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 시대 해법은 '에너지·AI·인재'"...공학한림원 국가 전략 발표 작성일 05-14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g7Oz5RuY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5c76913762d68587481dbf1572d82fb96d26eb2a795872f1b540f4ba27e6b9" dmcf-pid="B2vJTruSt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공학한림원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국회미래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 정책 브리프' 내용을 발표했다./사진=한국공학한림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moneytoday/20250514164229645xppa.jpg" data-org-width="1200" dmcf-mid="zAVyfug25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moneytoday/20250514164229645xpp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공학한림원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국회미래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 정책 브리프' 내용을 발표했다./사진=한국공학한림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2d7a42ec88bcedd2d11e97c501fbde73d02ed3df44dea0d990da958a1743526" dmcf-pid="bVTiym7vZl" dmcf-ptype="general"><br>한국공학한림원이 3대 혁신 전략으로 '에너지·인공지능(AI)·인재'를 선정하고 차기 정부에 국가 주도의 정책 대전환을 주문했다. △전력 시장 구조 개편과 국가 주도 전력망 확충 △공공 고성능 AI 인프라 구축과 규제 혁신 △대학·기업·정부 연계 기반 인재 육성과 조직 중심 연구 체계 전환 등 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한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p> <p contents-hash="81b35089835b8c5ed4037fbde048ae8fb4ee77c6fa497ce2a9ed1968482fa23d" dmcf-pid="KfynWszTth" dmcf-ptype="general">공학한림원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국회미래연구원과 공동으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2025 정책 브리프' 내용을 발표했다. 행사에는 우원식 국회의장을 비롯해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정책위의장, 김기식 국회미래연구원 원장 등이 자리했다. </p> <p contents-hash="2819b0e86f2adc88658d2bb4e0b33559249d4b0564df0fc17e6b368dca3dc166" dmcf-pid="94WLYOqy1C" dmcf-ptype="general">공학한림원은 대선이 열리는 시기에 맞춰 산업·기술 분야 주요 과제를 중심으로 산학연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은 정책 총서를 발간한다. 올해는 정책기획 TF(태스크포스)를 중심으로 산학연 전문가 100여명이 참여해 '브리프' 형식으로 제작했다. </p> <p contents-hash="79fa1a3f81d43ceabaf1d15edf996b51d6829441394bf6c1b96cd2d6f845475a" dmcf-pid="28YoGIBWHI" dmcf-ptype="general">차기 정부가 최우선으로 추진할 과제로 에너지·인공지능(AI)·인재 분야 혁신 인프라 구축이 꼽혔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전력 산업을 시장 중심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력산업을 국가 핵심 산업으로 지정해 육성하고 직류화, 분산화, 디지털화에 기반한 에너지 신산업을 양성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왔다. </p> <p contents-hash="06c4e7c525cff08b21c933b37751c07274c724ffed31bdaea8807979a11536f5" dmcf-pid="V6GgHCbYXO" dmcf-ptype="general">주제 발표에 나선 박종배 건국대 교수는 "제조업의 경쟁력은 전력 경쟁력에서 나타난다"며 "요금제 개편과 민간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실용적인 전력 산업 시장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 <p contents-hash="2b4fa4a315ecab07169be6e7161797391405d64c567f776a87f45ff7dcaa1b4e" dmcf-pid="fPHaXhKGts" dmcf-ptype="general">AI 부문에서는 AI 응용 모델을 집중 육성하고 AI 산업을 위한 데이터 슈퍼 하이웨이 구축에 힘을 실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를 위해 AI 관련 규제가 완화돼야 한다고도 언급됐다. 구현모 전 KT 대표이사 겸 카이스트 겸임교수는 "예를 들어 의료데이터는 개인정보 유출 문제와 직결돼 있다"며 "환자 단체 등의 반대로 옥석이 될만한 데이터 수집이 쉽지 않다. 정부가 이런 규제를 정비하고 특례 등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4707a2ed72e3ee31dc095a6bf791d13a008617ddcd7174b85660e75c67be845e" dmcf-pid="4QXNZl9HYm" dmcf-ptype="general">주영창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는 학령 인구가 감소하고 해외로의 인재 유출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학, 기업, 정부가 하나의 팀으로 초격차를 선도하는 인재를 육성하고 교수가 아닌 조직 중심의 연구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와 함께 재직자의 재교육을 강화하고 양질의 인재를 유인하기 위한 보상 체계를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덧붙였다.</p> <p contents-hash="afd8d51c8907c48a4e54cd0983b120a7b0741ddd6efba27f56e5432e46bea872" dmcf-pid="8xZj5S2Xtr" dmcf-ptype="general">우원식 국회의장은 "각 정당이 이번 제언을 잘 소화해 정책에 맞게 공약으로 발표·실현하는 과정에서 국회가 우리 사회가 가야할 방향을 잘 조정·조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4a0fdc9e861f59723538da22a055958a1ba5f25c8082aa7b128f231cf412864" dmcf-pid="6M5A1vVZtw" dmcf-ptype="general">최지은 기자 choiji@m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위메이드, 적자폭 줄였다…'매드엔진' 편입 효과 05-14 다음 (데스크)침묵 깬 이재용, 삼성전자 M&A 광폭 행보 시동… 미래 먹거리 확보 나섰다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