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VR 정밀포인팅·안무 창작 기술, 세계 최고 CHI 학회 2관왕 작성일 05-13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WO0HhKGk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befd1602d7db5aecacfebd1ab090cb2a7873a7393e10d2c32e375617fabfb62" dmcf-pid="BYIpXl9Hc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엄지-검지 손가락의 세밀한 움직임을 AR·VR포인팅에 활용할 수 있는 T2IRay 프레임워크.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3/fnnewsi/20250513111355911xgof.png" data-org-width="800" dmcf-mid="zzIpXl9HN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3/fnnewsi/20250513111355911xgo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엄지-검지 손가락의 세밀한 움직임을 AR·VR포인팅에 활용할 수 있는 T2IRay 프레임워크.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0b9a3095a028dee76f1d4b7943397cad30c825fbd62f7533dd146a1cb07c4a5" dmcf-pid="bGCUZS2XoA" dmcf-ptype="general"> <br>[파이낸셜뉴스] 가상공간에서는 정확하게 포인팅이 되지 않으면 원하는 대상을 정확히 선택하기 어렵고, 몰입이 깨지는 경험을 하게 된다. KAIST 연구진이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 가상공간에서 생생하게 실제 체험하는 느낌을 주는 기술을 개발했다. 또 안무가들의 안무 동작을 쉽게 만들고 창작을 돕도록 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div> <p contents-hash="158ce7eab03f75fb9d9f08438a5e45c523b11b7e70de42b39e3838fb7f34bf52" dmcf-pid="KHhu5vVZgj" dmcf-ptype="general">KAIST(한국과학기술원)는 13일 문화기술대학원 윤상호 교수 연구팀이 미국 UCLA(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의 양장(YangZhang) 교수와 공동연구를 진행한 ‘티투아이레이(T2IRay)’ 기술과 가상현실에서 안무가들이 창작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코레오크래프트(ChoreoCraft)’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최우수 국제학술대회인(CHI) 2025에서 상위 5%에 주어지는 우수 논문상(Honorable Mention)을 동시 2개 수상했다. </p> <p contents-hash="d26f0770d17624c1dea89cf97ceeedd12903c58861465d5bf9a681484b337df7" dmcf-pid="9Xl71Tf5cN" dmcf-ptype="general">티투아이레이(T2IRay)는 기존의 단편적인 엄지와 검지(Thumb to Index) 제스처를 확장해, 가상공간 안의 물체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입력 방식을 제안한다. 티투아이레이에서는 손의 위치나 방향과 관계없이 정밀한 포인팅이 가능하도록 해 사용자가 훨씬 자연스럽고 끊김없이 조작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손가락 관계성을 바탕으로 로컬 좌표계를 활용해 손 위치 및 방향에 관계없이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했다. 엄지의 섬세한 움직임을 좌표계 안에서 매핑해 정밀하게 인식하고, 고개를 움직이는 자연스러운 동작까지 입력에 반영해 넓은 범위에서도 자유로운 조작이 가능하다. </p> <p contents-hash="b44f8b237f6c146ef85f957072719e32991bd61eb090e39ca00e519a75636e2c" dmcf-pid="2ZSzty41ga" dmcf-ptype="general">윤상호 교수는 “티투아이레이는 손이 고정되지 않은 다양한 상황에서도 부드럽고 안정적인 조작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증강·가상현실(AR·VR)에서도 사용자 경험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81bceafbb567e7fd648094d3c09ff7de3b80dddba9715b2ff9bbc555314ec96a" dmcf-pid="V5vqFW8tjg" dmcf-ptype="general">이어 윤 교수 연구팀은 가상현실에서 안무가들이 창작 작업을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돕는 ‘코레오크래프트(ChoreoCraft)' 기술을 개발했다. </p> <p contents-hash="f285d4a54e8a4c08659f842a2132a3bfced2c608d825be71d89ce6e3c5fa44d3" dmcf-pid="f1TB3Y6Fko" dmcf-ptype="general">이 기술은 가상현실(VR) 공간에서 춤 동작을 모션 캡쳐 기반의 아바타와 상호작용을 통해 직접 동작을 저장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해 기억 의존을 줄였다. 음악 및 이전 동작과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고려해 새로운 안무를 추천해 창작을 도왔다. 또 균형감, 안정성, 활성도 등 운동학적 요소를 분석해 창작 과정의 객관성도 높였다.</p> <p contents-hash="8e417ed54d09654ab7f980268f4e7e3a4a0ad717dbd4190e139771da9a718a01" dmcf-pid="4tyb0GP3aL" dmcf-ptype="general">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합병·제휴·무료까지”…토종 OTT 반격 나섰다 05-13 다음 SKT, 신규영업 중단으로 갤S25 엣지 판매 제동…기기변경만 가능 05-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