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앞두고 출연연 과기인 총연합회 "R&D 예산 5% 비율 법제화" 촉구 작성일 05-09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관장 인선, 정치적 독립성 보장해야…구성원 의견 반영 확대"<br>"국가 R&D 수주하느라 연구자 몰입 막던 PBS 제도 폐지할 것"</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uxXlKJqZ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30b52e52ca0637c43759badbc4859c3433ea6be7cff454ab805ee4a4b12d6a2" dmcf-pid="37MZS9iB5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 홈페이지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WS1/20250509190612110gqrm.jpg" data-org-width="855" dmcf-mid="t36YIqRuZ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WS1/20250509190612110gqr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연연과학기술인협의회총연합회 홈페이지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b19f20bb393769c9340a9a3e25fffc416c3ce8ad68494d977f59cada913ac66" dmcf-pid="0zR5v2nbGB"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과학기술인협의회 총연합회'(이하 연총)은 21대 대선 후보들에게 바라는 5가지의 과학기술 혁신 정책 아젠다를 9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0bd70e4f0b53bdb5a7dd57285587033ed918147918aa45ef4df7b5f4994bb7fc" dmcf-pid="pqe1TVLKGq" dmcf-ptype="general">우선 연총은 전체 예산 중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비율을 5%로 법제화시켜 보장하라고 주문했다. 국제협력 및 지역 발전에 필요한 R&D 에산도 지속해서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a12405c00a793629a09add7c2e29f4325abb76b786b6018cf339483b920e31f6" dmcf-pid="UBdtyfo91z" dmcf-ptype="general">R&D 예산은 안정적인 연구 환경에 필수적이어서다. 향후 차세대 과학기술 인재 유치, 인프라 고도화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p> <p contents-hash="9dcb1bba2da0153f5670661a0c3da6e911e03e6270a6ca20f07e97a7cff8d908" dmcf-pid="ubJFW4g2G7" dmcf-ptype="general">또 연총은 과학기술 정책 수립·실행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혁신적인 상위 행정기구가 신설돼야 한다고 봤다. 사업 기획 및 예산권이 보장된 행정기구로서, 부처 간 협업을 조정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연총은 구상했다.</p> <p contents-hash="9f12af1c4244ef5b4a2d6eeff0448757f01ee6bdabf102a36b1c9765a0713c9f" dmcf-pid="76jqteDxGu" dmcf-ptype="general">연총은 "이같은 과학기술 거버넌스는 전문 인력이 주도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면서 "평가·감독기구의 경우 산·학·연 전문가뿐 아니라 일반 시민이 함께 구성하면 좋을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894327bc578154c11cdddfb8b306e460fcb1605d2180f0ec47876cecd3900ab7" dmcf-pid="zPABFdwM1U" dmcf-ptype="general">아울러 연총은 연구기관의 정치적 독립성이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간 기관장 임명·평가는 대통령실 등이 하향식으로 결정하는 추세였다. 정권에 따라 연구 기관 방향성이 크게 바뀐다는 지적이 있었다.</p> <p contents-hash="ab6b76da3dd666125822709e156110cf90acb05df46eea6c42cd60c8681e00d0" dmcf-pid="qQcb3JrRZp" dmcf-ptype="general">앞으로 구성원 의견을 적극 반영해 기관장을 선임한다면, 연구기관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위험 장기·대형 R&D 사업을 수행할 수 있을 거라고 연총은 강조한다.</p> <p contents-hash="f3771a61fec2acd7cf7ae241ec02f5c458bfe0a614531bd10df824b44458bba2" dmcf-pid="BxkK0imeG0" dmcf-ptype="general">R&D 정책·전략 유관 기관에 산·학·연 과학기술 전문인력을 파견 보내는 것도 제도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실효성 있는 과학기술 정책 수립을 위해 현장 의견을 대폭 수용하라는 것이다.</p> <p contents-hash="dc1a26115e15f180e9103f4743d7cfecd8cabb6e48d5f61b59dc730b17ad2a32" dmcf-pid="bME9pnsdZ3" dmcf-ptype="general">이밖에도 연총은 출연연 연구환경 개선 및 사기 진작을 위해선 '연구과제중심제도'(PBS)를 폐지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p> <p contents-hash="c92d89216e357de618ec14607e4dd154d27869a8d148fbc90a7645b92c976249" dmcf-pid="KRD2ULOJGF" dmcf-ptype="general">PBS는 출연연 등이 정부 출연금 외에 국가 R&D 프로젝트를 수주하므로써 연구비·인건비를 충당하는 제도다. 예산을 따려고 단기 성과에 치중하느라 장기·혁신 연구를 몰입하기 힘들었다는 일부 연구계의 고충이 있었다.</p> <p contents-hash="8ca5586d3f141d8d666055bcf79238cf1664d9506ba44a4a5c11d82125f2ba9f" dmcf-pid="9ewVuoIiZt" dmcf-ptype="general">비슷한 결로 연총은 정부가 파편화된 소형 단기과제를 지양해야 하고, 자율·창의적 연구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6eb0ed292ff5672192d3e01c2f4b3c9a9994f79bc3505921d7b1531b1ecac4f9" dmcf-pid="2drf7gCnG1" dmcf-ptype="general">마지막으로 연총은 국가 전략 연구기관으로서 출연연의 위상이 재정립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p> <p contents-hash="7d6fb2a21c79633478646038d59af0b1bc44b71b7fb9d2ae0c8571a6820c2cd7" dmcf-pid="VLIPbAvaY5" dmcf-ptype="general">이에 걸맞게 출연연 연구자의 전문가 지위를 보다 크게 인정해 달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총은 연구자 정년 환원, 임금피크제 폐지 등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p> <p contents-hash="4659712e72f36ef1f6be440ad41d14cb0848889a34952ed75b9d6c1b76a7dbfa" dmcf-pid="foCQKcTN1Z"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생성AI길라잡이] AI 산업의 가이드라인? ‘AI기본법’ 이모저모 05-09 다음 [오늘의 장면] '무관의 한' 풀까 05-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