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업에 안전한 디지털환경 제공” 작성일 05-14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AI로 보안 서비스 고도화<br>디도스 방어 시스템 구축<br>방어 용량 2배 이상 증설</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ovWvIBWY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40ea457160e390d5c5b3a6d1b16a0738a07464c6a66d25bf38e8cabf9187bf3" dmcf-pid="zgTYTCbY1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T 직원들이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KT 통합관제센터에서 디도스(DDoS) 등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며 관제하는 모습 [K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ned/20250514112712143jtij.jpg" data-org-width="1280" dmcf-mid="uLGZGvVZt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ned/20250514112712143jti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T 직원들이 경기도 과천에 위치한 KT 통합관제센터에서 디도스(DDoS) 등 사이버 공격에 대비하며 관제하는 모습 [K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cfc5d223350cca6c46b38cd7f5a461be35fd3c146369820872c9b9e76d4b1a0" dmcf-pid="qayGyhKGXj" dmcf-ptype="general">KT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반 기업간거래(B2B) 보안 서비스 강화를 통해 기업의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에 나선다고 14일 밝혔다.</p> <p contents-hash="d305cd0bf256379ed2c4d9f35f5a4fe9ac96199e308030ef099349977fbfd01a" dmcf-pid="BNWHWl9HYN" dmcf-ptype="general">자사의 서비스형 보안 상품인 ‘클린존’과 ‘AI 메일보안’ 등으로, 추가 장비 설치나 IT 인프라 변경 없이 사이버 공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ee1a6aa1d5f3cb45f5168acd8d70ab9ca430a2480c7dca92cc4c7f66796a6bc1" dmcf-pid="bjYXYS2XGa" dmcf-ptype="general">우선 클린존은 디도스(DDoS) 공격 발생 시 유해 트래픽은 차단하고, 정상 트래픽만 기업의 서버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임계치 이상의 트래픽을 동반한 디도스 공격이 발생할 경우 고객사 트래픽 우회 후, 클린존 차단시스템에서 비정상 트래픽을 차단하는 식이다. 현재 클린존은 KT가 보유한 530만건 이상 위협 정보 데이터베이스(DB)와 분석 정밀도를 바탕으로, 국내외 대규모 공격을 실시간으로 차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AI가 기업별 트래픽 패턴을 학습해 보다 정밀한 탐지 성능을 제공한다.</p> <p contents-hash="f62cdaeeb67fe26993f84e01d2167160e457e82d2bea017a1c35a45218db69f2" dmcf-pid="KnlTlszTXg"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 KT는 국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ISP) 중 최초로 디도스 방어 시스템을 구축했다. 또 디도스 공격 발생 시 방어 장비로 트래픽을 우회 처리하는 방식인 아웃 오브 패스(Out of Path) 기술 특허를 가지고 있다. 클린존 이용 기업에게는 모의 훈련 및 월별 리포트 제공 등 사전 대응 시스템도 지원된다.</p> <p contents-hash="2a7873ab710446e598e7b0b553a9850c552a0e074b9833d1d3f7952d09d3ce90" dmcf-pid="9LSySOqyXo" dmcf-ptype="general">나아가 KT는 클린존 방어 용량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증설할 계획이다. 디도스 공격 탐지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고객 전용 모니터링 대시보드도 올해 3분기 내 도입된다.</p> <p contents-hash="406d8f226ae75027e890054ac4d7406b7b967e4a8d0c201457caafda9c480b67" dmcf-pid="2ovWvIBWGL" dmcf-ptype="general">AI 메일보안은 이메일을 통한 스팸메일, 피싱, 랜섬웨어 등으로부터 기업의 중요 정보를 보호하고, 안전한 디지털 비즈니스 환경을 지원한다. AI 기반으로 기업 임직원이 수신한 메일의 발신자, 첨부파일, 본문 내 URL 등을 분석해 사이버 공격 여부를 실시간 판단하고, 차단하는 식이다.</p> <p contents-hash="9b233096b2c4951922bf9798feec72c8563a6213babe1612c774919ea7ea0959" dmcf-pid="VgTYTCbYGn" dmcf-ptype="general">KT는 올해 3분기 내에 AI 메일보안에 AI 거대언어모델(LLM)을 접목해 위협 메일 차단 리포트 기능을 강화할 계획이다. AI 어시스턴트에게 AI 탐지 내용 요약 등을 질의하면, AI가 탐지한 공격의 위험도, 중요도, 조치 필요 사항 등 상세 분석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안 전문 인력이 부족한 기업이라도 위협 분석과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13065f6b8c0482d2d2718000232d92df26211058d0c9d329a7ae44d21eed30da" dmcf-pid="fayGyhKG1i" dmcf-ptype="general">AI 메일보안은 KT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위협 탐지 및 차단이 이뤄진다. 또 일평균 60만건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실시간으로 새로운 위협 패턴도 학습 중이다. KT는 지난 1년간 지능형 지속 공격(APT) 등 기존 보안 설루션이 탐지하지 못했던 약 1만3000건의 변종 지능형 악성 메일을 추가 차단했다.</p> <p contents-hash="8c1f2b3ce39f88ee4184de426e7f40176f4252860007aa03f64fbad954e8cc24" dmcf-pid="4NWHWl9HXJ" dmcf-ptype="general">명제훈 KT Enterprise부문 서비스Product본부장은 “기업 고객의 안정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위해 보안 서비스를 끊임없이 고도화 중”이라며 “AI 기반 정밀 분석과 대응 체계를 바탕으로 기업들이 사이버 위협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고재우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 시대’ 세계 10위권 슈퍼컴 구축 05-14 다음 “부진 끝이 보인다”…엔씨소프트, 신규 IP로 재도약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