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럭스, 통합관제기술 스타트업 '모빌리티원' 전략적 투자 결정 작성일 05-13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33lknYcO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831238997e8a440e73f63720b9a0c93a5791cfe02ee890e53cfb147492fffd" dmcf-pid="Z00SELGkD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에이럭스/모빌리티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3/etimesi/20250513103105509sccp.jpg" data-org-width="700" dmcf-mid="Hda875RuD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3/etimesi/20250513103105509scc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에이럭스/모빌리티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06c87107900bd827f19b30ac672cb77f76c0421eae6e5dc877b2800283a803" dmcf-pid="5ppvDoHEwI" dmcf-ptype="general">국내 대표 드론 기업 ㈜에이럭스(Alux)가 통합관제 플랫폼 기술력을 보유한 스타트업 (주)모빌리티원(Mobility One)에 전략적 투자를 결정하여 2대 주주로 올라섰다.</p> <p contents-hash="c9c9ab133e1329aeec0d80549e9eaedaba7480b62e038b13166489170410021e" dmcf-pid="1UUTwgXDrO" dmcf-ptype="general">이번 전략적 투자는 하드웨어 중심의 드론 사업에서 통합 플랫폼 기반의 생태계 중심 기업으로의 도약을 의미하며, 양사 간 기술적 시너지와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를 동시에 기대하게 된다.</p> <p contents-hash="4d59c8dbdef63081934da9c97c30aa701cf7ae6bc71a066fc2703bc08560cb9d" dmcf-pid="tuuyraZwDs" dmcf-ptype="general">모빌리티원은 육·해·공 다양한 형태의 드론과 로봇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통합 제어할 수 있는 M1UCS(Mobility One Unified Control System)를 개발한 이기종 통합운영 전문 기업이다. 두산에너빌리티 드론 플랫폼 출신 인력 중심으로 2022년 창업하여, 공공 및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고도화된 드론·로봇 통합관제 기술을 자체적으로 상용화하는데 성공했다.</p> <p contents-hash="b2f2ec93876dcf2d0b9b9624be1fd9aca7a66792f0f3107b0e6138e34bcf5c4f" dmcf-pid="F77WmN5rEm" dmcf-ptype="general">M1CUS는 LTE, RF, 5G 위성통신 등 다양한 통신기반을 통해 다수의 드론 및 로봇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할 수 있는 차세대 통합운영 플랫폼으로 임무비행 시뮬레이션, 객체인식, 안전 자동화 점검, 비행 경로 최적화 등 고도화된 기능을 제공한다. 이 시스템은 현재 제주지방 자치 경찰단과 김천시 등 공공기관과의 실증사업을 통해 검증되고 있으며, 민간 드론 제조사 및 물류·보안업체 등으로부터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p> <p contents-hash="269f174aa861418fbd84cd4c6926b6545f1683af526c9f6e21e1d1d7dccd7d0e" dmcf-pid="3zzYsj1mOr" dmcf-ptype="general">모빌리티원은 M1UCS의 SaaS 및 On-Premise 형태 모두를 제공하며, 민간 및 공공 통합관제 시장에서 꾸준히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대규모 항공 측량 분야에서는 고정익 드론 5대를 동시에 운용하여 하루 100~200Km²의 측량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항공기 기반의 작업 대비 비용 절감과 신속성을 제공한다. 이는 지리정보 데이터 수요 기간들과의 협업 확대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향후 국내외 디지털 트윈 및 공간정보 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5f177e886cf83116042fac579d397ffcffff6b5083a5b4dc984178bcd643cc7b" dmcf-pid="0qqGOAtsEw" dmcf-ptype="general">에이럭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모빌리티원의 기술을 자사 제품군에 통합함으로써 기존의 하드웨어 기술력을 기반으로 하는 시장 경쟁력에 소프트웨어 기반 플랫폼 역량을 더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자체 개발한 VTOL(수직이착륙) 드론과 군집 드론에 M1UCS를 탑재함으로써 드론이 단순한 비행 장비를 넘어 산업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지능형 시스템으로 진화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3f386bfef89aec2f133576dedfb62737c1d074600d4db07c06803233df136225" dmcf-pid="pBBHIcFOID" dmcf-ptype="general">양사는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시티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기반 도시 모니터링, 공공 안전과 재난 대응, 산업 플랜트 점검, 해양 오염 대응, 물류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의 활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특히 모빌리티원의 기술은 드론과 사족로봇, 수상 로봇, 실내외 물류로봇 등 다양한 기기의 연동 운영을 지원하며, 향후 1인 통합 운용시스템까지 확장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있어 산업 전반에서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p> <p contents-hash="cd5f23e8734f7e092e7b1f7e79714e6ec2b0a2549622bda896ca290bc23504e6" dmcf-pid="U995lDphIE" dmcf-ptype="general">이번 투자 건은 에이럭스가 2024년 코스닥 상장 이후 펼쳐온 기술 내재화 전략과 글로벌 확장 전략의 연장선에 있다.</p> <p contents-hash="e4dad0833c020c9f1a644d6db3fc6ef33c60b10e59b89256ee5b40291bc865e7" dmcf-pid="u221SwUlOk" dmcf-ptype="general">에이럭스는 24년,25년 CES 혁신상 연속 수상과 북미 및 동남아 시장 수출을 통해 기술력과 브랜드 인지도를 입증한 바 있으며, 연간 50만대 생산이 가능한 제조 역량을 갖추고 있다. 여기에 모빌리티원의 소프트웨어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에이럭스는 이제 '드론 기체 중심의 사업'에서 '드론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진화하게 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faa916fb2e23c4534f437ccc4df05dbf6a48f025b0566179f0c90f7ec989bf04" dmcf-pid="7VVtvruSEc" dmcf-ptype="general">서희원 기자 shw@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십센치, ‘너에게 닿기를’ 멜론 TOP100 정상 등극…글로벌 프로젝트로 반경 넓힌다 05-13 다음 "한수원 원전 계약 중단해야"…佛 출신 EU 고위관계자, 체코에 요구 05-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