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지·검지만으로 정교하게” KAIST, 차세대 증강 가상현실기술 개발 작성일 05-13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VR 정밀포인팅·안무 창작 기술, 세계 최고 CHI 학회 2관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8F0RtdzYR">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d1c9013e8a32f52e2c4cf74d0c325254baee8aa6f80043a14183d1286864232" dmcf-pid="H63peFJq1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김진아(왼쪽부터)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정경은 박사과정, 한현영 석사과정, 윤상호 교수, 양장(오른쪽 위) UCLA 교수.[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3/ned/20250513083833044zgbw.jpg" data-org-width="1106" dmcf-mid="WSt3M1e7X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3/ned/20250513083833044zgb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김진아(왼쪽부터) KAIST 문화기술대학원 박사과정, 정경은 박사과정, 한현영 석사과정, 윤상호 교수, 양장(오른쪽 위) UCLA 교수.[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dc1571786ac6df0628261a092f078a98752afafa3aaa1042f18ad7854be5d81" dmcf-pid="XP0Ud3iBXx"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가상공간에서는 정확하게 포인팅이 되지 않으면 원하는 대상을 정확히 선택하기 어렵고, 몰입이 깨지는 어색한 경험을 하게 된다. 한국과 미국 연구진이 가상공간에서 생생하게 실제 체험하는 느낌을 주는 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9e2ee113ca63a5a83db5bf0643ad3699e4599e095c68e57df76c9224692fb704" dmcf-pid="ZQpuJ0nbHQ" dmcf-ptype="general">KAIST는 문화기술대학원 윤상호 교수 연구팀이 미국 UCLA 양장 교수와 공동연구를 진행한 ‘티투아이레이(T2IRay)’ 기술과 가상현실에서 안무가들이 창작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코레오크래프트(ChoreoCraft)’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f5de40167324b46ea2dc1d56f97fa3ef2ed6f8f94b7da480d516c82074b955c" dmcf-pid="5xU7ipLKYP" dmcf-ptype="general">이 기술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CHI) 2025에서 상위 5%에 주어지는 우수 논문상을 동시 2개 수상했다.</p> <p contents-hash="cd3977acde08b0b77876d4f702843f0886e7e5d65ca7870cdefa0768ca66b04a" dmcf-pid="1MuznUo956" dmcf-ptype="general">티투아이레이(T2IRay)는 기존의 단편적인 엄지와 검지(Thumb to Index) 제스처를 확장, 가상공간 안의 물체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입력 방식을 제안한다.</p> <p contents-hash="ffed83db54189f2fb4236a3e2fdba54a4c39be1b726b365a654abf3269da31d7" dmcf-pid="tR7qLug2t8" dmcf-ptype="general">기존에는 손의 위치나 방향이 달라져도 입력이 끊기거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티투아이레이에서는 손의 위치나 방향과 관계없이 정밀한 포인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훨씬 자연스럽고 끊김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p> <p contents-hash="26f82a5e9c3e9bb2f78bcac5b9f2f5e5edd72828302d96aed49416353a77dfe2" dmcf-pid="FezBo7aV54" dmcf-ptype="general">특히 손가락 관계성을 바탕으로 로컬 좌표계를 활용하여 손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했다. 엄지의 섬세한 움직임을 좌표계 안에서 매핑하여 정밀하게 인식하고, 고개를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동작까지 입력에 반영하여 넓은 범위에서도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572123ed56c256f210593816fbc5aadb7b9aea42dabf97eb7c09da9c59abf412" dmcf-pid="3dqbgzNfZf" dmcf-ptype="general">윤상호 교수는 “티투아이레이는 손이 고정되지 않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부드럽고 안정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증강·가상현실(AR/VR)에서도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fef73523996b104aa6ca74cb28f971ef254fe95ff300ea52f3f5a72b3b31077" dmcf-pid="0P0Ud3iBZ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안무가들이 창작 과정 내 직면하는 세 가지 문제에 대한 ChoreoCraft의 해결 방안.[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3/ned/20250513083833665dvnm.png" data-org-width="1280" dmcf-mid="YOxROQCnt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3/ned/20250513083833665dvnm.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안무가들이 창작 과정 내 직면하는 세 가지 문제에 대한 ChoreoCraft의 해결 방안.[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c774b03c2b9cd2d36c4f054f2c37f0e529caff9dcb0faae69a6529c8d764547" dmcf-pid="pQpuJ0nbG2" dmcf-ptype="general">또한 연구팀은 가상현실에서 안무가들이 창작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코레오크래프트(ChoreoCraft)’ 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c2feccb231a25987e75830fcdb02638d3da468fbf439bdabab0e7b8a16255d3b" dmcf-pid="UxU7ipLKX9" dmcf-ptype="general">전문 안무가 대상의 경험 조사를 통해 창작 과정 내 안무가들이 직면하는 동작을 일일이 기억해야 하거나 아이디어가 막히는 경우, 그리고 명확하지 않은 피드백으로 인한 어려움을 개선하고자 했다.</p> <p contents-hash="3dce491d0e6601101746aa085902c5fb5df15a9da1823f501f8288d6b69158cc" dmcf-pid="uMuznUo91K" dmcf-ptype="general">이 기술은 가상현실(VR) 공간에서 춤 동작을 모션 캡쳐 기반의 아바타와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동작을 저장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여 기억 의존을 줄였으며 음악 및 이전 동작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고려하여 새로운 안무를 추천해 창작을 도왔다. 또한 균형감, 안정성, 활성도 등 운동학적 요소를 분석하여 수치 기반 안무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창작 과정의 객관성도 높였다.</p> <p contents-hash="285f4bf284e3447b3627da1866d53d0c735e477f942bf0973cea028c9edcf902" dmcf-pid="7R7qLug2Hb" dmcf-ptype="general">윤 교수는 “앞으로도 공간 컴퓨팅을 넘어 피지컬 인공지능(Physical AI)과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기술을 융합해, 실세계와 가상세계에서 인간의 능력을 확장하는 인간 중심 인터랙션 연구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구준엽 매일 故 서희원 찾아가"…여동생 서희제, 하반기 방송 복귀[SC이슈] 05-13 다음 차봇, ‘내 차 구매’ 서비스 전면 개편.. 가입 없이도 상담 가능 05-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