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AI컴퓨팅센터 카운트다운]〈3〉광주시 “데이터센터·실증장비·창업지원·인력양성 등 최적” 작성일 05-15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MG6OtdzsS">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fdfc396711827d767139417d20819067e8251d5d846337314e55bb47fd45d7" dmcf-pid="qjuoHKkP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광주시는 지난 2월 20일 오후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AI 혁신 거점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07656mixk.jpg" data-org-width="700" dmcf-mid="UeG0nIBWw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07656mix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광주시는 지난 2월 20일 오후 서울 국회의원회관에서 'AI 혁신 거점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f55d4a4595d2fb44481d9360979fe1788f73a1171fde7e8ceaebc4f03c5b068" dmcf-pid="BA7gX9EQDh" dmcf-ptype="general">'인공지능(AI) 선도도시'를 표방한 광주시가 글로벌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추진하는 국책 연구시설인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전에 나섰다.</p> <p contents-hash="1708da1a9f6376f7c745be776db32fcbf37774369201910384dc81397bda2b3c" dmcf-pid="bczaZ2DxIC" dmcf-ptype="general">시는 광주가 국내 최고 수준 AI 인프라를 갖춘 곳이라고 자평하고 있다. 2020년부터 4269억원을 투입한 AI집적단지 1단계 사업을 추진해 AI인프라를 갖췄다. 총 사업비 950억을 투입해 지난 2023년 11월부터 첨단3지구에서 본격적인 운영을 시작한 '국가AI데이터센터'가 핵심 시설로 손꼽힌다. 센터는 엔비디아의 초고성능 그래픽 처리 장치(GPU) 'H100'을 탑재한 서버를 구축해 88.5페타플롭스(PF·1초당 1000조번 연산 처리)의 연산 능력을 갖고 있다.</p> <p contents-hash="2bcaa898338c8df2eca8e4160d66986d49e5ac400a76aef105c2fb7ffcfa2f8d" dmcf-pid="KkqN5VwMEI" dmcf-ptype="general">국내 최초 AI 전문인력 양성기관인 'AI사관학교'도 강점으로 꼽힌다. 2020년 첫 기수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221명의 전문 인력을 배출했으며, 1~4기 졸업생 중 70.9%가 취·창업했고, 지난해 5기에서는 52명이 졸업 전 조기 취업했다. 다음달부터 만 18~39세 이하 미취업 청년을 대상으로 6기 교육에 들어간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9613908fe420fefed3e85af2622071e1a35e4bc75d86b0777ab84fa984a99c3" dmcf-pid="9EBj1frRm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가AI데이터센터."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09120vyat.jpg" data-org-width="690" dmcf-mid="uAHpLCbYw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09120vya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가AI데이터센터.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4b94bc7407a7b2e7e52fb1a93d912427ab054d986935f4e8b7b0d09a38b21c5" dmcf-pid="2DbAt4mess" dmcf-ptype="general">시는 오는 2027년까지 광주과학기술원(GIST) 인근에 'AI영재고등학교'도 개교할 예정이다. GIST 부지에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로 건립하며 2027년 3월 개교를 목표로 한다. AI사관학교에 이어 AI영재고가 들어서면 AI 인재 양성을 위한 맞춤형 사다리 교육 시스템이 완성되는 셈이다.</p> <p contents-hash="f0594a234689f320caf7dee353058873c92ee68748d3fce8dda92c9d46ea9ad3" dmcf-pid="VwKcF8sdIm" dmcf-ptype="general">광주 AI인프라를 활용하기 위해 본사를 이전하거나 지사를 설립하겠다며 시와 업무협약(MOU)을 맺은 기업은 281개사로 이 가운데 55.5%인 156개사가 광주에 사무소와 연구소를 차렸다. 이들 기업은 AI기업·연구소·대학 등에 2000여건 연구·개발(R&D) 과제 지원, 상용화 328건, 논문 게재 611건, 특허 출원·등록 687건 등의 실적을 냈다. 2173명 고용 창출, 996억 매출도 기록했다.</p> <p contents-hash="d2ad11688a13f3306726d8f7ecae37a9991f8c214f3d1c64ee25e2da7f0c1aa9" dmcf-pid="fr9k36OJEr" dmcf-ptype="general">시는 국가AI컴퓨팅센터는 고성능 컴퓨팅 자원과 AI 연구 개발을 위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핵심 시설로 AI 관련 스타트업, 기업, 연구기관이 모여 첨단산업 중심지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단순히 센터 유치에 그치지 않고 광주가 보유한 자동차, 헬스케어, 에너지 산업과 AI 기술을 융합하는 산업 클러스터 구축, 글로벌 AI 기업과의 협력, AI 윤리 및 데이터 보호를 위한 규제 마련 등 AI 산업의 중심지가 될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6859e5a76bbedef59f3aabe6ee75b01730f284d8cb28e81c1d52f99ffae98b0" dmcf-pid="4m2E0PIiD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광주시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강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10447ecwu.jpg" data-org-width="700" dmcf-mid="73rUohKGm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5/etimesi/20250515092610447ecw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광주시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강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cd8d37be71f084eb6313ee8ff053de19ee207fea58e70af1af33ff520a7c7a" dmcf-pid="8sVDpQCnmD" dmcf-ptype="general">특히 국가AI컴퓨팅센터 개소 전이라도 AI컴퓨팅 서비스를 조기 개시 할 수 있는 국내 최고 수준 인프라를 갖춘 지역임을 부각하고 있다. AI데이터센터와 실증장비, 창업지원, 인력양성 등 국내 최고 수준의 AI인프라를 갖춘 곳이라고 강조한다. AI컴퓨팅센터 구축의 핵심인 전력 문제도 국내 최대 재생에너지 생산지인 전남과 인접한 지리적 조건으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친환경 에너지 활용이 가능하다.</p> <p contents-hash="d9d58c4b8eb61c5c5364d63a088aa898a6841ff0c407fd060ab785d3541e7eb3" dmcf-pid="6OfwUxhLrE" dmcf-ptype="general">시는 AI를 활용해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AI를 다른 산업에 연결하는 2단계 AI 전환(AX) 실증밸리 조성 사업에 더해 초거대 AI로 나갈 채비를 마쳤다.</p> <p contents-hash="79c1e97e3a5271ba0b98b7cf929a60986e411217b60534462117fc519bc150e7" dmcf-pid="PI4ruMlowk" dmcf-ptype="general">강기정 광주시장은 “국가AI데이터센터에 이어 국가AI컴퓨팅센터까지 확보하면 광주는 중소규모 데이터 처리에서 거대언어모델(LLM) 개발까지 AI 산업 생태계의 전주기 기업들의 수요를 아우를 수 있게 된다”며 “국가AI컴퓨팅센터가 광주로 와야 수년 동안 쌓아온 AI 인프라와 기술 노하우를 제대로 활용하고 AI 산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3aeed73a32ab9108002d15c7a8a9976bf311ceb6b8825a744df0dfcac6cad98" dmcf-pid="QwKcF8sdEc" dmcf-ptype="general">광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피프티피프티 소속’ 어트랙트, 예스24 지분 투자 유치 05-15 다음 서울마주협회장배 출전 빈체로카발로-크라운함성-블랙맘바, 단거리 최강자는? 05-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