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 스펙트럼의 재발견…"AI시대엔 주목받는 능력"[테크토크] 작성일 05-18 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DHD·자폐 스펙트럼 등 발달장애<br>테크 업계는 '재능'으로 지속 관심<br>‘신경다양성 재능 발굴’ 프로그램도<br>AI 챗봇으로 '자폐 번역' 시도까지</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Mkbf5RujP"> <p contents-hash="df51c5595bf1713ab3751a65b6be088d2270d5c2fe0903a9ff4e93a5fa29419a" dmcf-pid="3REK41e7j6" dmcf-ptype="general">주의력결핍장애(ADHD), 자폐 스펙트럼. 모두 질환, 발달장애로 분류되며 사회생활을 하기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국내 발달장애인 고용률은 10.9%(장애인경제활동실태조사, 2021)로 국가 평균의 6분의1이 채 안 되는 수준입니다.</p> <div contents-hash="5eabaae9e20ef6dfcb97f82efeb72c87d6a72b90cca31b3d81f3c796f4fdb86e" dmcf-pid="0tVSYcFON8" dmcf-ptype="general"> <p>하지만 최근 테크 업계는 발달장애를 가진 인재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발달장애의 특징인 특유의 산만한, 과한 집중, 과한 몰입이 오히려 인공지능(AI)과 프로그래밍의 난제를 풀 돌파구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p> <strong>ADHD·자폐 가진 사람이 코딩도 잘할까</strong>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bd297b8f5d436cd87ac39ff4b7fb0389260488bd893f38e61e0a5c7c309a224" dmcf-pid="pFfvGk3Io4"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DHD, 자폐 스펙트럼 등 '발달장애'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오히려 프로그래밍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8/akn/20250518070015356tmns.jpg" data-org-width="745" dmcf-mid="5E1NEQCnA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8/akn/20250518070015356tmn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DHD, 자폐 스펙트럼 등 '발달장애'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오히려 프로그래밍에서 두각을 드러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44af2a6ecc94e938f5b751423b92944d87746acb3ff9ca269a72b21cb147a1e" dmcf-pid="U34THE0Cjf" dmcf-ptype="general">사실 테크 산업은 과거부터 ADHD, 자폐증과 친숙한 업계였습니다. 명확한 의학적 근거는 없지만 'ADHD·자폐를 가진 사람이 코딩도 잘한다'는 속설이 퍼지기도 했지요. 2001년 미국 IT 잡지 '와이어드'는 "실리콘밸리의 자폐증 환자 아동 비율이 다른 지역보다 유독 높다"는 기사를 실었고, 영미권 개발자들이 모이는 인터넷 커뮤니티 '레딧'에선 자폐증 가진 프로그래머의 경험담을 담은 글을 수도 없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p> <p contents-hash="c264e4112f6308738ed91bde59f4cb8486ccedb62667fab309126b68389b0316" dmcf-pid="u08yXDphcV" dmcf-ptype="general">발달장애의 종류와 증세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인 공통점은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과 '산만함', '자신이 흥미를 가진 주제에 대한 과한 몰입과 집중' 등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이 과학, 예술에 대한 관심과 합쳐져 놀라운 성과를 보일 때도 있습니다. 발달장애인이 특정 분야에서만 천재성을 발휘하는 '서번트 증후군'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p> <div contents-hash="7be7c658f319a6e2441e8d3aa4df8d6003b784e0f4bb13091ea2587b40d2807c" dmcf-pid="7p6WZwUlk2" dmcf-ptype="general"> <p>테크 산업에선 '과몰입'과 '과집중' 특성이 프로그래밍에 적합하다는 주장이 줄곧 나왔습니다. 미국 대형 개발자 커뮤니티인 '스택 오버플로우'는 2023년 "코딩은 주의력이 부족한 두뇌에 끊임없는 자극을 채워준다"며 "프로그래밍은 한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다음 문제로 넘어가는 일의 연속인데, 산만함과 동시에 레이저 같은 집중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p> <strong>실리콘밸리에 뜨는 '신경다양성' 인재 확보</strong>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d9f8b3c3fc79e80392f5a1b3d72701b486fd32d10a8ba7b3b62ec0591b41962" dmcf-pid="zUPY5ruSk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실리콘밸리가 위치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8/akn/20250518070016673sccl.jpg" data-org-width="745" dmcf-mid="twydo9EQk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8/akn/20250518070016673scc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실리콘밸리가 위치한 미국 샌프란시스코. 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bd2d1a7dc4a4cbbf6bf1dd4d2f02cf189725f7941135c1c8e9271692cf0e8bd" dmcf-pid="quQG1m7vjK" dmcf-ptype="general">이 때문에 최근 실리콘밸리를 비롯한 테크 산업 단지에선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이라는 용어도 등장했습니다. ADHD, 자폐증 등을 장애로 취급하는 대신, 인간 뇌 활동의 새로운 유형으로 인정해 업무에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p> <div contents-hash="06ee2cff9fed901940fbf312fe9aac143eb2bb2e19496d406033e941ae6cfe9e" dmcf-pid="B7xHtszTjb" dmcf-ptype="general"> <p>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HPE), SAP, 마이크로소프트, 델 테크놀로지스, 딜로이트 등 해외 IT 및 IT 컨설팅 업체들은 이미 '신경다양인 인재 확보 프로그램'을 도입해 운영 중입니다. HPE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자폐증을 가진 프로그래머들로 구성된 팀을 가동한 결과, 프로그램 테스트 직무에서 비장애인 팀보다 30% 더 높은 생산성을 발휘했다고 발표하기도 했지요.</p> <strong>갈 길 멀지만…'자폐인 번역기' 등 새 시도도</strong> </div> <p contents-hash="29a0f4119719e5779851a26c2c2ad46d673ad9f68d69a67cdabcc45e32d18638" dmcf-pid="bzMXFOqygB" dmcf-ptype="general">그러나 신경다양인 인재 발굴에 가장 적극적인 미국에서도, 여전히 발달장애인 고용은 갈 길이 멉니다. 미 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현재 발달장애인 실업률은 30~40%대이며, 특정 발달장애의 경우 85%까지 치솟을 정도라고 합니다.</p> <p contents-hash="f62129670bb46d435bb43ce7d61c8a0e672bc1f41cbd40c7cf65dfce4fe9c905" dmcf-pid="KqRZ3IBWgq" dmcf-ptype="general">가장 큰 방해물은 의사소통입니다. 발달장애인은 선천적으로 원활한 의사소통이 어렵습니다. 자신의 의사를 자유롭게 개진하기 힘들고, 때로는 상사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남겨 인사평가에서 불이익을 받기도 합니다.</p> <p contents-hash="2b8f0ce075f1a79cafe3bb777b5005583d44035cc04fc31acd0e9db4d3483a40" dmcf-pid="9Be50CbYkz" dmcf-ptype="general">최근 업계에서는 AI 챗봇을 발달장애인 직원에게 지급하는 새로운 방식을 시도 중입니다. 이 챗봇은 일명 '자폐인 번역기(Autistic Translator)'라고 불리는데, 마치 챗GPT 같은 챗봇이 외국어를 번역하듯 ADHD·자폐증 환자의 글도 비장애인에게 통역해주는 겁니다.</p> <p contents-hash="03ee47f8d57ee4a62fffb893852db48f4bd452316c3a1a189d6ad38a9da2f43c" dmcf-pid="2bd1phKGa7" dmcf-ptype="general">자폐인 번역기를 개발한 엘리자베스 로지슨 미 UCLA 교수는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이 번역기는 그동안 발달장애인 치료사의 연구와 조언을 바탕으로 학습했으며, 자폐인들의 의사소통과 상황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9077ccc426b1b4da36fda6f7287bdbab228c722e5b9237c7db584b744d19e321" dmcf-pid="VKJtUl9Hou" dmcf-ptype="general">임주형 기자 skepped@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이경, 박은영 셰프와 핑크빛♥…"오토바이만 봐도 생각나" 고백[SC리뷰] 05-18 다음 자율주행 키우려는 구글 맞선다…네이버가 선보일 고정밀 지도는 05-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