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도 헤치며 고래 추적…네이처 '2025년 일하는 과학자' 사진 선정 작성일 05-14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P8Jj6OJMa"> <p contents-hash="346e7822a57366d8b0e8b5b648969c2623a8a919c37ff0d26a8d19d8300104f1" dmcf-pid="KQ6iAPIiJg" dmcf-ptype="general">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025 일하는 과학자(2025 Scientist At Work)' 사진 공모전 수상작 6점을 발표했다. 우승작에는 노르웨이 북부에서 고래를 추적하기 위해 파도를 헤치는 생물학자의 모습이 담겼다. </p> <p contents-hash="3ca390c5593e12aab5e79be8f4a6c9761895e9ac50411f64b2a36cb5d5d7ed7b" dmcf-pid="9xPncQCnno" dmcf-ptype="general"> 공모전은 올해 6회째로 전세계 과학자들이 연구현장에서 다양한 과학실험과 작업을 수행하는 모습을 공유한다. 네이처 직원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이 선정한다. 200여 출품작 중 총 6개가 수상작으로 선정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2cc422e8b0919ae4f33be048ef51627efa0acdcee913fbaf05e8098a2e42a92" dmcf-pid="2MQLkxhLL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Emma Vogel"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7042ohzc.jpg" data-org-width="680" dmcf-mid="X1LgDRSgJ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7042ohz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Emma Vogel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14d9af7c3f41d2902397e55f4738bbce16484437889bf8f087543f356b82b9" dmcf-pid="VRxoEMloen" dmcf-ptype="general"><strong>● 파도 헤치고 고래 추적하는 생물학자</strong></p> <p contents-hash="3d97057601de73bdf2c68a7ec0ed6d003916cee3961dfd147bf4d2a922aa216d" dmcf-pid="feMgDRSgMi" dmcf-ptype="general">이번 공모전 우승작에는 2020년 에마 볼겔 노르웨이 트롬소대 연구원이 노르웨이 북부 피오르드에서 촬영한 오둔 리카르센 교수의 모습이 포착됐다. 피오르드는 빙하의 침식으로 만들어진 좁고 깊은 만이다.</p> <p contents-hash="126bbe997da009b1e0f8bcfe98307c784a5d55999df39cafa4a155b3f770b072" dmcf-pid="4dRawevaMJ"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청어 어선 근처로 범고래와 혹등고래가 모여든다는 점을 활용해 공기총으로 고래 몸에 위성 태그를 부착한다. 태그는 고래의 위치와 행동 패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그중 일부는 잠수 시간과 최대 잠수 수심 등도 수집한다. 보겔 연구원은 "고래를 보기 전에 고래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며 "현장 작업을 하기에 멋진 장소"라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31afeedfa6bb2cc53c15f41cc9042f5cd9e401b10cf53d4c721cebec11ff119" dmcf-pid="8JeNrdTNR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man Chokshi"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8327icpl.jpg" data-org-width="680" dmcf-mid="ZvBKPpLKi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8327icp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man Chokshi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0aeb740fb10b10d9f1892c12eb8c5f174dfe9f83311c9b82954786c8ac24b52" dmcf-pid="6srvZm7vJe" dmcf-ptype="general"><strong>● 남극의 거대 망원경</strong><br> </p> <p contents-hash="4100852de72b2f7953104e61a445ec2809273fd0edf7d2742f7aa24acd7b5fe4" dmcf-pid="POmT5szTRR" dmcf-ptype="general">남극 아문센-스콧 기지에 위치한 거대한 남극 망원경(SPT)이 오로라를 배경으로 찍혔다. SPT 앞에 두 사람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SPT는 우주를 떠다니는 마이크로파를 측정한다. 연구자들은 영하 70℃~영하 50℃의 기온에서 매일 1킬로미터씩 걸어서 눈을 치우고 몇 주마다 SPT에 기름칠을 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f4284e4269c4f43a387dd9885e3b6fc39fff2ba5e7d4f6047fa1c2b9e7639f" dmcf-pid="QIsy1Oqye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Dagmara Wojtanowicz"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9913wvfg.jpg" data-org-width="680" dmcf-mid="7TMfRzNfR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19913wvf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Dagmara Wojtanowicz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94d9c3c882c42e6eff42376ad4b6f7128242248f3872da760210dee283972eb" dmcf-pid="xCOWtIBWix" dmcf-ptype="general"><strong>● 극지의 드릴 작업</strong></p> <p contents-hash="6ddf01565bd8ccb6e8e89868832452b3f17a10b5aff0bb16341a4ed49bab33b7" dmcf-pid="yf2MoVwMnQ" dmcf-ptype="general"> 2020년 12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에서 연구자들이 얼음 코어를 시추 중이다. 사진을 찍은 프리랜서 연구자인 다그마라 보이타노비츠는 스발바르 롱위에아르뷔엔에서 8년째 거주하고 있다. 얼음 코어는 얼음 속 미생물과 생명체가 극지방의 어둡고 추운 밤에 생존하는 방법을 조사하는 데 쓰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6640089f9ade87b12521c6b21b52386f7f73bb2948ce6aac02f56036e0774fc" dmcf-pid="W4VRgfrRi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Ryan Wagne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1252vxeh.jpg" data-org-width="680" dmcf-mid="zXB0bHQ0R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1252vxe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Ryan Wagne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601b624e4d7e82579681c093b1c5ae5b7ca99a222a3502f271d3d505c724ddb" dmcf-pid="Y8fea4meM6" dmcf-ptype="general"><strong>● 개구리 한 줌</strong></p> <p contents-hash="5e676608ac4b631ca966979b58b77516faed3e339313b7c6a7c562ddf8ddfa4a" dmcf-pid="G64dN8sde8" dmcf-ptype="general"> 라이언 와그너 미국 워싱턴주립대 밴쿠버캠퍼스 박사과정생은 캘리포니아 북부 라센 국유림에서 개구리를 야생으로 방생하는 환경과학자 케이트 벨빌의 모습을 담았다. 와그너와 벨빌은 다은 생물학자, 자원봉사자와 함께 전세계 양서류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항아리곰팡이(학명 Batrachochytrium dendrobatidis)를 막기 위해 개구리들을 항진균제에 목욕시키고 방생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71ecc78f99f2d3a694a502f1ef92b7eb48fe3251d22618ed36231ebfdbc4a9" dmcf-pid="HP8Jj6OJM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ionel Favre"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2702mlvn.jpg" data-org-width="680" dmcf-mid="qJKU9ZMUJ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2702mlv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ionel Favre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f10a6854fd67798e2a84e38bf2e8d2bd09b6efac72249045226c2ce62981dd9" dmcf-pid="XQ6iAPIiif" dmcf-ptype="general"><strong>● 구름 추적자</strong></p> <p contents-hash="cc19dab0d3563b7cea4831b8477b7a04053e24a25c32ccdf480b9935f42656d1" dmcf-pid="ZxPncQCnJV" dmcf-ptype="general"> 안개가 자욱한 그리스 헬모스 산 정상에서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EPFL) 연구자들이 기상 관측용 풍선을 띄우고 있다. '클린클라우드(CleanCloud)'라고 불리는 이 연구는 유럽 대륙의 구름 형성 과정을 더 자세히 파악하는 것이 목표다. 하늘로 올라간 기상 관측용 풍선은 다양한 고도에서 구름의 밀도 등을 측정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26904e1b108f3cf3d1b3060a13d28569acbd3ae7160914bd22f62a7c6bf0043" dmcf-pid="5MQLkxhLL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Jiayi Wan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4268urkj.jpg" data-org-width="680" dmcf-mid="BTlXpS2Xe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ongascience/20250514090024268urk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Jiayi Wang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df6f6fad5d9a1ee097dbcc16b13b69d1de17ea8fb9ec62c26a0368cd63e887b" dmcf-pid="1RxoEMloL9" dmcf-ptype="general"><strong>● 금광을 향해</strong></p> <p contents-hash="21eff5bda35b187400fd2d489d0769ac693f8bd9a597c4deb86c2cb6d17dd20c" dmcf-pid="tU0KPpLKnK" dmcf-ptype="general"> 마지막 수상작에는 시베리아 동부에서 현장 조사를 마치고 숙소로 돌아가는 중국 지질과학대 연구자의 뒷모습이 담겼다. 연구팀은 금 광맥 근처의 지질 프로필을 개발해 광물 탐사자들에게 도움을 준다. 사진을 촬영한 지아이 왕 박사과정생은 "지질학자들은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 수년간 작업해야 하며 실험 기술뿐 아니라 야생 생존 기술도 필수적"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13dd6b4173830a39f9217a66052da425ffb96cb01724e3f0f7240a97517591f" dmcf-pid="Fup9QUo9nb" dmcf-ptype="general"> <참고 자료><br> - nature.com/articles/d41586-025-01398-0</p> <p contents-hash="47c23c621070095ccfafda26096bf984ee9e3bec1dbadabfc277ec45b8bb6b47" dmcf-pid="37U2xug2LB"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윤지, ♥남편까지 등판한 '외도 이혼설' 가짜뉴스 해명 "웃어넘겼다가…" [엑's 이슈] 05-14 다음 독일 핸드볼 분데스리가, 올덴부르크가 메칭엔 꺾고 5위 결정전 첫 승 거둬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