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슨 황 "엔비디아 AI 칩 中에 우회수출 증거 없다" 작성일 05-19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그레이스블랙웰 시스템 우회수출 물리적으로 불가능"<br>중국용 '호퍼 다운그레이드 칩'도 종료 선언…새 전략 모색</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hrRhAtst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e50a3a75e2afb86d08440f46f94e3787f60340788e1f677a1bee52b1fba3048" dmcf-pid="BlmelcFOH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젠슨 황 엔비디아 CEO ⓒ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46745jnjh.jpg" data-org-width="1400" dmcf-mid="PAg1Mbc6G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46745jnj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젠슨 황 엔비디아 CEO ⓒ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blockquote class="quote_frm" contents-hash="0e67fd4cc6ce040d6809e7b3323bcc4044a45a2b9a67d30969d5ac2c41bc96ee" dmcf-pid="bGSgGszTZO" dmcf-ptype="blockquote1"> "엔비디아 인공지능(AI)칩이 중국으로 몰래 넘어갔단 증거는 없습니다." </blockquote> <div contents-hash="1bb16b07ff7fbff01fcdc616ce3a49414c3c7a82b5a5740a9833b6b5cbd8b525" dmcf-pid="KHvaHOqyGs" dmcf-ptype="general">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AI 칩이 중국으로 불법적으로 우회 수출되고 있다는 의혹에 "증거가 없다"고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div> <p contents-hash="b20a934a1a9fcd4bef77583e97d63479a5c21101c40a86f88afbe99f36dee1fd" dmcf-pid="9XTNXIBWXm" dmcf-ptype="general">황 CEO는 17일(현지시간)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그레이스 블랙웰 시스템은 거의 2톤에 달한다"며 "주머니나 백팩에 넣어 국경을 넘기 어렵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946acb961631a69596bd343bb60be307ecd27872930a147517433a0c900227b" dmcf-pid="2ZyjZCbYZr" dmcf-ptype="general">이어 "우리 제품을 구매하는 고객들은 우회 수출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잘 알고 있고 모두가 엔비디아 기술을 계속 사용하길 원한다"며 "그렇게 때문에 스스로 매우 엄격하게 감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04a4049efe814da3738858e393e9ef179d0d5999f23a91cc72192e10d578607" dmcf-pid="V5WA5hKGG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48697bzzt.jpg" data-org-width="1400" dmcf-mid="Fp8CqZMUH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48697bzz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CEOⓒ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9808d1ef00da5dfb31afae7bd28001293bfbad30ac371480678b5b474da7aa" dmcf-pid="f1Yc1l9HZD" dmcf-ptype="general">황 CEO의 발언은 그간 엔비디아 칩의 싱가포르를 통한 우회 수출 의혹에 더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AI 반도체 수출 통제 폐기를 발표한 이후 중동을 통해 중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까지 커지자 나왔다.</p> <p contents-hash="b77b018cfb34b0ad98ce86a579fde5a9f32151d41a944f356566ae4e9220299d" dmcf-pid="4tGktS2XZE" dmcf-ptype="general">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3일(현지시간) 바이든 정부가 시행한 '인공지능 확산 규칙'(AI Diffusion Rule)을 공식 폐기했다.</p> <p contents-hash="2cfe3fa1824f4d86a7389db652ab4ad4dd5c101c9d40b46a58911d979971f7ec" dmcf-pid="8FHEFvVZYk" dmcf-ptype="general">황 CEO는 트럼프와 중동 방문 대표단으로 동행한 자리에서 AI 반도체 수출통제 정책 폐기 발표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그는 "미국 기술의 전 세계 확산을 제한하는 것은 완전히 잘못된 일"이라며 "미국 기술을 전 세계에 최대한으로 확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fe291daff6c5fde7f55d66df1e55101ee9e8a8647b770a09e6fd0516e31ab896" dmcf-pid="63XD3Tf51c" dmcf-ptype="general">한편 황 CEO는 대만 현지 매체와 인터뷰에서 H20을 끝으로 중국 시장에 '호퍼' 시리즈를 더 이상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했다.</p> <p contents-hash="45d6635f60197124f8f87946a352a07db75ad219e37b2d35f06f8401caa8bb6d" dmcf-pid="P0Zw0y41tA" dmcf-ptype="general">H20은 엔비디아가 중국에 합법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유일한 AI 칩이었으나,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H20 수출도 제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932fec98ad76501b8fa6faa2f700e43e73f2036ecf222ed9637df9062c3ebf3" dmcf-pid="Qp5rpW8t1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젠슨 황 엔비디아 CEO(HONG KONG-CHINA-SEMICONDUCTORS-AI) ⓒ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50421yoye.jpg" data-org-width="1400" dmcf-mid="zfHEFvVZ1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5/19/NEWS1/20250519093650421yoy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젠슨 황 엔비디아 CEO(HONG KONG-CHINA-SEMICONDUCTORS-AI) ⓒ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59580bc033cf0c13132b1907e7c755b83e3ec5a5147e01bca9c585c1b16352" dmcf-pid="xSsdSk3I1N" dmcf-ptype="general">앞서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엔비디아가 H20 칩의 다운그레이드 버전을 7월 내 중국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p> <p contents-hash="64a9b477525ed5f8af20800700c7e355ea2d3b9fed9c24869efb57da9745f6c6" dmcf-pid="y69H67aV5a"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 황 CEO는 "호퍼를 더 수정하는 건 불가능한 만큼 호퍼는 아닐 것"이라고 이를 부인했다.</p> <p contents-hash="549522cdfa168c72f8f8f5c02f942e87e857d813e829f4e1980a905cca971a22" dmcf-pid="WP2XPzNfGg" dmcf-ptype="general">업계는 엔비디아가 호퍼 기반 중국용 AI 칩 개발을 중단하고 새로운 아키텍처 기반 맞춤형 칩 개발 등 새로운 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분석했다.</p> <p contents-hash="f2ee65da6f058b5729082130923937e5746baceb38cef8965bfe8403509a3437" dmcf-pid="YQVZQqj4Go" dmcf-ptype="general">엔비디아는 지난달 1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공시에서 중국용 H20의 재고·구매 약정·준비금 등과 관련 최대 약 55억 달러(약 7조 6800억 원)의 비용이 2026 회계연도 1분기 실적에 반영될 것이라고 전망했다.</p> <p contents-hash="dff3ec996249debf81b94b80124ce50f01f9bbf194827c208447dcfb63847522" dmcf-pid="Gxf5xBA81L"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p> <p contents-hash="1057abc3a4a5556d58c7cd3bd8f6a305370b922123d9ab1f9a87417b63360e53" dmcf-pid="HM41Mbc6Xn" dmcf-ptype="general"><strong><용어설명></strong></p> <p contents-hash="5ef8d7e835da4662ca525e7bbf8044fff8bf8455418ff55b39d796c83ce157f1" dmcf-pid="XR8tRKkPXi" dmcf-ptype="general">■ H20 H20은 엔비디아가 미국의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를 피하기 위해 개발한 중국 전용 인공지능(AI) 칩이다. 기존의 고성능 GPU(A100·H100 등)의 중국 수출이 금지되자 성능을 대폭 낮춘 H20을 비롯해 L20·L2 등 저사양 칩을 별도로 설계해 중국 시장에 공급해 왔다.</p> <p contents-hash="7081990c984550cae80fad6d47de9a7f318c4081f5a3a363b8cdfbd10ce33bcf" dmcf-pid="Ze6Fe9EQYJ" dmcf-ptype="general">■ 호퍼 호퍼(Hopper)는 엔비디아가 데이터센터·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환경을 위해 개발한 GPU 마이크로아키텍처다. 암페어(Ampere) 아키텍처의 후속작이다. 미국의 선구적인 컴퓨터 과학자 그레이스 호퍼(Grace Hopper)의 이름을 땄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야당', 장기흥행은 계속된다…개봉 5주차 주말 韓영화 1위 05-19 다음 포스텍, AI 활용 다양한 합금 용융 특성 신속 예측 기술 개발…지능형 소재 설계 가능성 높였다. 05-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