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임 장관, 엔비디아 찾아 GPU 확보 논의...NIPA 협약 체결 작성일 05-18 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xSkfCbYkb"> <p contents-hash="6b6be2f8d77668f6539cb949ff89f11e404db1871de196451671b4ff8b1ea764" dmcf-pid="ZMvE4hKGcB"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수형 기자)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지난 14일부터 미국을 찾아 엔비디아와 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이끌어냈다.</p> <p contents-hash="4b92f7f0fb0b4f6e173018515cee46291c4314fdeda544c93889f0ddf848893e" dmcf-pid="5RTD8l9Hjq" dmcf-ptype="general">엔비디아 초청을 받아 미국 본사를 방문한 유상임 장관은 제이 퓨리 총괄 부사장, 칼리스타 레드몬드 부사장 등 엔비디아 주요 임원들과 대한민국 AI 인프라 역량 확충을 비롯해 AI 생태계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8739de33fdd1785d7472ed94ddacf5122cbf028547b90302d55150d4acb61a36" dmcf-pid="1eyw6S2Xoz" dmcf-ptype="general">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엔비디아와 업무협약을 체결, 연내 원활한 첨단 엔비디아 GPU 확보 등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p> <p contents-hash="cc4bd60a51aa009a8824a110be144c742d320f3d3a8ebd6a0d6a91c0234513d6" dmcf-pid="tdWrPvVZk7" dmcf-ptype="general">유 장관은 방미 첫날 브랜던 카 연방통신위원회(FCC) 위원장과 면담을 갖고, 전 세계적인 위협이 되고 있는 통신 해킹에 대한 협력 방안을 찾았다. 이 자리에서 한국의 ‘IoT 보안인증제도’와 FCC의 ‘사이버 트러스트 마크’의 추진 현황을 공유하며, 양국의 IoT 기업들이 상대국에서 중복 인증을 받는 부담을 줄이고 국민들도 IoT 기기를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미 양국이 IoT 보안 기준 등에 대해 공유할 필요성을 공감했다.</p> <p contents-hash="a7a80ee89d8fb2a2f1e82450f68004a8c7edc47766b17baa6ef8fa3d129fd52a" dmcf-pid="FJYmQTf5cu" dmcf-ptype="general">아울러 양측의 6G 개발과 표준활동에 대해 공유했다. 또 해저 케이블 보안에 대해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이어나가기로 뜻을 모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083b13d21a83f9e49928904c8e37b8d3b485959f9712a6a7adfe447bbf101ef" dmcf-pid="3iGsxy41N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8/ZDNetKorea/20250518131717074vwou.jpg" data-org-width="640" dmcf-mid="5oPCeGP3c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8/ZDNetKorea/20250518131717074vwou.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d4a3cbb4f802c7d05fcf88e23edbca567877b115cc453ad7c9ce2dae0bee5be" dmcf-pid="0MvE4hKGop" dmcf-ptype="general">유 장관은 15일 美 백악관 과학기술정책실(OSTP) 린 파커 부실장을 만나 한미 과학기술 협력에 차질없는 추진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유 장관은 먼저 한국의 글로벌 R&D 현황을 공유하며 미국과의 협력 내용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R&D 환경 변화에도 한미 간 차질없는 협력을 강조하였다. OSTP측에서는 한국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이번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투자 우선순위를 공유하고, 이를 바탕으로 R&D 정책 변화를 강구하고 있음을 밝혔다.</p> <p contents-hash="2f17ffce0613a67fac1f8cf64402a30a7a8876185e4f28ad53a2fe3a7585d0de" dmcf-pid="pRTD8l9Ho0" dmcf-ptype="general">특히 유 장관은 민감국가 지정 등의 상황으로 연구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였고, 양측은 현재 연구보안 정책을 공유하고, 상호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미측은 트럼프 행정부 1기 때 발표된 연구보안 관련 대통령 각서를 기반으로 이행을 강화해나갈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871fd377f8dc27c0cf11ac08c6f3c407ff44f647a4f40dd126ea121d39384acf" dmcf-pid="Ueyw6S2Xk3" dmcf-ptype="general">이밖에 미국 국립과학재단, 에너지부(DOE) 산하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등과 의견을 나눴다.</p> <p contents-hash="cfc167a053b49346cd27ad94d48cd8d7e719b6a890198472cc4a7fdcc976c43d" dmcf-pid="udWrPvVZjF" dmcf-ptype="general">유 장관은 “한국의 글로벌 공동연구 투자 규모 중 미국과의 협력 비중이 가장 큰 현실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변화된 R&D 정책방향과 연구보안 강화 정책이 우리 R&D에 미치는 영향을 빨리 파악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방미를 계기로 미측과 차질없는 협력을 이어가기로 하였고, 이번에 논의한 내용을 한미 R&D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41f1deb393ad455d90ca010ff3cf9e26fd8dad2ece0e538bab10284a0d9df0e" dmcf-pid="7JYmQTf5Nt" dmcf-ptype="general">그는 또 “엔비디아와의 GPU 협력 모색에 착수한 바, 국내 AI 연구환경이 대폭 개선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742a0a49109b5ea1f0e8d5727d986036c6c3c6042674dc09fbc017cb5c98cc6" dmcf-pid="ziGsxy41a1" dmcf-ptype="general">박수형 기자(psooh@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김혜자, ‘로또 당첨!’ 일확천금 기회 노린다(천국보다 아름다운) 05-18 다음 ‘10승 무패’ 韓 대형 기대주 박현성, 에르난데스 꺾고 UFC 2연승+눈물…“랭커였던 선수들과 싸우고파” 05-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