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톡톡] “AI는 누구의 것인가”… 머스크vs올트먼, 기술·철학·안전성 전방위 충돌 작성일 05-15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머스크, AI 안전성 경고했지만 xAI는 ‘최하위’ 평가<br>법원, 머스크의 오픈AI 영리 법인 전환·MS와의 협력 제동 가처분 기각<br>“AI 기술 공공성·주도권 둘러싼 프레임 전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9Td4HQ0A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f6be4b5233e6d8d3bebf2eaf15ff9beed65919cbf463fcadb992b6f2bda1918" dmcf-pid="f2yJ8Xxpj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러스트=챗GP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5/chosunbiz/20250515143930072uvnh.jpg" data-org-width="1536" dmcf-mid="2jWi6ZMUk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5/chosunbiz/20250515143930072uvn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러스트=챗GPT </figcaption> </figure> <blockquote class="quote_frm" contents-hash="1d78fdd16ff28f36ef7db854b8b9044ee9e277782d66d0bccf22a19e6a67046c" dmcf-pid="4VWi6ZMUAX" dmcf-ptype="blockquote1"> <span>AI는 인류 전체의 이익을 위해 개발돼야 한다.</span> </blockquote> <p contents-hash="b79f4335415d40c054b8325e804accc20792355b2b035a00860c79326b2b1b11" dmcf-pid="8fYnP5RuaH" dmcf-ptype="general">지난 2015년 오픈AI를 설립할 당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함께 내세운 철학입니다. 올트먼 CEO는 2010년대 초 머스크 CEO의 스페이스X 공장을 찾아가 인연이 시작됐고, 2015년 함께 오픈AI를 창립했습니다.</p> <p contents-hash="9d561416aaecdbc235f703c6819ea904ed1dbfaa02321dac397a6743d83a221e" dmcf-pid="64GLQ1e7kG" dmcf-ptype="general">그러나 2018년 내부 권력 다툼을 계기로 두 사람의 관계가 틀어졌고, 이후 “사기꾼” “악마로 변한 조직” 등의 막말과 조롱이 오가며 감정의 골이 깊어졌습니다. 현재 두 사람은 ‘누가 진짜 인류를 위한 AI를 만들고 있는가’를 놓고 기술, 안전성, 플랫폼, 법정 공방, 정치적 이해관계까지 전방위 충돌을 이어가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09b9339531dcb5922afb78c727606ea940ff5a75c9b87fdfde61536c458fa319" dmcf-pid="P8HoxtdzoY" dmcf-ptype="general"><strong>◇ xAI, 안전 조치 미이행… 오픈AI는 리스크 대응 강화</strong></p> <p contents-hash="470c9b5d29072d1b485cd2daa33404df94506b1eabeba73b0a6f4d06e4901435" dmcf-pid="Q6XgMFJqNW" dmcf-ptype="general">15일 업계에 따르면 머스크 CEO가 이끄는 xAI는 지난 2월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자사의 인공지능(AI) 안전 프레임워크 초안을 발표하며 “3개월 내 개정본을 내놓겠다”고 약속했지만, 현재까지 아무런 발표도, 공식적인 설명도 없습니다. 감시단체 ‘더 마이다스 프로젝트’는 “머스크 CEO가 직접 서명한 글로벌 합의조차 이행하지 않았다”며 비판했습니다.</p> <p contents-hash="4c2a2b0ba2df78592f4968f0552ee648069de9b14d1d1bb69aa9d4d4ebbddc2e" dmcf-pid="xMtAJUo9ay" dmcf-ptype="general">초안은 내용 면에서도 “향후 개발될 모델에만 적용된다”는 모호한 문구를 담고 있으며, 핵심인 위험 식별 및 완화 조치는 빠져 있습니다. 머스크 CEO가 AI의 위험성을 누구보다 강하게 경고해왔다는 점에서, xAI의 소극적인 대응은 오히려 이율배반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될 수밖에 없습니다.</p> <p contents-hash="0480856358d12133aa2418bed3c74aa57389ff789e1b6b72966312a404825f74" dmcf-pid="yWoUXAtskT" dmcf-ptype="general">더 큰 문제는 실질적인 운영 윤리입니다. xAI의 챗봇 ‘그록(Grok)’은 여성 사진을 벗기게 해달라는 요청에 응답하는가 하면, 경쟁 서비스보다 욕설 사용 빈도가 높았습니다. 비영리 AI 감시단체 세이퍼 AI(Safer AI)는 최근 보고서에서 xAI를 “위험 관리 능력이 업계 최하위권”이라고 평가했습니다.</p> <p contents-hash="738a638e67c736724fd199509e7648e5632537addfddd16274b85206686f161e" dmcf-pid="WYguZcFONv" dmcf-ptype="general">김명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AI안전연구소장은 “머스크 CEO는 AI가 인류를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를 가장 먼저 외친 인물이지만, 정작 xAI의 대응은 그 신념과 어긋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며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약속한 안전성 프레임워크 개정안을 공개하지 않은 것도 문제지만, 트위터(현 X) 인수 후 윤리팀을 해체했던 전례처럼, 윤리적 거버넌스를 경시하는 태도가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p> <p contents-hash="efaac2bc1283b086e58a5ffb7c0fc89267abd25fcdb75e36795fbbbd4a1195b8" dmcf-pid="YGa75k3IAS" dmcf-ptype="general">올트먼 CEO가 이끄는 오픈AI는 14일(현지시각) ‘세이프티 허브(Safety Evaluations Hub)’를 개설하고 자사 모델의 유해 콘텐츠 생성, 환각, 탈옥 테스트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기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197a4a6ed9acd7148a3cffdc5950fc20a6492c3959e22dffd483814d2bdeba4f" dmcf-pid="GHNz1E0Ccl" dmcf-ptype="general">앞서 오픈AI는 일부 플래그십 모델에 대한 보고서를 비공개로 처리하거나 출시를 서두르는 모습으로 우려를 받기도 했습니다.</p> <p contents-hash="c033c4ff908c373461730153dff4d05c918ef56c73e3fd0194e28dff3eb1f53f" dmcf-pid="HXjqtDphNh" dmcf-ptype="general">오픈AI는 GPT-4o가 사용자 요청에 지나치게 맞장구치는 방식으로 응답해 위험 발언을 그대로 승인했다는 논란이 불거지자, 해당 업데이트를 취소하고 이전 버전으로 되돌리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일부 기능은 테스트 그룹의 피드백을 받는 ‘알파 테스트’ 방식으로 한정 제공하겠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688f718aca6bc384a10992a20933ea1557077ed339a2f0ab50c8ef55503c2813" dmcf-pid="XZABFwUlkC" dmcf-ptype="general"><strong>◇ SNS·슈퍼컴·법정 소송으로 번진 AI 주도권 경쟁</strong></p> <p contents-hash="a04bb8611e184dfe12f9bf21c82a4efb3c22be255883092b43af96d6d66cef38" dmcf-pid="Z5cb3ruSkI" dmcf-ptype="general">두 사람의 갈등은 기술과 안전성 대응을 넘어 산업 주도권 경쟁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머스크 CEO는 지난해 xAI에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H100’을 최대 100만개 투입할 계획이라며, 세계 최대 규모의 AI 슈퍼컴퓨터 ‘콜로서스’ 확장을 발표했습니다. 지난 2월에는 오픈AI의 ‘챗GPT-4o’를 넘어섰다는 평가를 받은 ‘그록3’를 출시하며 “오픈AI를 따라잡겠다”는 의지를 드러냈습니다.</p> <p contents-hash="c0e2df1841ab16ecb64c6b970838ce66c86004092ee581fa95ddcd850ea4e9c8" dmcf-pid="51kK0m7vAO" dmcf-ptype="general">올트먼 CEO가 이끄는 오픈AI는 지난달 ‘X’와 유사한 이미지 중심 소셜미디어(SNS) 플랫폼을 개발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 이용자가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X를 소유한 머스크 CEO와의 직접적인 사업 충돌을 예고하는 셈입니다.</p> <p contents-hash="84561180bc3258568afd5ae7b7eaa0a81b8a09e1a507a26d1678d05ba6316ea0" dmcf-pid="1tE9pszTjs" dmcf-ptype="general">법적 충돌과 감정적 갈등도 더해졌습니다. 머스크 CEO는 지난해 말, 오픈AI가 애초 비영리·오픈소스 AI 개발을 목표로 했던 설립 취지를 저버리고,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이익을 위한 폐쇄형 기업으로 전환했다고 주장하며 미 캘리포니아주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초기 투자자로서 기대했던 비영리 이상이 파괴됐다”며,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과 MS 협력에 제동을 걸어달라는 가처분 신청도 함께 제출했습니다.</p> <p contents-hash="7d4d02fa2b5dd04adc40eca4b405ad3e3161207231fc939fe7507320982d253a" dmcf-pid="tFD2UOqygm" dmcf-ptype="general">이에 대해 올트먼 CEO 측은 “머스크 CEO야말로 2017년 영리화를 먼저 제안했던 인물이며, 제안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스스로 회사를 떠나 독자 사업을 시작한 것”이라며 반박했습니다. 오픈AI 측도 머스크 CEO가 회사의 정상적인 경영을 방해하고 있다며 맞소송을 제기한 상태입니다.</p> <p contents-hash="663ab240027d93daa6b599e9f220f2667e00ff12ec46525385cc40d002fce00d" dmcf-pid="F3wVuIBWar" dmcf-ptype="general">법원은 머스크 CEO가 제출한 가처분 신청은 받아들이지 않았지만, 본안 소송은 내년 초 배심원 재판으로 진행됩니다. 이 갈등은 단순한 법적 분쟁을 넘어, 한때 ‘우리가 해야 한다’며 함께 오픈AI를 세운 두 창립자의 대립으로 확산된 것입니다.</p> <p contents-hash="9e9f65fcfc36125c5b4cbcaaf1c56f73144654740256bbff5378f17123bf48b5" dmcf-pid="30rf7CbYkw" dmcf-ptype="general">김 소장은 “머스크 CEO는 표현의 자유를 중시하고 규제나 윤리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려는 성향이 강한 반면, 올트먼 CEO는 글로벌 규제 흐름과 기업 신뢰 확보를 중시하는 쪽에 가깝다”며 “두 사람의 대립은 단순한 감정 싸움을 넘어, AI 기술의 공공성과 시장 주도권을 누가 쥘지를 둘러싼 프레임 전쟁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p> <p contents-hash="2801f87b77ff28ac9d27533759056681c4e79c9f92779e130067681d8833ac99" dmcf-pid="0pm4zhKGgD" dmcf-ptype="general">이어 “오픈AI는 내부의 윤리·안전성 역량은 그간 체계적으로 작동해왔지만, 핵심 인사들의 이탈이 이어진 상황에서 앞으로도 그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덧붙였습니다.</p> <p contents-hash="4a46f6bd89c903f8e320077fa0afa1cf1a0dbaa2d2773f261682efdb21380d48" dmcf-pid="pozsj9EQNE"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바닥 다진 게임사들. 여름부터 본격적인 부활 기대해도 되나? 05-15 다음 KAIST, ‘12대 AI 혁신기업’ 선정...현대차·야놀자·툰스퀘어 등 뽑혀 05-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