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중심적 방송 심의, 사업자중심 자율심의로 바뀌어야" 작성일 05-17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정치적 후견주의 따른 자의적 심의, 방송 자유·국민 기본권 침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idct5RuWm"> <p contents-hash="e6a51a0d3809f1cd8170e3edf467788806c05c14caf754cb0cfd72cfa04d17ad" dmcf-pid="HnJkF1e7hr"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안세준 기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등 행정기관이 수행하는 국가중심적 방송 심의가 방송 자유뿐 아니라 국민 알권리와 주권자 의사결정까지 제한하기 때문에 자율심의 제도로 전환돼야 한다는 주장이 학계에서 제기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6be0d16a08798d2cdbb7cdcc49ae32318b3dad05a91730de1998da6947e1b0e" dmcf-pid="XLiE3tdzv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언론학회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 세션 포스터 이미지. [사진=한국방송협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7/inews24/20250517143033321avdu.jpg" data-org-width="580" dmcf-mid="YB78mwUlh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7/inews24/20250517143033321avd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언론학회 2025 봄철 정기학술대회 특별 세션 포스터 이미지. [사진=한국방송협회]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e151d0b0ea8beb6ee1ab5ae473cfe405cea4be6843cc15dad8b09683e00e8c1" dmcf-pid="ZonD0FJqvD" dmcf-ptype="general">17일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최우정 계명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규제기관의 행정지도는 정기적으로 방송사업에 대한 재허가를 받아야 하는 법제도와 맞물려 칼날을 감춘 흉기가 될 수 있다"며 "자율심의 중심으로 패러다임 전환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73c4a3533df79aac2845d5f5a05f5deef2ad9443eb5ad5304aaa884368989f14" dmcf-pid="5gLwp3iBvE" dmcf-ptype="general">최 교수는 현행 방송심의제도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방송심의 방법과 개시 절차 같은 사항이 법률이 아니라 방심위 규칙으로 위임돼 있어 심의기관의 자의적인 선택에 따라 심의가 이뤄질 수 있다"며 "현행법상 여당 추천 위원이 다수를 차지할 수밖에 없는 위원 구성 방식으로 볼 때, 집권 세력이 국정 홍보를 방송으로 관철시키는 하나의 정치기관으로 전락시킬 개연성이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6f133735c494dc652255b0796ff5d44868dd508583033081133715c81f3d5e9" dmcf-pid="1aorU0nbyk" dmcf-ptype="general">현행 방송심의 기준이 포괄적이고 불명확하다는 점도 문제 제기했다. 최 교수는 헌법재판소의 판례를 소개하며 "불명확하고 추상적인 공익이라는 기준만으로 어떠한 표현행위가 공익을 해하는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객관적으로 내리기 어렵다"며 "헌법상 기본권인 표현의 자유 제한에 요구되는 명확성 원칙에 위배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d0375a2c835fe294d2e2fc78110a4c33ee3881b258f1dd17633186979a5e3dff" dmcf-pid="tMQgHY6Fhc" dmcf-ptype="general">최 교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의제도 패러다임을 사업자 중심의 자율심의로 전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5823123f14adbcabfaca64714b9712f6f83d18eea367bc3dcef7079e847d0e44" dmcf-pid="FRxaXGP3SA" dmcf-ptype="general">그는 "자율규제로의 전환이 이뤄지지 않으면 방송심의는 늘 정치적, 경제적 영향에 의해 이루어지며 그 부담은 결국 방송사업자와 국민이 안을 수밖에 없다"며 "자율심의 전환은 미국, 영국, 독일, 일본, 프랑스 등 선진국이 공적 규제를 자율심의에 맡기고 있는 세계적 추세가 보여주는 시대정신"이라고 언급했다.</p> <address contents-hash="9cdc9b7d7fc0341f3c264131ed9a4a583048154a97bfc4bf6b15076db4b18546" dmcf-pid="3eMNZHQ0Tj" dmcf-ptype="general">/안세준 기자<span>(nocount-jun@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오윤아, '발달장애 아들' 민이 팔골절 대수술...이정현 의사남편 도움 컸다 [Oh!쎈 이슈] 05-17 다음 ‘탄금’ 이규성, 이재욱에 반감 드러내며 강렬한 존재감 과시 05-1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