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 한 대에 200만원 시대…아빠들은 운다 작성일 05-14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00만 원 넘어 '등골브레이커'된 지 오래<br>美 관세 영향으로 향후 더 오를 듯</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f9LrgXDS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dfd3a64286a4eadbbfa1de5b09e7487029e3310919f82363f079e3ef475b21b" dmcf-pid="b6faOj1ml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애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t/20250514165113749okoh.jpg" data-org-width="640" dmcf-mid="q9jT3W8th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4/dt/20250514165113749oko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애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b458d16f6419073088c1007f350614bc9f57634e842bfbd01412eecdc030ba6" dmcf-pid="KP4NIAtsTi" dmcf-ptype="general">'스마트폰 한 대에 200만원.'</p> <p contents-hash="086742a5d632a8162479e777daaec79a6862c601ade57874303916894f42e243" dmcf-pid="9Q8jCcFOlJ" dmcf-ptype="general">글로벌 공급망 여파와 미국 관세 영향으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한 대 가격이 곧 200만원을 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수년간 급격한 '폰플레이션'이 발생해 부모가 자녀들에게 단말기 한 대를 사주려면 100만원이 넘게 들어간지 오래. 여기에 더해 200만원 시대가 열리면서 스마트폰은 진정한 '등골 브레이커'가 될 예상이다.</p> <p contents-hash="c9ffc49b9f2f63d973465455e6474578fefaee6fcfad278269ea7433f0a51fb7" dmcf-pid="2x6Ahk3Ild" dmcf-ptype="general">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통신3사는 삼성전자 신작 플래그십 스마트폰 초슬림형 모델 '갤럭시S25 엣지'의 공시지원금을 최대 25만원으로 책정됐다. 갤럭시S25 엣지 모델은 256GB, 512GB 스토리지를 탑재한 모델이 각각 149만6000원, 163만9000원으로 책정됐다. 기기값에 비해 크지 않은 '짠물' 공시지원금으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비용은 더 비싸지는 상황이다. </p> <p contents-hash="6df454db1fc9081f739851eef06b904806082974ee6ac111f2a6db8d7ebd7a74" dmcf-pid="VMPclE0CSe" dmcf-ptype="general">올해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S25울트라'의 출고가는 최고 사양 기준 212만원이다. 애플의 '아이폰15 프로 맥스' 가격은 가장 큰 용량인 1TB 기준 227만원에 달한다. 통신3사의 공시지원금이나 제조사 자체의 할인 혜택을 받아도 실제 구매가는 높은 수준이다.</p> <p contents-hash="2fddbe2d45c1eae715b2bb77740cc3a9ee2500ef2068679690ac9bc86d65d076" dmcf-pid="fRQkSDphCR" dmcf-ptype="general">스마트폰 가격이 이렇게 오른 것은 프리미엄 폰 제조사들이 성능 경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등 부품을 고급화해 제조원가가 상승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공급망 위기 이후 물류비도 올랐다.</p> <p contents-hash="73a95686fbd0eaf8bdf12808da15bd4df8f2b21cada0e1cd481eb558b22d7824" dmcf-pid="4exEvwUllM" dmcf-ptype="general">단말 고가 정책에 대한 견제 장치는 사실상 전무하다. 특히 한국은 LG전자가 모바일 사업을 접으면서 경쟁 구도가 '삼성 대 애플'로 단순화된 이후 제조사가 단말기 가격을 정하고 시장은 이를 받아들이는 구조가 정착됐다. 소비자는 가격 수용자일 뿐이다.</p> <p contents-hash="585f04235bae5473c20fcca8382fda6ef8dae7c9348673cd9322937ebd5defbc" dmcf-pid="8dMDTruSSx" dmcf-ptype="general">최근 글로벌 무역환경도 단말기 가격에 부담을 주는 요인으로 꼽힌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된 이후 관세가 화두가 되면서 단말 가격 상승 가능성이 높아졌다. 12일(현지시간) 미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출시하는 신형 아이폰 시리즈의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스마트폰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제외 품목으로 지정됐지만 중국산 제품에 펜타닐 관세 20%는 여전히 적용받고 있다. 아이폰의 경우 여전히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는 만큼 관세 적용으로 인한 원가 상승이 불가피해 가격 인상이 이뤄질 전망이다. </p> <p contents-hash="5203187d18ced573bd52762673ea50511916b7712f6eec2d822ba4ff875cf88f" dmcf-pid="6JRwym7vvQ"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관세로 인한 미국 내 폰 가격이 오르면 미국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시장에서 단말을 구매해 반입하려는 수요가 늘어날 수도 있다고 전망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제조사 입장에서는 국가간 가격 차이로 브랜드 통제력이 약화되고 이를 막기 위해 한국 내 단말기 가격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어 한국 소비자 역시 관세의 간접적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2155b1819bda8fc276f40d29332c7457366482729a09f03c0b5f456faf37f3bb" dmcf-pid="PierWszTCP" dmcf-ptype="general">팬데믹 이후 단말 가격이 상승하면서 통신사 보조금 전략에도 변화가 감지됐다. 고가 단말기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가 늘면서 보조금을 늘려도 실구매가에 이전과 달리 큰 차이가 나지 않아 마케팅 경쟁이 되레 줄었다. 오는 7월 단말기유통법(단통법)이 폐지돼도 보조금이 크게 늘어들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팬데믹 이후와 5G 상용화로 시끄러웠던 2019년 이후 신규 단말 가입자가 많이 줄었다"며 "공급망 불안정화 등의 여파로 인한 단말 출고가 인상도 소비자 급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f1cf979359ea0b96840e9d3c78730de7e8d9d0eefcb311851d26800c14bc325a" dmcf-pid="QndmYOqyh6" dmcf-ptype="general">스마트폰 보조금 대신 콘텐츠, 구독, 와이파이 등 비장비형 혜택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을 전환할 가능성도 나온다. 단말기 할부 기간을 36개월 이상으로 늘리는 장기 금융 모델도 확대되고 있다. 치솟는 단말기 값을 잡을 수 있는 정부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제조사와 통신사 유통구조에 대한 제도적 감시와 자율적 견제를 동시에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되살아난 게임 2N·1K 구도, '큰 형님' 엔씨는 언제쯤 회복할까 05-14 다음 [컴앤스톡] 궤도 오른 홍범식호, LG유플러스 주주환원 기대감↑ 05-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