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길고, 직장은 짧다”...인생 2막 고민하는 직장인들 작성일 05-14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자격증 취득 준비 가장 많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wk2uFJqAX"> <p contents-hash="12e95bef514d47f2aedba610d258c35d3d5a37dfc49429d1aefb78a296ada50f" dmcf-pid="zoipXy41kH"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백봉삼 기자)수명 증가로 노년이 길어지는 한편, 직장의 직업 안정성이 낮아지면서 현재 직업에서 은퇴 후 새로운 일을 찾는 '인생 이모작'을 하고자 하는 직장인이 10명 중 9명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8af12ae4e5b8c33c95d50eae4c1907de57c3b444b38b3e9f89cce5fec893201a" dmcf-pid="qgnUZW8tkG" dmcf-ptype="general">커리어 플랫폼 사람인(대표 황현순)이 직장인 965명을 대상으로 '인생 이모작 의향'을 조사한 결과, 91.4%가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이상(93.1%), 40대(91.4%), 30대(88.4%), 20대(84.8%) 순으로, 연령대가 높을수록 은퇴 후 재취업에 대한 의지가 다소 높았으나 비교적 전 연령대에서 고루 이모작 의향이 많았다.</p> <p contents-hash="17969831805fe9d8918f9cb1561f5bf26eeeda2cfbe5bbd02c46ccc1993725a1" dmcf-pid="BaLu5Y6FAY" dmcf-ptype="general">이들은 인생 이모작을 하려는 이유로 '계속 안정적인 수입이 필요해서'(55.2%,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다음으로 '정년 없이 일하고 싶을 때까지 일하기 위해서'(45.6%), '노후 대비를 위해서'(37.3%),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서'(24.3%), '현재 직무는 정년이 짧을 것 같아서'(17.9%), '현재 직무는 AI로 대체될 가능성이 커서'(6.5%) 등의 순이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6d48ba1cb9faa8ba3fec668024ce2a70214bbfc7fa080d3f7c6d7128b8ac27" dmcf-pid="bNo71GP3k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미지투데이 AI 생성 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ZDNetKorea/20250514114833140vxsn.jpg" data-org-width="638" dmcf-mid="U21waiWAA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ZDNetKorea/20250514114833140vxs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미지투데이 AI 생성 이미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50e37395fb9b2ebb3bab2e469a3a60a905afc629c1390c4060eab4eec43e1f8" dmcf-pid="KjgztHQ0Ay" dmcf-ptype="general">인생 이모작을 할 때 가장 하고 싶은 분야는 '창업 및 자영업'(21.7%)이 1위였고, 근소한 차이로 '생산직, 용접, 목공, 운전 등 블루칼라 직무'(20.4%)가 뒤를 이었다. 이밖에 '영업, 재무, 등 화이트칼라 직무'(17.8%), '변호사, 노무사, 행정사 등 전문직'(8.8%) 등이 있었다. 이 때, '블루칼라 직무'를 하고 싶다고 밝힌 응답자들(180명)이 구체적으로 원하는 직무는 '일반 제조, 생산직'(38.9%,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기계 장치 조작'(26.7%), '차량 및 특수차량 운전'(21.1%), '전기'(20.6%), '단순 노무'(16.1%), '정비'(15.6%), '목공'(13.9%), '도배'(12.8%), '용접'(9.4%) 등의 순이었다.</p> <p contents-hash="8e88f5819813f49aa75547797682e4ecead09af140db3432cbdbf39311a82af0" dmcf-pid="9AaqFXxpAT" dmcf-ptype="general">새로운 일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는 연령대는 '60대'가 42.2%로 가장 많았다. 뒤이어서 '50대'(28.5%), '40대'(16.4%), '30대'(6.5%), '70대 이상'(5.4%), '20대'(1%) 순으로, 60대 이상이 절반 가량이었다. 새로운 일을 할 때 원하는 세후 월수입은 평균 402만원으로 집계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6a44ce79388809291aad0fc0c2d7a185ad7a9289e759b5f8218de85788e9996" dmcf-pid="2cNB3ZMUN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람인 인생 이모작 조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ZDNetKorea/20250514114834635ijch.jpg" data-org-width="640" dmcf-mid="uNNB3ZMUa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ZDNetKorea/20250514114834635ijc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람인 인생 이모작 조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0cbe5f32e950cfc1e4b0d229f59462f940ed6f9ca8a35fb0db1b672e33e7eac" dmcf-pid="Vkjb05RucS" dmcf-ptype="general">사람인은 직장인들이 실제로 인생 이모작을 준비하고 있는지도 조사했다. 그 결과, 인생 이모작 의향이 있는 직장인의 46.6%가 현재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50대는 절반 이상(51.6%)이 준비 중이었으며, 40대(43%), 30대(40.6%), 20대(35.7%)도 적지 않았다.</p> <p contents-hash="4345e43ace3d4be9ebd58ef74585c822d3875a7805551e8b4b56309a417263e5" dmcf-pid="fEAKp1e7gl" dmcf-ptype="general">인생 이모작을 위해 준비하는 것은 '관련 자격증 취득 준비'(49.9%, 복수응답)가 1위였다. 이외에 '관련 교육과정 수강'(28.5%), '관심 직무 실무 경험 쌓기'(27.7%), '전문 기술 습득'(27%), '종자돈 모으기'(19.2%) 등이 있었다.</p> <p contents-hash="cd744269296ce0b5e343c504fedfc59107de6c1e70fa5f32c4ee9f035cbf52ab" dmcf-pid="4Dc9Utdzkh" dmcf-ptype="general">이들은 새로운 일을 고르는 기준으로 '정년 없이 평생 할 수 있는 일'(56%,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들었다. 다음으로 '적성에 맞고 흥미를 찾을 수 있는 일'(40.4%), '여유가 있고 개인 시간이 많은 일'(34.2%), '인간관계의 피로가 적은 일'(24.5%), '수입이 많은 일'(17.2%), 'AI, 자동화로 대체가 어려운 일'(11.6%)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p> <p contents-hash="1a474a3aef88dcb4856ca8f0a3acd08fe3cb0b0b6b76c6741a95cf9fe87b5b23" dmcf-pid="8wk2uFJqAC" dmcf-ptype="general">사람인 관계자는 "세대를 막론하고, 정년 없이 평생 일하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제2의 직업을 찾고 싶어하는 직장인이 다수"라며 "청년뿐 아니라 중장년층도 자신이 축적한 경험과 적성, 흥미를 자세히 파악하고 진단해 길게 일할 수 있는 직업을 찾는 것이 인생 이모작 성공의 지름길"이라고 조언했다.</p> <p contents-hash="66385efa44c35d185eaaf60da193946ed56125775721a8f81460cb64d8a905c8" dmcf-pid="6rEV73iBNI" dmcf-ptype="general">백봉삼 기자(paikshow@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차세대 글로벌 톱티어’ 제로베이스원, 美 빌보드 차트 롱런 인기 청신호 05-14 다음 KEL, 전국 14개 팀 참가하며 첫 출범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