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비인형 발 모양과 자세로 시대를 읽는다고? [달콤한 사이언스] 작성일 05-17 1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bde1ZMUh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0e87a40dd21cf3277b5880754185137473e8c94abf766440882fc31b318cd64" dmcf-pid="tKJdt5RuC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1959년 첫 출시 이후 오랫 동안 바비는 하이힐에 적합한 발 모양과 자세를 갖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시대상을 반영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을 수 있는 모양과 자세가 출시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나시대 실리 윌리엄스 교수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7/seoul/20250517140106348jadw.jpg" data-org-width="580" dmcf-mid="5F9KhIBWl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7/seoul/20250517140106348jad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1959년 첫 출시 이후 오랫 동안 바비는 하이힐에 적합한 발 모양과 자세를 갖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시대상을 반영해 다양한 형태의 신발을 신을 수 있는 모양과 자세가 출시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모나시대 실리 윌리엄스 교수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9e35f228fc48a58f2be3e30fc3370c14f8059c3fc329143ba6106fa7c3592d5" dmcf-pid="F9iJF1e7WB" dmcf-ptype="general">1959년 미국에서 처음 출시된 바비는 날씬한 미인형 인형으로 지금까지도 아이들에게 인기를 끈다. 외모가 탁월하고 인형 같다는 것을 표현할 때 ‘바비인형 같다’며 비유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전형적인 금발 미인에 마른 체형이라서 아이들에게 인종과 체형에 대해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p> <p contents-hash="0dc65d3e4dac8dc30636bc9fa598ebb45d4eb64f9fff36e74f148b5dfbdcf8dc" dmcf-pid="32ni3tdzlq" dmcf-ptype="general">그런데, 최근 바비의 발끝으로 서 있는 자세 비율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했는지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재미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p> <p contents-hash="757a1f7034567094e02de4db1cf0f16352906252be8e1aef920d51974022e674" dmcf-pid="08agupLKTz" dmcf-ptype="general">호주 모나시대, 남호주대, 영국 런던 퀸 메리대 스포츠·운동 의학 연구센터는 호주 멜버른의 개인 바비 인형 소장자와 함께 바비 인형의 상징적 발끝 자세를 가진 비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에서 발행하는 국제 학술지 ‘플로스 원’ 5월 15일 자에 실렸다.</p> <p contents-hash="3106aa98bdf3279a745baf07bb5d74b5f385115f9494c57e5a33e5569aceb8c7" dmcf-pid="p6Na7Uo9y7" dmcf-ptype="general">마텔사는 1959년 바비를 처음 출시한 뒤 여성의 직업, 권한, 신체 형태에 대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는 다양한 버전의 인형을 내놨다. 바비를 대표하는 자세는 하이힐을 신었을 때처럼 뒤꿈치가 땅에 닿지 않고 발끝으로 선 ‘에퀴누스’ 자세다. 이전까지 바비에 관한 연구는 주로 신체 형태를 평가했지만, 바비의 상징적인 발끝 자세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거의 없었다.</p> <p contents-hash="4e737ccf422942d6f13314b4a2e3fb840957578f2f14c4e17d2b0ae957d6a8af" dmcf-pid="UPjNzug2Cu"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마텔이 다양한 직업, 민족, 장애가 있는 바비까지 출시하고 있는데, 바비의 발 자세는 어떻게 변화됐는지 주목했다.</p> <p contents-hash="a2b16fc9e6f26b28c9988770717b441fb692b8e70283f46a23ae9fccdce1a0f0" dmcf-pid="uQAjq7aVvU"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바비 인형의 특성을 분류하기 위한 FEET라는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 FEET는 발 자세(Foot posture), 다양성과 포용성(Equity), 직업(Employment), 제조 시기(Time period of manufacture)를 의미한다. 연구팀은 FEET를 사용하여 1959년부터 2024년 6월까지 제작된 2750종의 바비 인형 버전을 분석했다.</p> <p contents-hash="ea5bf1002da2ce67da1a72f178e828c441bd8b4f6641db61e89b8204b9feb2c5" dmcf-pid="7xcABzNfSp"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발끝 자세를 가진 바비의 비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 출시부터 10년 동안은 발끝으로 선 바비가 100%였지만, 2020년부터 2024년 6월까지 출시된 종류의 바비에서는 40%로 감소했다. 특히 ‘직업’ 버전의 바비는 평평하게 서 있는 경우가 훨씬 높았고, 패션 중심의 바비는 발끝 자세를 가지는 경향이 높았다. 또 인종과 발끝 자세와는 강한 통계적 연관성이 있었지만, 다양성과 포용성 측면에서 장애가 있는 바비와 평평한 자세는 연관성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04b0db0dcf58bfd81618b8c8e97836e1d4d999e8cd40d57b876ad92e27329c6d" dmcf-pid="zMkcbqj4W0" dmcf-ptype="general">연구를 이끈 실리 윌리엄스 호주 모나시대 교수(1차 의료·족부 의학)는 “이번 연구에 따르면 노동 시장의 역할과 변화, 관련 법률의 변화가 바비의 발 자세에도 반영됐음을 알 수 있다”라며 “바비가 직업 활동과 신체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발 자세와 신발을 선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윌리엄스 교수는 “과거에는 무조건 하이힐에 맞춘 여성적 스타일에 집중했다면, 최근 바비 모델을 보면 자기 하는 일에 따라 신발을 선택하게 돼 있는데 이는 기능을 위해서는 플랫슈즈를, 패션을 위해서는 하이힐을 선택하는 것처럼 사람들이 실제로 신발을 착용하는 방식을 반영한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058bbe8e2917604b4332b526ebd86678f3668ae54f5ce8bd0eac9bbad9ae5bd0" dmcf-pid="qREkKBA8T3" dmcf-ptype="general">유용하 과학전문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신기루, 후배들과 먹파티…버진로드 다가려진것 처음" 결혼식 폭로 05-17 다음 MLB 컵스, 방출된 일본인 투수 마에다와 마이너리그 계약 05-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