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해킹 사태가 던진 질문 [김현아의 IT세상읽기] 작성일 05-11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기술보다 앞서야 할 것은 '신뢰'<br>'AI 시대' 그 너머의 불안… 우리가 놓친 건 통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Sp4Hfo9sd"> <p contents-hash="0b7dbabfdfd5a1e435d5e754912232857c08ef7b9c78317c77c673e907f74d73" dmcf-pid="XvU8X4g2re"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인공지능(AI)이 세상을 바꾸고 있다는 말은 이제 식상할 정도로 흔합니다. 하지만 그 AI가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 전제돼야 할 ‘통신 인프라’의 중요성은 여전히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c0147da7c536b9ee94b38d0a1653b400b96d798fa28176750c3dfc467052b527" dmcf-pid="Zuxj9NloDR" dmcf-ptype="general">AI가 스마트폰 속의 비서로, 산업 현장의 예측 솔루션으로, 자율주행차나 로봇의 두뇌로 작동하려면 반드시 네트워크, 즉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AI는 이 연결망을 통해 클라우드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지능’을 실현합니다.</p> <p contents-hash="2e4f3a4b7341e31dcd2a71e2ee90d0d178eeb7f8e6b1e9ca8e5616039e626aa2" dmcf-pid="57MA2jSgOM" dmcf-ptype="general">이처럼 AI의 기반이자 조건인 ‘통신’이 무너진다면 그 위에 올려놓은 기술의 가능성도 무너질 수 있습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c207a5cab31a5bce5175f9628933de7aca7999a02ed882b096500675d9c1fae" dmcf-pid="1zRcVAvam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1/Edaily/20250511170514035cnfz.jpg" data-org-width="550" dmcf-mid="GMDyoTUlw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1/Edaily/20250511170514035cnfz.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afd552b9cb23718386ff9a0f744dce8bfdeeeb03162bdd79b5a91eb0c0658b14" dmcf-pid="tqekfcTNIQ" dmcf-ptype="general"> 이번 SK텔레콤(017670)의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고는 바로 그 지점을 향해 묵직한 경고를 날린 사건이었습니다. 단순한 해킹 사고가 아닌,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연결’과 ‘신뢰’의 본질을 다시 돌아보게 만든 계기였습니다. </div> <p contents-hash="57265dc57c3edcaf16d8891baf99089266477cc501a0b16263d241b0d6c96798" dmcf-pid="FBdE4kyjOP" dmcf-ptype="general">실제로 이번 사고로 인해 유출된 개인정보가 범죄에 악용된 사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신뢰’는 단순한 피해 여부나 기술적 설명만으로 회복되지 않습니다. 그것은 숫자로 측정되지 않고 기술로 대체할 수도 없는 개념입니다.</p> <p contents-hash="ea9983b3d2fd77b370b088661135ea9554b61db46c6fd337f516ef90f67fb5e0" dmcf-pid="3bJD8EWAm6" dmcf-ptype="general">작은 균열처럼 보였지만, 그 불안은 이성이 아닌 감정의 깊은 곳에서 출발했습니다.</p> <p contents-hash="62b804cfb0c42674ad9210a7b2529f5f47dd66baf75c5933e498b0f75d0fb2a8" dmcf-pid="0Kiw6DYcm8" dmcf-ptype="general">유심 정보가 유출됐다는 사실보다 더 큰 불안은 “그 정보로 무엇이든 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는 상상에서 비롯됐습니다.</p> <p contents-hash="40a713a6a0afcbb91e0f8ba7cceacaeb9c7aeea51a4f5eda89b1e72dc8dc9fd0" dmcf-pid="p9nrPwGkI4" dmcf-ptype="general">유심 복제, 금융 정보 탈취, 명의 도용...실제로 벌어지지 않았음에도 가능성만으로도 국민들은 충분히 공포를 느꼈습니다.</p> <p contents-hash="d97e5bdd04103a192c332fd9b0fc84418b083d1e6b8838d8ad9d1bb388bb6d35" dmcf-pid="ULIZcXbYIf" dmcf-ptype="general">보안 전문가들은 단말기 고유식별번호(IMEI)가 유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복제폰의 위험은 없다고 합니다. SK텔레콤도 ‘유심보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안심시켰습니다. </p> <p contents-hash="95536f03e240216a0f3a33f3f8024478d6db0127f3fbce2dbbcee45ff0762cd1" dmcf-pid="uoC5kZKGDV" dmcf-ptype="general">하지만 이미 불신은 생겼고, 그것은 쉽게 걷히지 않았습니다. 실제론 약 25만 명의 고객이 SK텔레콤을 떠났습니다.</p> <p contents-hash="b9d221362a1391ea2fde8f03ab7700f33518ba763d9a5340c2005a0c0a78dd31" dmcf-pid="7gh1E59Hr2" dmcf-ptype="general">유영상 SK텔레콤 대표는 지난 8일 국회에 출석해, “번호이동 위약금이 면제되면 최대 250만 명이 이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약금만 약 2500억 원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최대 500만 명까지도 이탈할 수 있다”며 “가입자당 평균 3년의 사용 기간과 매출 감소를 고려할 때, 3년간 최대 7조 원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p> <p contents-hash="f2f9bd9786a6cd5b182e12b3b39828c983dae9234a07d51797deb28bb609e64b" dmcf-pid="zaltD12XO9" dmcf-ptype="general">이번 사태는 기술 혁신의 최전선에 서 있는 우리 사회가 정작 그 기술이 올라선 기초에 얼마나 무심했는지를 보여준 사건입니다.</p> <p contents-hash="aa2194ff33d3e8f939903a00cae8896ab746692a0236bc58b57d84904fe186d9" dmcf-pid="qNSFwtVZIK" dmcf-ptype="general">생성형 AI, 클라우드, 자율주행 등 눈부신 기술 발전 뒤편에서 우리는 통신 인프라와 그 위에 세워진 사회적 신뢰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해킹 사건 하나로 그 기반은 순식간에 무너졌습니다.</p> <p contents-hash="aae270df2765c69f039c6dc691cefaee928f81cd8f3dd62b8a0b558df1b11055" dmcf-pid="Bjv3rFf5Db" dmcf-ptype="general">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태 초기, SK텔레콤의 대응은 기술적 설명에 머물렀습니다. 고객들이 원한 것은 이해가 아니라 신뢰 회복이었습니다. 그러나 기업은 고객의 언어가 아닌 기업의 언어로 말했고, 그 결과는 더 깊은 심리적 단절이었습니다. 유영상 대표는 “광고 문자는 보내면서 왜 사고 알림은 없었느냐는 말, 뼈아픈 지적”이라고 사과했지요.</p> <p contents-hash="255e30a6c06d1ef303b190ba98b857bd2fd183df12dd88ad009aaf8ad1c8cd95" dmcf-pid="bAT0m341DB"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얼마전부터 일일 브리핑을 강화하고, 전 고객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 신규 영업(신규 유심 개통)중단, 유심 교체 확대, 유심 재설정 서비스 제공 등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변화의 조짐인 것은 분명합니다.</p> <p contents-hash="a8735f10fd2f9430d363a78850f72ab9930407305c55142ad7c6fa4264d5ed26" dmcf-pid="Kcyps08tEq" dmcf-ptype="general">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멉니다. 이 사건은 단지 한 기업의 사건이 아닌 우리 사회 전체가 통신 인프라를 어떻게 인식하고 관리해왔는지에 대한 구조적 질문을 던졌기 때문입니다.</p> <p contents-hash="5999e95a8b52357cab099206d092ea7f9805137d7723c82e8a9622ec9e3fbe9f" dmcf-pid="98NCeI1mrz" dmcf-ptype="general">‘통신’은 지금 이 순간에도 누군가의 생명을 지키고, 거래를 연결하며, 감정을 주고받게 하는 보이지 않는 생명줄입니다.</p> <p contents-hash="cde9e0d3f4e8a172304ec6fd2efe9b9d7e0ddcc2ccba9e4e59acb64088484aed" dmcf-pid="26jhdCtsO7" dmcf-ptype="general">이번 해킹 사태가 남긴 진정한 유산은 바로 이 본질을 다시 묻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점입니다.</p> <p contents-hash="640c4568ffca8df6412af11e5d31f83c7c9e0a257baf7ccefd9ae1a3544c4d03" dmcf-pid="VPAlJhFOOu" dmcf-ptype="general">우리가 지금 반드시 되짚어야 할 것은 화려한 기술이 아니라, 그 기술이 올라선 무형의 토대인 신뢰입니다.</p> <p contents-hash="5af0c39ec82ef03d6af6f3ce196059e488fd9f657ebd56ce2880c368e9d705a9" dmcf-pid="fQcSil3ImU"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이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꾸리겠다고 하니 진정성 있는 신뢰 회복을 기대해봅니다.</p> <p contents-hash="0e4d7b23d54fba4c27ecf98cc7c6ce4b4985a1040d719b5cab71ff2f083a1147" dmcf-pid="4xkvnS0Crp" dmcf-ptype="general">무너진 신뢰를 다시 세우는 데는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그러나 처음부터 차근차근 진심을 다해 쌓아야 합니다. 그것이 통신을, 그리고 우리의 일상을 다시 지탱하는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p> <p contents-hash="5fc84a585c507207261098c3f4942665e710ce9f0ff3ea050a5a32c43ccc40aa" dmcf-pid="8METLvphI0"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 오픈소스, 美 이끌고 中 바짝 추격…韓은 이제 시작 05-11 다음 '난임 고백' 임라라♥손민수, 감격의 '임밍아웃'…선명한 2줄에 '눈물'(엔조이커플) 05-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