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 비싼데” 국민 54% ‘전기세’ 인상 찬성?…반전 이유 알고 보니 [지구, 뭐래?] 작성일 05-09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DOg6sZwt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1b078e33cf1fdee00cd8562a22cd97b466296537203ef0631dc5b5b86164889" dmcf-pid="BOScRl3IH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한 가정집의 전기 요금 고지서.[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3031eats.jpg" data-org-width="1280" dmcf-mid="Pd7P7gCn5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3031eat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한 가정집의 전기 요금 고지서.[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1a4aa4c6ebafb61a2685f14b6df07c60b20aae0ecf87ae0f45733c82f94eb4" dmcf-pid="bIvkeS0CZi"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 <strong>“전기요금, 더 올라도 된다고?”</strong></p> <p contents-hash="efe67ba2173a92bd5e2c5c672df2c163fd35d4b94cb3901b4c2fef7f58302050" dmcf-pid="KCTEdvphXJ" dmcf-ptype="general">에어컨의 계절, 여름이 다가오며 ‘전기요금’ 걱정이 시작되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고민에 불과한 걸까. 국민 54%가 전기세 인상에 찬성한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2ceade4183b1022398afc677aa732bc624252f4f7829dc0f7874ecd8d3929ed6" dmcf-pid="9hyDJTUltd" dmcf-ptype="general">물론 숨겨진 조건이 있다.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strong>탄소 배출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율을 높인다는 조건</strong>을 제시한 후 전기세 인상의 찬반 의견을 물어본 것.</p> <p contents-hash="69cebdef6b3f4455e38d7e8e3cc3eee5dfb3abaa8183d3e97e47cbd3bb635fe2" dmcf-pid="2lWwiyuSYe" dmcf-ptype="general">이뿐만이 아니다. 해당 조사에서는 탄소배출량 감소를 위한 ‘탄소세’ 도입이나, 대중교통 인센티브 제공 등 친환경 정책을 지지하는 의견 또한 절반을 넘겼다.</p> <p contents-hash="4936e4a4ce8fdd7d9ccba8c797588bad0d0c1b5e51c1a234db755dd4f27ff5cf" dmcf-pid="VSYrnW7vYR" dmcf-ptype="general">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요구하는 인식이 일종의 ‘주류’ 문화로 자리 잡은 결과라는 설명이 뒤따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0b78c3b3e58da0c76ad1f1dd26952401ce5231c19c588b98f0aeaa22199cb52" dmcf-pid="fvGmLYzT1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시내 주택가에 설치된 전력량계.[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3714kphd.jpg" data-org-width="1280" dmcf-mid="0cYuY8aV5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3714kph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시내 주택가에 설치된 전력량계.[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8338af048ba557fdfc6f0e04c70d133b494225dd6c8c5f79265230c74dbedc4" dmcf-pid="4lWwiyuSYx" dmcf-ptype="general">환경단체 녹색전환연구소·더가능연구소·로컬에너지랩 등이 소속된 프로젝트 그룹 ‘기후정치바람’은 지난 7일 총 1만8000명(광역시도별 800명, 전국 44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제2회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05aa1d859136ac030f6a2fdd9350ace0ca0823307042c5004d5f10810593808d" dmcf-pid="8SYrnW7vtQ" dmcf-ptype="general">해당 조사에 따르면 전국 4400명을 대상으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의 찬반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자 54.8%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반대’ 응답은 37.9%, ‘잘 모르겠다’는 7.4%로 집계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af10decb3a7c5bf2e9b90500af309e82e2fa5864f87ab85beeb80787458ec14" dmcf-pid="6vGmLYzTG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 결과 집담회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 발표하고 있다.[기후정치바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4411swyp.png" data-org-width="1280" dmcf-mid="pNL4pnsdY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4411swyp.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 결과 집담회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 발표하고 있다.[기후정치바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f85e1e8864692fc1b9492f423d52f2805d882428f0b241831dcc508f24ba61" dmcf-pid="PTHsoGqy16" dmcf-ptype="general">찬성한다고 답한 이들에 전기요금 인상 규모를 묻자 절반이 넘는 53.5%가 ‘현재의 10% 정도’라고 답했다. 재생에너지 전환을 위해 10% 수준의 요금 인상은 감수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비중이 적지 않다는 것.</p> <p contents-hash="1e68bb9ef9ef946250d35c5c1116e968e5e5458afb2584aba4411f9aec9abc51" dmcf-pid="QyXOgHBW18" dmcf-ptype="general">그도 그럴 것이 재생에너지 확대를 원하는 비중은 크게 나타났다. <strong>전력 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우선순위 정책을 묻는 질문에 58.8%는 ‘재생에너지 확대’를 꼽았다.</strong> 그 뒤로는 ▷원자력발전 확대(24.8%) ▷석탄발전 감축(10.1%) 등이 뒤를 이었다.</p> <p contents-hash="a174633dc749d0a1328336560a01236f3ee10d8922654f591a9d65df40411056" dmcf-pid="xWZIaXbYH4" dmcf-ptype="general">현재 21.6% 수준인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목표를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도 48.3%에 달했다. 지난 2023년 조사에서는 41.2%가 ‘목표치를 높여야 한다’고 답한 것을 고려하면, 1년 새 기후위기 대응을 요구하는 비중이 높아진 셈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f164fd77c15ce0866e5ae7a1926b78befb8ce00c132f01c2ba1e322f02eee4" dmcf-pid="yMiV3JrR5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리원자력발전소. [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4811rkrz.jpg" data-org-width="720" dmcf-mid="UiOg6sZw1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4811rkr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리원자력발전소. [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67e77e57ff16b177c934d9be289930b00f3e24328be793e03c5d921dbe95f3c" dmcf-pid="WRnf0ime5V" dmcf-ptype="general">재생에너지 분야뿐만 아니다. 기후대응 재원 마련 방안으로 탄소배출량에 비례해 세금을 부과하는<strong> ‘탄소세’ 도입 필요 주장에 대해서는 71.2%가 찬성 의견</strong>을 전달했다. 반대 의견은 19.3%에 그쳤다.</p> <p contents-hash="ebad78c9f29e20865d9d49bd3c2598756fcff00e89dce858539823c3ca800b18" dmcf-pid="YnNQzahL52" dmcf-ptype="general">대중교통·자전거·도보 이용자를 위한 인센티브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는 10명 중 8명에 가까운 79.5%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2035년부터 내연기관차 신규 판매를 중단하는 정책에 대한 찬성 응답도 61.6%로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친환경 정책 전반에 대한 선호가 높게 나타난 것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29d55155b13fad7d2ff0c993213700e74b7675cc0a577d0d17d831e58e0e178" dmcf-pid="GLjxqNlo5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 결과 집담회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 발표하고 있다.[기후정치바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5486tupt.png" data-org-width="1280" dmcf-mid="uSCNQI1mZ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5486tupt.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7일 서울 영등포구 FKI타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기후위기 국민 인식조사 결과 집담회에서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이 발표하고 있다.[기후정치바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00ca8213f8c6c434c96a2ead9548ae2d7b1a0f08e63b443da741d87c674c4d7" dmcf-pid="HoAMBjSgtK" dmcf-ptype="general">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 소장은 “이번 조사 결과 시민들은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에너지 등 전반에 대한 정책 지지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시민들이 기후대응에 있어 정부와 공동체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믿음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9904f8d591e048b847a1d1f210d002b8c54a2db39b9f589ea822a9d9812345c" dmcf-pid="XgcRbAvaHb" dmcf-ptype="general">실제 기후위기 해결을 위해 실질적인 정책을 요구하는 국민 비중은 적지 않았다. 기후정치바람 측은 올해 조사에서 ‘일회용품 사용’, ‘탄소중립에 대한 의견’ 등 문항을 통해 ‘기후시민’ 집단군을 도출했다. 기후시민은 정부나 기업 등에 지속 가능한 정책을 요구하는 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집단을 의미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e3499101d4e202aeb4f515ba3a51c4a77b66cf0e1ca8165422c182e87153b44" dmcf-pid="ZakeKcTNZ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시내의 한 전기계량기 모습.[연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5960yjyi.jpg" data-org-width="1280" dmcf-mid="7S6uY8aVY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5960yjy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시내의 한 전기계량기 모습.[연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cb9f0fc563bc748a97e707412085b0ee8d68a98ea8869a9a6e2a0667130a654" dmcf-pid="5NEd9kyjZq" dmcf-ptype="general">조사 결과, <strong>기후시민 비중은 전국 평균 50.9%인 것으로 집계됐다.</strong> 모든 연령층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기후시민의 비율이 높았다. 지역별로는 ▷인천 57.4% ▷전남 56.1% ▷경북 55.8% ▷대구 54.4% ▷전북 52.3% 등으로 집계됐다.</p> <p contents-hash="c7227225cdd1c191b16876d814e8f8e4fe608d85aa814594e42ea5436ea9dd6f" dmcf-pid="1jDJ2EWAGz" dmcf-ptype="general">이처럼 시민들의 기후위기 인식 전반이 높아진 데는 기후재난의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1년 동안 경험한 기후재난을 선택해달라는 문항에 응답자 64.7%는 ‘폭염’을 꼽았다. 이어서는 ▷가뭄(19.6%) ▷산불(16.9%) ▷홍수(15.7%) 등이 뒤따랐다.</p> <p contents-hash="fdde0e77c8818bec012e3813bd810ce9a8cecbe8e942d49404b924c1044df632" dmcf-pid="tAwiVDYct7" dmcf-ptype="general">이 소장은 “온실가스 40% 감축 등 목표가 다음 정부의 임기 2030년과 정확히 일치한다”며 “다음 달 출범할 정부는 국제사회와 약속한 수많은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75e48dfbc9e58c5c2e7fda33c18d00c9fffb0bcbb7a8e4b0cdb1c8e411f4eb6" dmcf-pid="FcrnfwGkY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6676yvvg.jpg" data-org-width="1280" dmcf-mid="zgHsoGqy1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09/ned/20250509194026676yvvg.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거미는 몰랐던 ♥조정석 골프 실력…"연예계 탑티어 수준" 증언 쏟아졌다 (집대성) 05-09 다음 박명수 "요즘 MZ, 술 안 마셔" 불평…손현주 "구성원 때문" (할명수) 05-0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