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정보보호혁신특위 신설…전사적 보안 강화 이끈다 작성일 05-14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dHqBUo9D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c2e241917e70efd1829de2f580904f74d5d5658015b62dfb93bc5a38e86a69d" dmcf-pid="PJXBbug2r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etimesi/20250514113004672aztm.jpg" data-org-width="700" dmcf-mid="0f664KkPD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etimesi/20250514113004672azt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 종로구 서린동 SK 본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6dfc6575c877887de18948cc80c22ead55e30bd698ca6fd1c7f05a357290830" dmcf-pid="QQTpUtdzmO" dmcf-ptype="general">SK그룹이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정보보호혁신특별위원회를 신설한다. SK텔레콤 유심 해킹 사태를 계기로 그룹 전반의 정보보호 체계를 강화하기 위함이다. 최창원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직접 위원장을 맡아 그룹 전체 계열사의 보안 수준을 끌어올리고 재발 방지에 총력을 다한다는 구상이다.</p> <p contents-hash="7da9d05f64612f79db1f0168e5d463581c21220f27e051edf47fcecca75ced02" dmcf-pid="xxyUuFJqss" dmcf-ptype="general">14일 공식 출범한 정보보호혁신특위는 그룹 내 계열사 보안 리스크를 사전에 감지·차단하고 보안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독립형 전문기구다.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그룹 최고 의사협의기구인 수펙스추구협의회 산하 9번째 위원회로 설치된다.</p> <p contents-hash="e7aa720b2c0807142d6efdd5cab0ad90cd86b5ce524ddb262340eb1007b98127" dmcf-pid="yyxAcgXDOm" dmcf-ptype="general">김희섭 SK텔레콤 PR 센터장은 이날 해킹 사태 관련 브리핑에서 정보보호혁신특위와 관련해 “그룹 전체 주요 관계사와 생산시설의 정보보호 체계를 점검하고 미비점을 보완, 강화하는 방안을 전체적으로 들여다보는 곳”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56f43410af8d68ef42d7977569fe4c8bcd789c00b7838b34a8633ab0d4ad9336" dmcf-pid="WWMckaZwwr" dmcf-ptype="general">정보보호혁신특위 위원장은 최창원 수펙스 의장이, 실무를 책임지는 부위원장은 윤풍영 SK AX(구 SK C&C) 사장이 맡았다. SK텔레콤에서는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이 위원으로 참여한다.</p> <p contents-hash="c0092b26a64b3ad235b16ad5a6ef7b018bf02ddbf0447e9c26a1bf09d27e64c4" dmcf-pid="YYRkEN5rsw" dmcf-ptype="general">위원회에는 거버넌스 위원장, SK주식회사, SK이노베이션, SK하이닉스, SK텔레콤 등 전략위원회 멤버사와 SK네트웍스, SK브로드밴드, SK스퀘어 등 B2C 멤버사가 모두 참여한다. SK는 위원회 활동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해 학계와 산업계 등 외부 보안 전문가도 공식 멤버로 위촉했다.</p> <p contents-hash="e51713ae9cc06938329887893c6419c26e829ddc66899280c82a6df400d88c7f" dmcf-pid="GGeEDj1mOD" dmcf-ptype="general">디지털정부혁신위원회 위원장을 지낸 권헌영 고려대 교수가 외부자문위원장을 맡는다. 최경진 가천대 교수와 이병영 서울대 교수, 김용대 카이스트 ICT 석좌교수 등 학계 전문가들이 포진했다. 박세준 티오리 대표와 박찬암 스틸리언 대표 등 산업계 보안 전문가들도 자문단으로 참여한다.</p> <p contents-hash="6998885f2434fffe531ccd12c30578f1193de71a5fd6e41333fdeccdd8cd146b" dmcf-pid="HHdDwAtsOE" dmcf-ptype="general">위원회는 실행력을 높이기 위해 사이버보안담당 임원 중심으로 정보보호혁신팀을 운영하기로 했다. 주요사 정보보호최고책임자(CISO)와 법무·컴플라이언스 담당 조직과 연계해 세부 과제를 수행한다. SK텔레콤에서는 손영규 CISO가 이끄는 정보보호실이 참여한다.</p> <p contents-hash="8015a8638627e382a3015b8b7f5d9ef6d356f05a64cbe6c7a4e68f1f0b63962a" dmcf-pid="XXJwrcFOEk" dmcf-ptype="general">위원회는 시스템 취약점 점검을 위한 모의 침투 테스트와 보안 컨설팅도 진행한다. SK 측은 “단순한 선언을 넘어 실행 가능한 과제를 기반으로 그룹 보안 수준을 글로벌 톱티어로 끌어올리기 위함”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b55846039609f59bafc1e4a862e0f0bdf63fe13ab7a31d953433aa21d7560af" dmcf-pid="ZZirmk3IDc" dmcf-ptype="general">특히 유심 해킹 사고가 발생한 SK텔레콤은 정보보호 체계를 글로벌 기준까지 맞춰 재정비한다는 방침이다. 김희섭 센터장은 “이런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하게 방지하는 차원에서 보안 수준을 높이겠다는 뜻으로 이해해달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3eb2be7f99e91cb49dea3597d5e8cf9dc958023b5061ed3dc16acb932a23ac4" dmcf-pid="55nmsE0COA" dmcf-ptype="general">SK그룹 관계자는 “정보보호혁신특위 발족으로 SK그룹 전 관계사의 보안 수준을 끌어 올리고 이해관계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도록 체계적인 정보보호 활동을 강화할 것”이라며 “매월 정례회의와 기술 실무회의를 운영하며 실행력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c50b9177e57672316b73105538881b4b51f110142446072fb8545c6faf30e20" dmcf-pid="11LsODphDj" dmcf-ptype="general">한편 이날 기준 로밍고객과 해외거주자, 정지고객을 포함한 SK텔레콤 가입자 전원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마쳤다. 유심 교체 인원은 누적 169만명, 유심 재설정 인원은 3만9000명이다.</p> <p contents-hash="79d0aedad648d494e2583dcbf9eb8131ab44d0cb186bf5ec13fcbfbbd2b869d5" dmcf-pid="ttoOIwUlrN"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정보보호 관련 조직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류 센터장은 “보안 거버넌스와 조직체계 개편에 대해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면서 “보안강화전략을 발표할 때 조직 체계에 대한 내용도 말씀드리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776cc6ad02f75f0174f11b8808906ba1a0db6bacdede65e30f5618bd013b636" dmcf-pid="FFgICruSEa"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위메이드 "위믹스 직접 채굴 방식 도입…블록체인 공세 강화" 05-14 다음 "도로의 모든 것을 실시간 연결"…자율주행차·일반차·보행자, 협력주행 시대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