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면 진동을 전류로 변환한다 작성일 05-17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Vd5swUlJ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84107dc7d3338443d0e215bdf41f0bd9c7e80163e8a79adb6e01f8e882ea157" dmcf-pid="pfJ1OruSM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오폰의 침 부분을 땅에 꽂으면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7/dongascience/20250517080052574ytak.jpg" data-org-width="680" dmcf-mid="FSL3hOqyJ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7/dongascience/20250517080052574yta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오폰의 침 부분을 땅에 꽂으면 진동을 측정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df76e308b4d0dfa3e7d8b8addd40a7b7546334e368b514243dfa7a64a6e8902" dmcf-pid="U4itIm7vMo" dmcf-ptype="general">지구 내부에 오랫동안 쌓인 힘이 한계를 넘으면 지하 깊은 곳의 암석이 끊어지거나 서로 미끄러지면서 단층이 생겨요. 이때 쌓인 힘이 한꺼번에 에너지로 방출되면서 지진이 일어납니다.</p> <p contents-hash="28dca0dfa20034d9a719a53be61a3d85811165cb0a3e3edfab07bd988085fb00" dmcf-pid="u8nFCszTLL" dmcf-ptype="general"> 방출된 에너지가 땅을 따라 퍼져 나가는 파동을 지진파라고 합니다. 지진파가 지표면에 도달하면 땅이 흔들리면서 진동을 느끼게 돼요. 지진계로 지진파를 측정해서 분석하면 지진이 일어난 위치, 깊이, 세기 등의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2bdf3d76993850d481169eba3d9766609ca82c93219fc8c404d71c7cf7105354" dmcf-pid="76L3hOqyMn" dmcf-ptype="general"> 지진계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두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아날로그 지진계에선 무거운 추에 펜을 달고 종이에 지면의 진동을 그려요. 지면이 진동하면 무거운 추는 가만히 있고 종이만 흔들려서 지그재그 모양의 지진파가 그려집니다. </p> <p contents-hash="49585c8a2531b2c6c8701aa1d4c1673e594874e395770910380b29df3ec8a19e" dmcf-pid="zPo0lIBWni" dmcf-ptype="general"> 지진파 중 지면에 먼저 도착하는 P파가 먼저 나중에 도착하는 S파가 그 후에 기록됩니다. 위아래로 흔들리는 진동은 수직 지진계, 양옆으로 흔들리는 진동은 수평 지진계로 측정합니다. </p> <p contents-hash="01fcc90676e7f39011ee9421b1b33139ab54396f27c7223b307b5198252b0d5c" dmcf-pid="qRj7yS2XiJ" dmcf-ptype="general"> 오늘날 많이 사용하는 디지털 지진계는 자석과 코일을 이용해 지진파를 전자 신호로 바꾸어 측정합니다.</p> <p contents-hash="b6465c7c9867216eb8099e20cfb634b78f838a6f4eae1586565968aad09a75d3" dmcf-pid="BeAzWvVZRd" dmcf-ptype="general">지면이 흔들리면 지진계 안에 있는 자석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자석의 힘이 미치는 영역인 자기장이 변화합니다. 그러면 자석 주위에 감긴 가느다란 전선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p> <p contents-hash="6a33797ca19048d147fc221d2361b2e1c7c3944caf0af15d614ad15d4bcddb86" dmcf-pid="bdcqYTf5Re" dmcf-ptype="general"> 이것을 전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합니다. 지진이 클수록 자석이 더 많이 흔들리고 전류도 더 세게 흐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류는 지진계에 연결된 컴퓨터가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저장합니다. 디지털 지진계는 하나의 기기로 수직과 수평 방향 진동을 모두 측정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p> <p contents-hash="d6858f1361b881ef9b45e65ce280bf3c40009e5bb08b5d28e318187f6ea58c95" dmcf-pid="KJkBGy41RR" dmcf-ptype="general"> 지진파를 통해 땅의 흔들림 정도인 진폭과 지진이 처음 발생한 곳까지의 거리를 분석한 후 지진의 세기를 규모와 진도로 표현할 수 있어요. 규모는 지진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크기를 나타냅니다.</p> <p contents-hash="1f62656de518e3ad63cb6f1c08df39a00ae25517269fabf1cf7fcbb8d564ce56" dmcf-pid="9iEbHW8tnM" dmcf-ptype="general"> 진도는 내가 있는 위치에 따라 흔들림을 느끼는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입니다.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도 지진이 발생한 곳에서 멀어질수록 진도가 작아집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28f4e648e9504d1d051b8ae9552c49c28f67dc60e90c91c194d9b52e2756034" dmcf-pid="2nDKXY6FR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① 지면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지오폰, ②지오폰으로 피들러 게 수컷이 일으키는 진동을 측정하는 모습, ③ 연구 대상이 된 피들러 게 수컷의 신체를 측정하는 모습. Hannes Grobe(W), Tom Mulder, Ellen Morley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7/dongascience/20250517080053947leof.jpg" data-org-width="680" dmcf-mid="300cQ8sdd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7/dongascience/20250517080053947leo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① 지면의 진동을 전기 신호로 바꿔주는 지오폰, ②지오폰으로 피들러 게 수컷이 일으키는 진동을 측정하는 모습, ③ 연구 대상이 된 피들러 게 수컷의 신체를 측정하는 모습. Hannes Grobe(W), Tom Mulder, Ellen Morley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896c7bb9b78af127a6b0944c7aa1639816e452e3eb30254b01fd9e1925341e7" dmcf-pid="VLw9ZGP3MQ" dmcf-ptype="general"><strong>● 집게발로 땅 두드리면? 진동이 둥둥! </strong></p> <p contents-hash="8005e9eebf5cdb3bc1185171bea3b6d8a03f4f65e025d148973b136b9905a2aa" dmcf-pid="for25HQ0nP" dmcf-ptype="general"> 황금두더지나 캥거루쥐 등 몇몇 동물은 땅에 머리를 치거나 발을 굴러서 생긴 진동으로 의사소통을 합니다. 피들러 게도 수컷이 커다란 한쪽 집게발로 땅을 두드려서 암컷을 부른다고 알려졌습니다. </p> <p contents-hash="f8f99380ecf57b082ca56dcca95159713fc986dce7c1aed75333a89b1898459d" dmcf-pid="4gmV1Xxpd6" dmcf-ptype="general"> 지난 4월 10일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피들러 게 수컷이 땅에 진동을 일으켜 암컷에게 구애하는 행동을 처음으로 자연에서 살펴보고 그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실험생물학 저널’에 발표했습니다. </p> <p contents-hash="fa2b89f0b8c546e9388a89fe1c7332573687c0d5a340a42a1ba9522c87678068" dmcf-pid="8asftZMUe8"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포르투갈 해안가에 사는 수컷 피들러 게 50마리 앞에 암컷 피들러 게를 데려다 놓고 구애 행동을 유도했어요. 소음과 바람의 방해를 받는 자연 환경에서 게가 일으키는 미세한 진동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지면에는 지오폰 여러 대를 꽂아 두었습니다. </p> <p contents-hash="eb680b76793ab26197b581695d03dffbce037cd118d6882e7e99375353ed5dec" dmcf-pid="6NO4F5RuJ4" dmcf-ptype="general"> 지오폰은 디지털 지진계와 같은 원리를 사용해서 지면의 움직임을 전기 신호로 기록하는 장비입니다. 지진계를 설치하기 힘든 야외에서 지면의 진동을 측정할 때 사용합니다. </p> <p contents-hash="2bfd20eae8565ee4b67c97f2cacf4546ed8268f71a03daf9f2177f400334bff6" dmcf-pid="PjI831e7if" dmcf-ptype="general"> 피들러 게 수컷은 먼저 집게발을 위아래로 흔들어 암컷의 주의를 끌었어요. 암컷이 관심을 보이자 자기 몸을 땅에 부딪히거나 집게발로 몸을 툭툭 쳐서 진동을 일으켰습니다. 마침내 암컷 게가 자신이 사는 굴 가까이 다가왔을 땐 굴 속에 쏙 들어가서 집게발로 무언가를 두드려 아주 강한 진동을 만들어 냈습니다.</p> <p contents-hash="be5ebf8d863a14732773936e5978ca575ddbf6807ced843bf2d7c4b059aa6b6d" dmcf-pid="QAC60tdzeV" dmcf-ptype="general"> 연구팀은 약 8000건 이상의 구애 행동과 진동 신호를 분석한 끝에 수컷 게들이 암컷이 가까이 올수록 더 큰 진동을 만든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p> <p contents-hash="8affe4bc3f186405843d5d11a16327e9dc0b10dfeb8b402222fd51a63bf18b0a" dmcf-pid="xchPpFJqd2"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또 구애를 마친 수컷 게들의 신체 부위별 크기를 측정했어요. 이를 통해 집게발이 큰 수컷일수록 더 큰 진동을 만들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p> <p contents-hash="8ed9d42e1051d2ae3063158fb9bf6a1879a9713e27007fa2ba8c9d54c39db57b" dmcf-pid="yu4vjgXDL9" dmcf-ptype="general"> 큰 집게발을 가진 게는 전체적인 체격이 클 가능성이 높아요. 암컷 게는 수컷 게가 만든 진동을 통해 건장한 수컷인지 아닌지 추측할 수 있습니다. </p> <p contents-hash="9e3ad629eb7a8414c818f1eaa18a9d9d7d0b2cac2868784840024cef1c784eec" dmcf-pid="W8nFCszTeK" dmcf-ptype="general"> 연구에 참여한 베스 모티머 옥스포드대 박사는 “큰 집게발을 가진 수컷은 자연 환경에서 멀리 있는 암컷에게 효과적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암컷은 큰 수컷에게 더 많은 관심을 보일 것” 이라고 덧붙였습니다.</p> <p contents-hash="48275bd4629a9698d41f7b1b4f57a5658aa0ea5911f65577f36a5205a28992dc" dmcf-pid="Y6L3hOqyLb" dmcf-ptype="general"><strong>※관련기사</strong><br> 어린이과학동아 5월 15일, <strong>편집부와 미리보는 통합과학 미스터리한 메모</strong></p> <p contents-hash="2b0dd9f80fae2c60b27c4453842b08d859b523956066014568ed85732a66b0c5" dmcf-pid="GPo0lIBWRB" dmcf-ptype="general">[박수진 기자 sooz@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쓰레기 '바르게' 버리기 05-17 다음 "대통령 누구 뽑지"…대선 정보 모은 AI 분석 플랫폼 '코딧'[잇:써봐] 05-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