비스 업계는 AI·클라우드 사업 확장 기조 속에서 외부 인재를 잇따라 영입하고 있습니다. 기업 실적에서 AI·클라우드가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면서 관련 전문가가 필요해진 영향입니다.</p> <p contents-hash="7f7228ca1b4187934f0e1c601f8bf1ef7854fcd9099109028a71732e77d7c4f4" dmcf-pid="tRHpXUP3gr" dmcf-ptype="general">삼성SDS는 지난 2월 클라우드 사업부장으로 액센츄어 출신 클라우드 전문가 이호준 부사장을 임명했고, LG CNS는 베인앤컴퍼니 출신 AI 컨설팅 전문가 민세훈 전무를 엔트루 컨설팅 수장으로 모셔왔습니다. SK C&C는 지난해 AI, 클라우드, 디지털 팩토리 등의 사업을 중심으로 외부 전문가를 대거 영입했습니다.</p> <p contents-hash="3f24c19715f46d5241b40d37a2e1da92eb68b636d13c7fd84da36e315e9b550c" dmcf-pid="F8v5T12Xow" dmcf-ptype="general">다만 ‘외부 인재 모시기’가 실제 성장에 얼마나 기여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 현대오토에버의 경우 올 1분기에 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해 수익성이 나빠졌습니다.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한 8330억원, 영업이익은 15% 줄어든 26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2022년 1분기(224억원) 수준으로 내려왔는데, 이때는 현대오토에버가 현대차그룹 내 다른 IT서비스 계열사였던 현대오트론, 현대엠엔소프트와 합병하기 직전이라 외형이 더 작았습니다.</p> <p contents-hash="083b7c877ab177a6b05be82a03c97666b78deaf387b932b5387fa4e981688848" dmcf-pid="36T1ytVZAD" dmcf-ptype="general">차량 소프트웨어 관련 매출 인식 지연, 외부 인재 수혈에 따른 비용 증가 등이 1분기 수익성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현대오토에버 관계자는 “영업이익 감소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2분기에는 수익성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했습니다.</p> <p contents-hash="c3a5e60531921493364877b88f4da2e00dc50ffe019aa3d5d2c98a17982eae8e" dmcf-pid="0PytWFf5jE"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별세…향년 81세 05-09 다음 "하루아침에 갑자기 앞이 안보여.." 전조증상이 없다, 실명의 가장 큰 원인 '이 것' 05-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