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로 읽는 과학] 유인원 6종 게놈 염기서열 완벽 분석 작성일 05-10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19J2nsdi6">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2551734c93a621c260a441c9470188d2b504e67206ae2de92003c3a83da498" dmcf-pid="Ut2iVLOJL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네이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0/dongascience/20250510080059022nvzi.png" data-org-width="440" dmcf-mid="0Y04p6Nfe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0/dongascience/20250510080059022nvz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네이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c826e6a3daae013719c7847c7a805fd9ba2d3db117d3e9c5a9952ad20edf6df" dmcf-pid="uFVnfoIiJ4" dmcf-ptype="general">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고릴라가 여유롭게 풀밭에 앉아 있는 모습을 포착한 사진이 실렸다. 고릴라는 유인원 중 하나다. 유인원은 영장류 중 꼬리가 없고 지능이 높은 대형 영장류다. 고릴라, 침팬지, 보노보, 오랑우탄이 대표적인 유인원이다. 유인원은 인간과 같은 조상에서 갈라져 나온 먼 친척이다. 인간과 가까운 유인원의 유전체를 분석하면 인간 유전체의 기능과 진화사를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 얻을 수 있다. </p> <p contents-hash="90e2855f46003778033f7ad7273e1f12ae49df1f1acbf3a687ec0052bf65a4c0" dmcf-pid="73fL4gCnMf" dmcf-ptype="general">미국 워싱턴대,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미국 국립인간유전체연구소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이 유인원 6종의 완전한 게놈 염기서열 분석에 성공했다는 연구결과가 8일(현지시간) 네이처에 실렸다. 지난달 10일 네이처 온라인판에 게재된 논문이다. </p> <p contents-hash="54b5a864ba1265b5406b6c02c777df3190adeec6722e7254ce07742de8b4336c" dmcf-pid="z04o8ahLLV" dmcf-ptype="general">게놈 지도인 게놈 염기서열은 생물의 DNA에 담긴 유전 정보를 이루는 A, T, C, G 네 가지 염기가 어떤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지를 기록한 것이다.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생물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다양한 생물의 게놈 염기서열을 비교하면 공통 조상이나 진화사를 파악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ebd2920adc2e65d25506ba6dd348586275f7b62945e3aa8b798bdaec9dfd3775" dmcf-pid="qp8g6NloL2"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총 6종의 유인원 게놈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침팬지·보노보·고릴라·보르네오 오랑우탄·수마트라 오랑우탄 등 대형 유인원 5종과 소형 유인원인 시아망 긴팔원숭이 1종이다. 그동안 각 유인원의 게놈 염기서열은 크기가 다른 동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염기 패턴을 이해하기 까다로워 분석이 잘 이뤄지지 않았다. </p> <p contents-hash="2e267dc869bcad182114fc15fe5d116388d9b5a97fe0ec096922e24295267ab7" dmcf-pid="BU6aPjSgd9"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게놈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염색체의 중심부 역할을 하는 ‘중심체(centromere)’ 영역의 구성과 진화 양상을 상세히 알아냈다. 연구팀은 보노보 염색체의 경우 약 100만년 전 중심체 크기가 대폭 축소됐고 다른 유인원에서 발견되지 않는 작은 중심체 형태가 생겨났다. </p> <p contents-hash="a37b54c05c263f84025e3fb6bfedd633b67e3618e47b62746ff15cb43dce20f7" dmcf-pid="buPNQAvanK" dmcf-ptype="general">보르네오 오랑우탄은 수마트라 오랑우탄과 비교적 최근인 96만년 전에 갈라져 진화했다. 두 유인원은 최근에 갈라졌음에도 보르네오 오랑우탄의 게놈 염기서열에서 갈라지기 전에 비해 색체의 약 5분의 1이 새로 생겨난 수준의 서열이 관찰됐다. </p> <p contents-hash="fd5d18fe7fd6631fcb5aab9112538296a24e597e4b5f093e007f52ae7f69a83e" dmcf-pid="K7QjxcTNnb" dmcf-ptype="general">또 연구팀은 종에 따라 핵소체 형성 영역(NOR)의 수가 다르다는 점을 발견했다. NOR은 단백질이 생산되는 리보솜을 만드는 리보솜 RNA(rRNA)를 합성하고 조립하는 핵소체가 만들어지는 곳이다. 시아망 긴팔원숭이 염색체에는 NOR이 1개, 오랑우탄은 10개를 갖고 있었다.</p> <p contents-hash="1484017dafd084663baa0641591d427f91c0e3394a15be9521071a0d71db03b3" dmcf-pid="904o8ahLJB"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유인원의 진화 과정에서 NOR의 위치가 변하고 NOR을 재조합하면서 종 간 진화가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8fa59e907f20b81f501086fdc722494dccd4ea454a4d9e7a59f8d2fa449694cf" dmcf-pid="2p8g6Nlonq" dmcf-ptype="general">앞으로 연구팀은 유인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인원의 진화과정에 대해 더 분석할 계획이다. 연구결과는 유인원의 게놈 정보를 3년 전 완성된 인간 게놈 정보 수준으로 끌어올렸고 향후 진화학·의학·유전학 연구 발전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p> <p contents-hash="1a891d9d89a6ddda984160c9a0cd61260b2e0ef34384724a19bf71334f90ac19" dmcf-pid="VU6aPjSgJz" dmcf-ptype="general"><참고자료><br> -https://doi.org/10.1038/s41586-025-08816-3</p> <p contents-hash="c201eff81db45e0599c1c669ab928da351f8484a741e5e3c732452d256a446a4" dmcf-pid="fuPNQAvai7"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옛소련 금성 탐사선, 오늘 오후 3시께 지구로 추락 05-10 다음 2025년 스포츠산업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05-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