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 발표…"10월부터 순차지원 목표" 작성일 05-14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NSpDj1mC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0a66d024773f7b6b14f426f80ad4c449c7da430a8d885e528d39f0385e5bb03" dmcf-pid="8NSpDj1mh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첨단 GPU 확보 추진 방안 목표 일정.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t/20250514120517261tjft.jpg" data-org-width="540" dmcf-mid="fjZ9lszTy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t/20250514120517261tjf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첨단 GPU 확보 추진 방안 목표 일정.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9b32eacd796659fd913baa3c957d4ecdbdc73c00ea6d29c50927b52b09e9b9d" dmcf-pid="6jvUwAtsT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확정·발표했다.</p> <p contents-hash="a0c5de661d28f51559f6c67c701633c8b7f8bf4011263629807184de59cf43cb" dmcf-pid="PATurcFOSX" dmcf-ptype="general">정부는 민관 합작 국가AI컴퓨팅센터와 슈퍼컴 6호기 구축을 가속화하는 한편, 연내 GPU 1만장 확보를 공식화하고 이를 위한 1조4600억원 추경 예산을 편성했다. 이에 신속한 GPU 확보와 국내 산학연 지원을 위해 '첨단 GPU 확보 추진방안'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추진한다.</p> <p contents-hash="632a13899728b9e0a40d1181519bcba013a17db34a9956d3482d6fd174a83f97" dmcf-pid="Qcy7mk3ITH" dmcf-ptype="general">먼저, 첨단·대규모 GPU를 신속히 확보·구축·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서비스제공사(CSP) 공모·선정에 나선다. 국가AI컴퓨팅센터(SPC) 참여 클라우드 기업(CSP) 중심으로 우선 선정하며, 공모에 참여할 클라우드 기업이 가용예산 내 GPU 확보·구축 계획을 제시하는 형태다.</p> <p contents-hash="eb095d3418a38f6e18e23b07b1447fa1d0c3fa7aa3363644d9db99f6a4b2fec7" dmcf-pid="xkWzsE0CWG" dmcf-ptype="general">별도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서면·발표 평가와 현장실사를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평가는 재정 투입 대비 컴퓨팅 성능을 포함한 첨단·대규모 GPU 확보 구축 역량, 신속한 GPU 서비스 실행력, GPU 자원 자체 활용 비중과 계획(CSP 운영비 성격 고려) 등에 중점을 두고 진행한다.</p> <p contents-hash="cd5d7b335469b9c675b1b143bffaee3a76a16401e52069d3d25e2c9bba92a540" dmcf-pid="y7ME9zNfWY"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선정된 클라우드 기업과 추후 권리 등에 관한 협약(5년 단위)을 체결하고 GPU 구매발주를 신속 추진한다. 협약 내용에는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의 GPU 소유권 확보, 국가AI컴퓨팅센터의 GPU 사용, 선정된 클라우드 기업(CSP)의 일부 GPU 자원 자체활용 허용 등을 포함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3e8535b10fec92e5c3673e3689903b2946767bf5779576ed43483cb209dc3672" dmcf-pid="WzRD2qj4CW" dmcf-ptype="general">선정된 클라우드 기업의 GPU 구매·확보 과정에서 해당 클라우드 기업이 보유한 기존 데이터센터 인프라(전력, 네트워크 등)도 사전 정비한다. 순차적인 GPU 확보와 함께 이를 데이터센터에 순차적으로 구축하고 GPU 서비스 안정화도 병행 추진할 방침이다.</p> <p contents-hash="8e5d86e423822ebfb32534ab0e01073c92d25d9f88f8e411465439e7047c6397" dmcf-pid="YqewVBA8Wy" dmcf-ptype="general">GPU 구매·구축 이후에는 국가AI컴퓨팅센터 중심으로 국내 산학연과 국가적 프로젝트 등에 전략적으로 GPU 지원을 배분하며 상시 지원체계 등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GPU 구매·구축 과정에서부터 국내 GPU 수요와 용처를 세밀히 파악해 이에 근거한 맞춤형 GPU 지원방안 수립·이행을 꾀한다.</p> <p contents-hash="2c2d4f43c5f1e652a3c85f7adb70351847e0684fa2653fc486e4aa5f3c16d4e4" dmcf-pid="GBdrfbc6WT" dmcf-ptype="general">또한, 시장수요 총조사·분석, 정책 우선순위, 실적·성과 등에 따라 GPU 지원 비중을 탄력적으로 조정해나간다. 국내 산학연 등의 GPU 사용 부담은 적정 수준으로 설정하고 활용 기관 규모와 타사업의 자부담 수준 등을 고려해 올 9월까지 구체적인 부담(매칭) 수준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eeb76d1c2ccf65a9aa2bb142942870f6ca8ae03fd9a19b4c3e73be49d19bb9cf" dmcf-pid="HbJm4KkPWv"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오는 16일 클라우드 기업 대상 사전설명회를 연다. 이어 미국 현지에서 엔비디아와 심도 있는 협력을 논의할 예정이다.팽동현기자 dhp@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해외 로밍까지 유심보호서비스 완료…SKT, 그룹·자체 보안 체계 강화 05-14 다음 피겨 선수 첫 실업팀 입단 차준환 "더 나은 환경 기대돼"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