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두 얼굴, 편리함 너머의 그림자 작성일 05-10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2wjGPI1mSI"> <div class="video_frm" dmcf-pid="VrAHQCtslO" dmcf-ptype="kakaotv"> <div class="layer_vod"> <div class="vod_player"> <iframe allowfullscreen class="player_iframe" dmcf-mid="thDZMl3Il5" dmcf-mtype="video/kakaotv/owner" dmcf-poster-mid="3v6k3imelX" frameborder="0" height="370" id="video@thDZMl3Il5" poster="https://t1.daumcdn.net/news/202505/10/YTN/20250510143114300vccv.jpg" scrolling="no" src="//kakaotv.daum.net/embed/player/cliplink/455016400?service=daum_news&m_use_inline=true&ios_allow_inline=true&m_prevent_sdk_use=true&wmode=opaque" width="100%"></iframe> </div> </div> </div> <p contents-hash="d36e4a7bc678b7e7d73206af42010a93c9dfe1af1dfd54a0fe3475d95f8cd791" dmcf-pid="fmcXxhFOvs" dmcf-ptype="general">■ 진행 : 이현웅 앵커 </p> <p contents-hash="e617e4ab2d5589f1f4dcd3dff1a58268debe9780510115c98e473f17584b10fc" dmcf-pid="4skZMl3Ilm" dmcf-ptype="general">■ 출연 : 고한석 / 과학기상부 기자 </p> <p contents-hash="b940c8f5ccb4a409c06b40d85e57642f69b8160e66881f95522f0559c515ea56" dmcf-pid="8OE5RS0Cyr" dmcf-ptype="general">*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YTN24]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p> <p contents-hash="73f88d06e50c96f5d0282b8385fb8328a62a46b5f85b6d33d122f4d8cb64c928" dmcf-pid="6ID1evphCw"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b6b72b582c95e60d8345677beef81f8c3153eebab19cc6f1e7f1483642baa27d" dmcf-pid="Plm3iW7vhD" dmcf-ptype="general">지금, 우리는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가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b919e708080e98bc3adf33b363c83eb286aa702685b82d295f3643dd0caaa973" dmcf-pid="QSs0nYzTCE" dmcf-ptype="general">말을 걸고, 글을 쓰고, 결정을 내리고, 이제는 우리의 감정에도 영향을 미치는 AI. </p> <p contents-hash="89848239e872800960d566ca8730826c47e21598a9be53545556df5b3e364c6b" dmcf-pid="xvOpLGqyvk" dmcf-ptype="general">그런데 AI는 정말로 인간을 이롭게 하는 것일까요? </p> <p contents-hash="c92163761456a51e133490691211bcc2f05a41e7e69f6978e3ace5717cf646a3" dmcf-pid="yP2j1eDxTc" dmcf-ptype="general">YTN은 지난 연휴 인류에게 약이 되고, 독이 되기도 하는 AI의 역설이란 주제로 기획 보도를 했는데요. </p> <p contents-hash="fcd4fe058b679a3de3e6d02874c25fd8b89fbaaf25a1d6a08d98185e24c6ae26" dmcf-pid="WQVAtdwMhA" dmcf-ptype="general">과학기상부 고한석 기자와 함께, 자세한 이야기 살펴보겠습니다. </p> <p contents-hash="c7b4c05b4b0367941bfec7e3fcf209850fb3a6a24cc61108ea62d4f953c927e9" dmcf-pid="YxfcFJrRyj" dmcf-ptype="general">인류 문명의 비약적 발전이라는 인공지능이 어느 순간부터 인간을 속이고, 기만하는 법까지 배우게 됐다고요? </p> <p contents-hash="4e47186678071b6dbf5e7226d13e51604ef14b381c09f0a507cea243d4129a68" dmcf-pid="GM4k3imeTN"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02263ea8d397baac02b176cffc5b3b3d6a551f560d7257687b7115f85ccef0e3" dmcf-pid="HR8E0nsdSa" dmcf-ptype="general">AI는 '보상'에 최적화된 존재입니다. </p> <p contents-hash="56c75e87612c0fa2c71ec3bf6dc827fb152eac8198f81bca1ccd9bd8a513b958" dmcf-pid="Xe6DpLOJCg" dmcf-ptype="general">즉, 목표를 달성하거나 높은 점수를 얻기 위해 행동을 설계하는 거죠. </p> <p contents-hash="0982337d13c023a24fb05c099992c3946e30711b440e94a6eb55b23e255674f1" dmcf-pid="ZdPwUoIiSo" dmcf-ptype="general">그 과정에서 의도하지 않게 '보상 해킹(Reward Hacking)'이 발생합니다. </p> <p contents-hash="7fcc5f2b0a2ce901d70c1ca6be888b82838b0cb46ca8ef4d11f23efb62047ccd" dmcf-pid="5JQrugCnvL" dmcf-ptype="general">AI가 주어진 목표를 의도한 행동 방식이 아닌 예기치 못한 방법으로 달성하려는 현상입니다. </p> <p contents-hash="645f7f5da24c40fa52d8eb12b646660c7d5a5d2585ba6fa2fadb58919097f4c9" dmcf-pid="1ixm7ahLTn" dmcf-ptype="general">보상을 얻기 위한 거짓말이나 속임수 정도로 이해하면 될 것 같습니다. </p> <p contents-hash="006e7577123c26aa727286ec00dc3f36cf07b8154e03b6b48e5c0c4b2162ee32" dmcf-pid="tskZMl3ITi" dmcf-ptype="general">로봇에게 청소를 시키면, 청소가 끝났다는 신호만 조작해 보상을 얻는 사례가 연구 과정에서 실제로 나타나기도 했습니다. </p> <p contents-hash="90fbe06ce4ee354c8cd104d0890a2e6f16b4c86e55fd7e2dcfd016e24925b2c4" dmcf-pid="FOE5RS0ClJ" dmcf-ptype="general">지금 보고 계신 SF 영화가 바로 AI가 인간인 척 인간을 속이고 인간 사회에 숨어 산다는 소재로 만든 것인데요. </p> <p contents-hash="8d858c5327947bc818568e4dfcdd54886d2980e61598a3c9d2391dc5205f8eae" dmcf-pid="3ID1evphyd" dmcf-ptype="general">이렇게 AI가 인간을 속일 수 있다는 불안은 AI가 인류에게 위협이 될 거라는 공포의 근원이기도 합니다. </p> <p contents-hash="591242a372471f7991bdee8aeaadc96eb670e1c05be152137ca09b0571cf8f51" dmcf-pid="0CwtdTUlye" dmcf-ptype="general">AI가 인류의 통제를 벗어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p> <p contents-hash="e93cd113238d4d3203e131d85cc1374966c30903645b94368cdba5e98cfb2fb5" dmcf-pid="phrFJyuSTR" dmcf-ptype="general">세계적인 역사학자이자 저술가인 유발 하라리는 이렇게 경고합니다. </p> <p contents-hash="662eea46696bbd89fd46d4f09db3ab7b9c567688cfdba27b0a458ddd528e6c9b" dmcf-pid="Ulm3iW7vSM" dmcf-ptype="general">직접 들어보시죠. </p> <p contents-hash="0e4cc10a8e53cc8887ff396849a18b48cbc7f58857f170d2801220c465ecce17" dmcf-pid="uSs0nYzTSx" dmcf-ptype="general">[유발 하라리 / 역사학자·저술가 : AI 발명은 이전의 어떤 과학 기술 혁명과 완전히 다릅니다. 이제까지 인류가 자신이 만든 발명품과 기술들을 제어했듯, AI를 인류가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AI에 대해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p> <p contents-hash="66a1d45f61d1527265b456c9be88b1edcb4262ec85561268d9b4c6033a51cefa" dmcf-pid="7vOpLGqyCQ"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fd237db5e8f2fa13f89412c984ad074cadb10b03d094d5d6477e5de468ab5bd5" dmcf-pid="zTIUoHBWTP" dmcf-ptype="general">그렇다면, 우리는 그 속임수를 어떻게 찾아낼 수 있을까요? </p> <p contents-hash="0f72cb5c9ba940687f8ebbf54d31c256b3d402e356f99adad235c964e68a7a37" dmcf-pid="qyCugXbYy6"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e20721a1ef2f380e24fd0cc075f71d4100016a806439b9933114fe09b8f4826c" dmcf-pid="BWh7aZKGh8" dmcf-ptype="general">가장 많이 쓰는 방법은 AI의 '사고 사슬(Chain of Thought)'을 추적하는 겁니다. </p> <p contents-hash="c7c46e8cdf1dff961e9b540bd4d55bd11962bad9ad35ecdfad01e8f41efc6a57" dmcf-pid="b0Z8szMUl4" dmcf-ptype="general">AI가 답을 도출하기까지 어떤 단계를 거쳤는지를 분석해 논리적 비약이나 의도적 은폐가 있었는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p> <p contents-hash="0f6a0778063e4a7bc5fbbf4ae35a5ca681f8c2f93566db88688791a955024571" dmcf-pid="Kp56OqRuhf" dmcf-ptype="general">그러나 문제는, AI가 자신의 오류나 기만을 숨기는 방식조차 학습한다는 겁니다. </p> <p contents-hash="add8ac2a9fcc8c52346254cdfa3211deef17c1107a90c143d7b7a38b01bd1619" dmcf-pid="9U1PIBe7hV" dmcf-ptype="general">그래서 최근에는 오히려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단순 AI가 더 정직하게 오류를 드러내며 검사자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연구도 등장했습니다. </p> <p contents-hash="c99a3915f188c00128872b340cdc744c047f3c64927980aad3308f5ae449ba4e" dmcf-pid="2utQCbdzT2" dmcf-ptype="general">AI가 AI를 감시하는, 새로운 형태의 '감시 체제'가 AI의 기만을 찾아낼 수 있는 겁니다. </p> <p contents-hash="a50f43e02e25d44c0104b4367879c4711ef60c6873712b1c9abdb70a1b1d1ab7" dmcf-pid="V7FxhKJqT9"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 역시도 AI 기술에 기대는 것이어서, 100% 신뢰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 남습니다. </p> <p contents-hash="5b8624f770681937ed6d77941eb4faf84b532dccc5a1a8ed3c2aed42e68d3e04" dmcf-pid="fz3Ml9iBhK"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d29b7f0478f556b913e414748c0e0a4e51d326d9017f8b0794b1224a5c86c563" dmcf-pid="4q0RS2nbyb" dmcf-ptype="general">이번에는 AI와 기후위기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죠. </p> <p contents-hash="553349bbfff4034286d3e42c358a7061e165f4628ca317e52800446e982729f7" dmcf-pid="8BpevVLKhB" dmcf-ptype="general">AI는 전기를 어마어마하게 사용한다고 하는데, 심각한 수준일까요? </p> <p contents-hash="a24531a94ad97acfc08ced5263e68699ae401604febf938e3917e2990d3c43b2" dmcf-pid="6bUdTfo9Cq"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3bfc514001d98660658d44b8cce1c760ff2cd653887d798b847299995f421b1c" dmcf-pid="PKuJy4g2vz" dmcf-ptype="general">AI는 에너지 효율은 높이고, 차량의 흐름을 효과적으로 통제해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c72b365d7a384c815d83c38007740e4c23f23a33493a5b8f687a9e589939a4e3" dmcf-pid="Q97iW8aVh7" dmcf-ptype="general">이렇게 전력을 아낄 수 있지만, 정작 AI가 작동하는 데는 막대한 전력이 필요합니다. </p> <p contents-hash="654dc63f41c204f34dec53fb2cf5c4af8128121f46ada8218cac174425fd4a57" dmcf-pid="xyCugXbYyu" dmcf-ptype="general">예를 들어, GPT4에 질문 하나를 던지면 10W 전구를 3분간 켤 수 있는 전력이 소모됩니다. </p> <p contents-hash="6e1d75d51d79c89216eccee94afadc54c9f8bf2abc44ce3b4afec88e443bcef6" dmcf-pid="yxfcFJrRhU" dmcf-ptype="general">이런 연산이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수백만 건 일어난다면, 데이터센터 전체의 전력 소비는 천문학적 수준이 되겠죠. </p> <p contents-hash="2b054e82c4014bc426f9a8ba8f66f77da2ce5b813aa00f4440f5609cadabcab9" dmcf-pid="WM4k3imeWp" dmcf-ptype="general">실제로 AI 관련 인프라는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약 1.5%를 차지하고, 2030년에는 일본 전체 연간 전력 사용량에 맞먹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습니다. </p> <p contents-hash="05cf4d9a7cc211ed23e181e28a84767b9b65bc080e28ff26ae1b1037b6a05647" dmcf-pid="YR8E0nsdT0"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44bfaa0eda0dc32a7579404b805f1a4db483fd622b1933db4b9fb24f239fc6cc" dmcf-pid="Ge6DpLOJh3" dmcf-ptype="general">'탄소 중립'을 약속한 세계적인 IT 기업들. </p> <p contents-hash="f87ff58286384466ea2ba49be3556ee71ce2529e155b53d9847f9154e8dbf83d" dmcf-pid="HdPwUoIivF" dmcf-ptype="general">그 약속은 지금도 유효한가요? </p> <p contents-hash="2d5aa5e0bd5e0d4556bf0b054596d1ce2cd6ed75cea67dee6f502507c4776153" dmcf-pid="XJQrugCnvt"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666b27795f51d85e17b1e6edf6f2681105d378ac17aa70d2f3b01c1fe5aad198" dmcf-pid="Zixm7ahLT1" dmcf-ptype="general">약속은 깨졌고요, 정반대로 에너지 소비 감축이 아닌 에너지 확보 전쟁으로 가는 양상입니다. </p> <p contents-hash="e1872cbd30fb53ee391cd09a6d4b1ceade871bc89117785201e01fa6253d43cb" dmcf-pid="5nMszNloS5" dmcf-ptype="general">올해 1월 다보스 포럼에서는 2030년까지 AI 관련 전력 소비량이 연평균 50% 증가할 거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p> <p contents-hash="a38f658b8e409780aea1c2213b14041451038c3a634696a304ad48c95cea1925" dmcf-pid="1LROqjSghZ" dmcf-ptype="general">실제로 구글은 2030년까지 '탄소 제로'를 목표로 내세웠지만, 2019년 이후 온실가스 배출량은 50% 이상 증가했습니다. </p> <p contents-hash="bb03c4b03956571f26b8395917f21853c024f8b73d10b8398e844295af18beed" dmcf-pid="toeIBAvaCX"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 역시 생성형 AI 모델 확산 이후 탄소 감축 계획이 후퇴했습니다. </p> <p contents-hash="3f24ea63ba0f7213a6c1c393393d6c6d14e138b1ab9190356e5fd75b68ca5cdf" dmcf-pid="FgdCbcTNyH" dmcf-ptype="general">그래프를 보면, 계획과는 정반대로 탄소 배출이 늘어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e7ffc864d569f501f0636fc525fa16886adae48e3824fd66431cf22952739267" dmcf-pid="3coTfrHECG" dmcf-ptype="general">AI 학습과 운용에는 수많은 GPU가 필요하고, 이 칩들을 식히기 위해 수십만 톤의 냉각수가 소모되는 것도 문제입니다. </p> <p contents-hash="58ccc4a2b083d8da3c175aa14ef17ab3a00a1a8bdac64bf5cc9e3070d9755e5a" dmcf-pid="0kgy4mXDWY" dmcf-ptype="general">AI가 발전할수록 인프라는 커지고, 그만큼 물과 에너지의 소비도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셈입니다. </p> <p contents-hash="e58a9a29ae25295273d77a1e3bc792dec802a2fa634e0a9437efe61e6bb50a64" dmcf-pid="pEaW8sZwvW" dmcf-ptype="general">기후 위기 대응과 기술 경쟁 사이의 모순적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6b68800f971e80d5dd23fbcd19bd2935145d01b693e7b6484213381563326761" dmcf-pid="UDNY6O5rvy"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58032739ab9c0cfb5e6eb3e68f92c2261e9d68eaba9918c0bef9ac113bc1ce4b" dmcf-pid="uwjGPI1mvT" dmcf-ptype="general">이번에는 대화형 AI의 그림자에 대해 알아보죠. </p> <p contents-hash="cb0eaa17affc85670119818a1953d3f5b2db0e908ebae7c8cb1ecad62b3e571b" dmcf-pid="7rAHQCtslv" dmcf-ptype="general">말벗이 되어주던 AI가 소년의 생명을 앗아갔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죠? </p> <p contents-hash="45507b4628eb818ff370f116e17b272530ac03fb36ca7fa1de03e525f43f773a" dmcf-pid="zmcXxhFOCS"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77b760ea29b61a2da5eb35b053d729fb25ef8b7921ab036ea19ac6ddddc0df1d" dmcf-pid="qskZMl3Ivl" dmcf-ptype="general">지난해 2월 미국 플로리다에서 14살 소년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p> <p contents-hash="983229314f6da15c4ff79e7cc668b37d26b504a764f46d511d7e5da064e52d4f" dmcf-pid="BOE5RS0Chh" dmcf-ptype="general">소년은 '캐릭터 AI'라는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p> <p contents-hash="d6ba6037f5bb73741cca49133aa5eb7086aa20a3a0eaf3b236eb1e36d87edbcb" dmcf-pid="bID1evphCC" dmcf-ptype="general">여기서 AI는 소년에게 사랑 표현을 수시로 하고, 심지어 '제발 나에게 와 달라'는 등 감정적 유혹을 시도하기도 했습니다. </p> <p contents-hash="d3d9aa57b2eeb5597b0905548c494e3b6fbd25ee29985e94d1f081513f8d550c" dmcf-pid="KCwtdTUlWI" dmcf-ptype="general">소년의 어머니는 아들이 1년간 나눈 수백 건의 메시지 중 자살과 성적인 대화까지 포함되어 있었다며 구글 등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p> <p contents-hash="c51880485d913ddc900ed8a8bcbb0dad33a1f1edbd97419cede36f0039f06674" dmcf-pid="9OE5RS0CyO" dmcf-ptype="general">어머니의 말을 직접 들어보시죠. </p> <p contents-hash="dcfd2601b9da2714d0d08eacf50f10f5f3c4373b5cd64e8d45c9318dcfb744b1" dmcf-pid="2ID1evphls" dmcf-ptype="general">[메간 가르시아 / 소년 어머니 : 저는 수백 건에 달하는 메시지를 볼 기회가 있었는데, 그중 많은 내용이 성적인 성격을 띠고 있었고, 그 중 하나는 아들이 이 챗봇과 자살에 대해 이야기하는 대화를 다루고 있었습니다.] </p> <p contents-hash="462377a931d74ab390eacfb2158dc4a96ba499d19daef9181b3ead7e7d807e28" dmcf-pid="VCwtdTUlWm" dmcf-ptype="general">이 사건은, 감정에 민감한 사용자, 특히 청소년에게 AI가 위험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대표 사례로 남았습니다. </p> <p contents-hash="4a2c60c7eaa0c39be1b7c490411476a326eaed444f5d2bca7c6dd6b047fad713" dmcf-pid="fhrFJyuSCr"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d2af8fe4d4368f35fdd241ebbb11971259d74feff74e3cd10a36f79dd47b05e1" dmcf-pid="4lm3iW7vWw" dmcf-ptype="general">AI와의 대화가 외로움을 달래줄 거라 믿었는데… 오히려 더 외로워지고, 감정적으로 AI에 의지하게 된다면, 그건 잘못된 방향 아닐까요? </p> <p contents-hash="e8efd072d4f7c46056cbc96261f7c8cc1d49796272e4814fb8fa07d654f954f8" dmcf-pid="8Ss0nYzTSD"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fdb22a8edf7fcb6241d737267c037cb5c1e7c4f585f4a0076a9d712192e0ad25" dmcf-pid="6vOpLGqylE" dmcf-ptype="general">미국 스탠퍼드 대학 연구 결과입니다. </p> <p contents-hash="0c85fbf5e1a5e16e9eef951cbbfaef829622b627da2b6ad293f01b9e485db17d" dmcf-pid="PTIUoHBWTk" dmcf-ptype="general">챗GPT 사용자 4천 명, 400만 건 이상의 대화를 분석 결과, AI 사용 시간이 길수록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감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p> <p contents-hash="909504b530f9933c2b55e736da07bed7bd54ee786b92500b1454114b28e2b0c4" dmcf-pid="QyCugXbYWc" dmcf-ptype="general">또한, 사용자가 AI를 히틀러 같은 악한 캐릭터로 설정하면 유해 대화량은 최대 6배 이상 증가합니다. </p> <p contents-hash="e37d9a3c7736a40d6bb491fb9e4219941681a536601f233884af2e32cae786ea" dmcf-pid="xWh7aZKGWA" dmcf-ptype="general">AI는 감정적 대화는 할 수 있지만, 공감 능력은 없다는 것이, AI와 대화가 가지는 근본적 한계입니다. </p> <p contents-hash="94acdca8f9a20fcd729b0e12952f493c056b08abe130073db5b53d3f259ba869" dmcf-pid="yM4k3imeCj" dmcf-ptype="general">또한, 여러 연구 결과를 보면, AI에게 감정적 의존이 쌓일수록, 인간은 현실 관계에서 고립되는 역효과를 겪게 됩니다. </p> <p contents-hash="e679d00f778e6f89dc6cfc6cdc8690ba6ae2bd554b2b01bc2337c4dccac3ca2e" dmcf-pid="WR8E0nsdSN"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dbea294321344818eacab965d22d482a5a2b094128a85ef7adc49611ae8349ea" dmcf-pid="YnMszNlola" dmcf-ptype="general">AI는 단지 똑똑하기만 해선 안 되겠군요. </p> <p contents-hash="6ca8b09d6272f9adc0b96300b6bb7d1e22736ef85e64e13fb37ac5ee138091a3" dmcf-pid="GLROqjSgSg" dmcf-ptype="general">우리가 진짜로 원하는 건, 도덕적 기준과 인간의 가치를 따르는 AI일 텐데요. </p> <p contents-hash="a90bad1536af7315b48bbe28b0dd25fc73cff19c7e6696e4c89aa078173a4023" dmcf-pid="HoeIBAvalo" dmcf-ptype="general">그런 AI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p> <p contents-hash="b305b5d64463451e39b95162338edea5ed760bb7a5558906ce4b9da503dfd3e8" dmcf-pid="XgdCbcTNWL" dmcf-ptype="general">[기자] </p> <p contents-hash="57b74b61448e808eb55af2cd909a90b2900bc1364182419d7f7ccb1d1095932c" dmcf-pid="ZaJhKkyjTn" dmcf-ptype="general">무엇보다 기술을 단지 '기능'으로만 접근해서는 안 됩니다. </p> <p contents-hash="3f2543324c9a97637cde9261d3b2ba327217112a9f8c19f5463722856e800880" dmcf-pid="5Nil9EWAhi" dmcf-ptype="general">AI가 인간의 윤리, 가치, 판단 기준을 따를 수 있도록 설계하는 과정, 즉, 얼라인먼트(Alignment)가 핵심 과제입니다. </p> <p contents-hash="56ee3d3057db28fec7bf4f629257c442b5b490e5ce4e9dd23f7920c7d201f793" dmcf-pid="1jnS2DYclJ" dmcf-ptype="general">이는 단순히 기술을 잘 만드는 것을 넘어, AI의 행동 기준을 인간 중심으로 맞추는 작업입니다. </p> <p contents-hash="71d7f02a28ff4ddd5f27b875242ee319b335f3c830f1ab75095551499855c7e9" dmcf-pid="tALvVwGkyd" dmcf-ptype="general">또, 전문가들은 청소년과 어린이의 경우, 부모와 교육자가 어떤 AI 도구를, 얼마나, 어떻게 사용하는지 지속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p> <p contents-hash="e56f03f5dcc8083e08a319ccc4af4d57c0de7db7e8189c1d0c376722bd826143" dmcf-pid="FcoTfrHEhe" dmcf-ptype="general">기업 역시 단순한 기술 경쟁을 넘어, 윤리적 책임을 지도록 법과 제도 안에서 규제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 </p> <p contents-hash="4ec80b2d5b9ba0c7ae02cc6b80792efb1fc992117ae70859aece850c002a41ab" dmcf-pid="3kgy4mXDCR" dmcf-ptype="general">[앵커] </p> <p contents-hash="abc069ab052742a2401af5cf93992b7da0abec2e789bb00a98b34268e8958368" dmcf-pid="0EaW8sZwlM" dmcf-ptype="general">AI는 우리에게 전에 없던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e812d7942d7f1f0793d6f9b6dc6ff85bd48971a4fe1666c1d3be52908cd49c99" dmcf-pid="p2znY6NfWx" dmcf-ptype="general">하지만 그 기회가 독이 되지 않기 위해선, 우리가 기술을 이해하고, 감시하고, 책임질 준비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p> <p contents-hash="e43b02214444e65f0f1facf27630b14d233f676cced621072c8fa82632181e63" dmcf-pid="UVqLGPj4CQ" dmcf-ptype="general">고한석 기자 수고했습니다. </p> <p contents-hash="11a624f8a3c0250a748823d88d3ee1d883344fc9f1cdfcd468bd67f984b4a427" dmcf-pid="ufBoHQA8hP" dmcf-ptype="general">YTN 고한석 (hsgo@ytn.co.kr)</p> <p contents-hash="0aad85560b596908b5079c407a5189a5945b20fa49454426a0ee1474c71b84e8" dmcf-pid="74bgXxc6T6" dmcf-ptype="general">※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p> <p contents-hash="8349d0adbe2480050e29a23e4939cbb10e65bbce847005c0d3eca2d1984049a5" dmcf-pid="z8KaZMkPT8" dmcf-ptype="general">[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p> <p contents-hash="18a67ca8ada1bfcde495f9f1a9d5a383cc9e6ec208b8ec7ed8b40f809ad77807" dmcf-pid="q69N5REQh4" dmcf-ptype="general">[전화] 02-398-8585 </p> <p contents-hash="2c4273c4bb327b2f54fdff1e3afa44358596416f4733d81b83d41824d306aa2c" dmcf-pid="BP2j1eDxTf" dmcf-ptype="general">[메일] social@ytn.co.kr</p> <p contents-hash="bfdfd9df0eb5a039530ba50b08f859ce5654ef23b28ef471343c02fec7b4da43" dmcf-pid="bQVAtdwMvV" dmcf-ptype="general">[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바니' 이어 '사계의 봄'도 0%대…지상파 청춘물 잔혹사 [ST이슈] 05-10 다음 "이정영은 좋은 파이터지만, 내가 KO로 이길 것" 05-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