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에 힘실은 AI정책…국가데이터센터 1곳 아닌 'N개' 지원 부상 작성일 06-22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AI 100조 투자 민관 협력 불가피…'AI 고속도로' 해외 빅테크도 참여할 듯<br>현행 과기정통부 체제론 AI 총괄 거버넌스 어려울 듯…'부총리 격상·AI 집중' 거론</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krUfxLKzv"> <p contents-hash="68b8178807059ae6dfed32ced86a47aab578e842766ec86953465fcd8490bc7f" dmcf-pid="5Emu4Mo97S"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이재명 정부가 국가 인공지능(AI) 정책을 민간 협력을 통한 과감한 투자에 방점을 찍으면서 윤석열 정부에서 관 주도 성격이 짙었던 AI 인프라 구축 등 정책에 굵직한 변화가 예상된다.</p> <p contents-hash="3a81ca91323cf5ee1ae8c17a5f189a8d87151bce688239a7371958c2697ae441" dmcf-pid="1Ds78Rg20l" dmcf-ptype="general">새 정부가 민간 주축의 AI 정책으로 선회한 배경에는 막대한 투자 시급성에다 지난 정권에서 AI 정책을 주도한 국가인공지능위원회가 업계보다 학계 의견 위주로 목소리를 내면서 현실감이 떨어졌다는 지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f7637a516f2c52d88c58401bf547a9e9778707680501aa30deacb6ee0cedd260" dmcf-pid="twOz6eaV3h" dmcf-ptype="general">AI가 모든 부분에 영향력을 미치는 시대가 도래했고 AI 관련 정책 과제가 전 국토를 아우르는 AI 인프라 구축, '모두의 AI' 개발, 산업 분야별 인공지능 전환(AX) 등 범국가적이어서 AI 정책을 이끌 핵심 부처의 위상 변화도 함께 요구되고 있다.</p> <p contents-hash="0dca1ab5bd53c108c12679706b87af6d1cae5880d0f465b046bd3e641b00dc1f" dmcf-pid="FrIqPdNfpC" dmcf-ptype="general"><strong> AI 민관 투자 100조 시대…미중 빅테크 활발한 투자 예상</strong></p> <p contents-hash="a01a6d6d1843b52e1133dd2c995a4b783c715d383033d4314f551c6de02c8473" dmcf-pid="3mCBQJj4FI" dmcf-ptype="general">이 대통령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업무 오찬 및 확대 세션에서 "AI 혁신에 있어 민간의 역할이 크다"면서 "민간의 참여를 확대하기 위해 과감한 세제 혜택과 규제혁신, 국민펀드 조성을 통해 국가 전반의 AI 대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daaf8905524d87f078fb25f929c4c63baf2cb1202b695c7d7d03fe17726445b" dmcf-pid="0ZFdcmva7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재명 대통령, G7 확대세션 참석 (캐내내스키스[캐나다]=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업무 오찬을 겸해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 세션에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이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2025.6.19 [공동취재] hihong@yna.co.k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yonhap/20250622070317389iyru.jpg" data-org-width="1200" dmcf-mid="XgpnDIWA7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yonhap/20250622070317389iyr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재명 대통령, G7 확대세션 참석 (캐내내스키스[캐나다]=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캐내내스키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장에서 업무 오찬을 겸해 열린 G7 정상회의 확대 세션에 참석해 있다. 왼쪽부터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이 대통령,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2025.6.19 [공동취재] hihong@yna.co.k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f427a4f1825f65ec4dfe0cc752b95ca134bd7827ac569b3ffe342ac6e17801" dmcf-pid="p53JksTNus" dmcf-ptype="general">새 정부에서 신설된 최고인공지능책임자(CAIO)로 임명된 하정우 AI 수석도 지난 19일 첫 브리핑에서 향후 3∼5년이 인공지능 시대의 골든타임이라며 AI 경쟁력을 좌우하는 주역이 기업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ebb0057bd5107f656c26cc64912f14cdafbcb37811b4c28d098502c26ef6cff" dmcf-pid="U10iEOyjum" dmcf-ptype="general">22일 연합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현행 정부 체계에서 AI 주무무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18일 국정기획위원회에 보고한 공약 이행계획 역시 AI 인프라 및 모델 개발에 관한 민관 투자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p> <p contents-hash="d4cf75c784f81e9ffb84c4f951875d65bd2acd9de8a6f7f4a89901cd4159de04" dmcf-pid="utpnDIWA0r" dmcf-ptype="general">공약 이행계획에서 가장 먼저 언급된 과제는 AI 인프라 확충으로, 이 대통령이 공약에서 차세대 사회간접자본(SOC)으로 지칭한 AI 데이터센터 인프라 확충 등을 위해 2030년까지 정부와 민간 투자 100조원을 달성하겠다는 계획을 담았다.</p> <p contents-hash="e2821631f16c3dea5fd2907f827afb423716b3678083ac044591818acabce373" dmcf-pid="7FULwCYcFw" dmcf-ptype="general">새 정부에서 100조원에 달하는 민관 합작 투자 카드를 꺼내 들면서, 전 정부가 AI 인프라 핵심 정책으로 추진했지만 정부에 주도권이 있고 사업성이 불투명해 좌초한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의 전면 재개편이 예고된다.</p> <p contents-hash="9e79fd5d1dbd20d02e5a586499ca923e916c76e5788a6d6e3420368d0b15cc54" dmcf-pid="z3uorhGkuD" dmcf-ptype="general">당국 안팎에서는 정부가 국가AI컴퓨팅센터 한 곳을 지정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 아닌 크고 작은 데이터센터 여러 곳을 AI 프로젝트 기반으로 지원 대상으로 지정한 뒤 사업 추진을 민간 컨소시엄에 맡기고 정부는 뒤에서 투자 지원에 나서는 방안이 유력시되고 있다.</p> <p contents-hash="90ac3d5eef7f579ad3a397f203dc39baa77c3ed02021a4949ddacf8585b2c1ef" dmcf-pid="q07gmlHE7E" dmcf-ptype="general">향후 4년간 미국 내 AI 인프라 구축에 최대 5천억 달러(700조원)를 투자하는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처럼 민관 합작 투자를 총괄하는 펀드를 조성, 관리하는 안이다.</p> <p contents-hash="2764350185e1af2ef62679a4d1de793a798941b1b7ce7f2fdd3c12243cafe19b" dmcf-pid="BpzasSXD7k" dmcf-ptype="general">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와 협의해야 하는 부분으로 아직 확정된 것은 없지만 가능한 대안 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044a6755509d2e4b2ac3696b095ce769ba60d02d886e9d178899c1c9997da55" dmcf-pid="bUqNOvZwFc" dmcf-ptype="general">'AI 고속도로'로 표현되는 전국적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참여할 민간 투자자로 해외 빅테크의 활발한 참여도 거론되고 있다.</p> <p contents-hash="7755a2b917719b8e045b2f0f9c9a1b788981f6f983938d7c2ddd9fd1f3cc2ddc" dmcf-pid="KuBjIT5r3A" dmcf-ptype="general">수년에 걸친 계획이긴 하지만 100조원이라는 막대한 투자 금액을 조달하려면 정부 자금 및 국내 AI·클라우드 업계 자본력만으로 한계가 뚜렷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abe6adfc7015a3c9c8e951667b75bda7273754f6608fc9fde81ecbe8c9fb81e9" dmcf-pid="97bACy1mFj" dmcf-ptype="general">SK텔레콤과 울산에 조 단위를 투자, 1GW(기가와트) 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할 구상을 가진 세계 1위 클라우드 업체 아마존웹서비스(AWS), 국내에 제2데이터센터를 가동하기로 한 중국의 알리바바 클라우드, 이재명 정부와 적극적인 협력을 천명한 오픈AI 등이 유력한 주체로 거론된다.</p> <p contents-hash="20b3227e25ceb0ad61210c1c3f5b2ab5d5540ca1c63e5fea5ec754c53b769f2f" dmcf-pid="2vY8njme0N" dmcf-ptype="general">특히 새 정부의 'AI 고속도로' 구상에서 서남권 한 축을 맡을 것으로 유력시되는 전북 새만금 지역에 300MW급 데이터센터 건립이 논의되며 해외 빅테크와 협력 관계인 투자사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p> <p contents-hash="5f290cdbe6d1dd902c909c34aef9fe80356339f156a05b06f250de7e59fd22c1" dmcf-pid="VTG6LAsd7a" dmcf-ptype="general">이와 관련 알리바바 클라우드 관계자는 "한국 시장과 관련해 지방 투자 계획도 전략적으로 보고 있지만,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공유할 만한 상황은 아니고 확정시 알리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f09a8dfd69f0d5c761a11f3050426aa2413ff06a792a340b76ac43556bd9759f" dmcf-pid="fyHPocOJug" dmcf-ptype="general">오라클 관계자는 "정부의 국가 AI 인프라 정책 방향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과 접근 방식이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국내 AI 및 클라우드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방안을 꾸준히 살펴보고 있고 필요에 따라 참여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라고 했다.</p> <p contents-hash="cc92e9b154bbbe4d3cecb00f882d49dc598d447adb79e4d8b31b7373a6f6768e" dmcf-pid="4WXQgkIiFo"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도 국정기획위 업무보고에서 내년부터 오픈AI 등 빅테크와 협력해 국내 AI 인프라 투자 유치에 나서겠다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31d496ce27310e018c4d8c5c85b55364108f2b29e1045785a5276ce52add69e6" dmcf-pid="8YZxaECn0L" dmcf-ptype="general">AI 데이터센터 투자에 대한 세액감면을 확대하고 육성 지원 특별법을 제정하는 등 민간 중심의 데이터센터 생태계를 키운다는 구상인데, 해외 빅테크나 외국인투자기업도 세액 감면 등 대상에 포함되는지 여부는 정해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p> <p contents-hash="d6f56c031e531384634abc02c7324a1eca6ee4f609f2cef814a4475b8548eab6" dmcf-pid="6G5MNDhLpn" dmcf-ptype="general"><strong> 과기정통부 체제로 범부처 AI 정책 가능할까…변화 예고</strong></p> <p contents-hash="5e99769b7f4a69aec2f1629a63b29d8299ee669c8d4ab9ca539ce95ebde29f6a" dmcf-pid="PH1RjwloFi"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국정기획위 보고에서 전국적 규모로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과 함께 산업 전 영역의 인공지능 전환(AX)과 거대언어모델(LLM) 다음의 AI 발전 단계인 피지컬 AI 기술을 발전시키는 전략도 소개한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46234ad765a94bf063b78a28151becff430040e939e0cfdee1cf35ade2d7354d" dmcf-pid="QXteArSguJ" dmcf-ptype="general">범부처 합동 피지컬 AI 전략을 마련한다는 것인데, 제조·물류 등 일반적인 피지컬 AI 적용 부분은 과기정통부가, 가전·선박 등 특화 부분은 산업부, 해양수산부 등 담당 부처가 관할하는 안이 보고됐다.</p> <p contents-hash="2f371e04931117e5edd59b7093409e48ceb233ca61333dabffe30efa69e2b442" dmcf-pid="xZFdcmva0d" dmcf-ptype="general">산업 각 분야의 인공지능 전환이나 피지컬 AI 전략 모두 과기정통부 단독 영역이 아닌 범부처적인 과제라는 데서 지금의 과기정통부 역할로는 한계가 지적되는 계획이기도 하다.</p> <p contents-hash="8fb9b363935cf4903f3cc5179c9cb07c92fb9c96910f38776caf1bfdf448e726" dmcf-pid="yigHuKP3Ue" dmcf-ptype="general">하 AI 수석이 CAIO로서 AI 정책의 중심을 잡지만, 실무 부처 차원에서 부처 간 분산된 역할을 조정하고 장기적인 정책을 수립, 추진하기에 기존의 과기정통부 체제로는 한계가 있다는 맥락에서다.</p> <p contents-hash="b60d73bd0b0c5a2b365c2207f61c8a815347b316fd087f759d9b4cd3e066e00a" dmcf-pid="WnaX79Q0pR" dmcf-ptype="general">AI 관련 예산이 지난해 8천억원에서 AI 기본법 제정 등을 계기로 올해 2조7천억원으로 많이 늘어난 것도 현 체제의 변화가 예고되는 부분이다.</p> <p contents-hash="12382c19f93637e7d63a2ba7f7c34ab57989d511dbfd60d362d6e2d710b9f7dd" dmcf-pid="YLNZz2xpuM"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위상을 부총리 부처 등으로 격상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대선을 전후해 제기된 바 있지만 논의가 활발히 진척되지는 않은 분위기다.</p> <p contents-hash="a4422511440386f32cd59e282e70fd19bf26624fcae7d21c05306d334d3407b8" dmcf-pid="GTG6LAsdFx" dmcf-ptype="general">부총리급 격상이 아니라 오히려 규모를 축소하되 날렵한 AI 총괄 역할에 집중하게 하는 방안도 언급된다.</p> <p contents-hash="ffb8480253b759728a5564a77c2e2bfa4da61e6f225a6767e532228fab741ab7" dmcf-pid="HyHPocOJzQ" dmcf-ptype="general">대통령실에 AI디지털혁신처를 신설, 대통령이 AI 기획과 총괄 조정 기능을 직접 운용하도록 하는 안도 이 중 하나다.</p> <p contents-hash="c3256dba70878d7b896780c40c5e95ab34d7280008a75766107b5c147ce01afe" dmcf-pid="XWXQgkIipP" dmcf-ptype="general">또, 과기정통부의 전통적 영역이었던 방송·통신 정책을 방송통신위원회 또는 독임제 부처에 이관하고 AI 및 관련 연구개발·인재 양성책을 다루는 강력한 AI 부처로 거듭나도록 하는 안도 있다.</p> <p contents-hash="1f9b16d5b45c5328828e4e746dc01b428495f05dde2a91b037bae99dfe2e15b7" dmcf-pid="ZYZxaECnz6" dmcf-ptype="general">다만, 과기정통부의 체제 개편이 아직 수면 위에서 적극적으로 논의되는 분위기는 아니다.</p> <p contents-hash="23a44d9375728c6fcc66885e253a06f487306859cf55d1ef8f5701bb82057248" dmcf-pid="5G5MNDhL78"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 18일 국정기획위 업무 보고에서 부처의 거버넌스 개편 논의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b13b7f20c1bb88d3cf11213e8207e35fb6dcacaeb61447b79980166157632449" dmcf-pid="1H1Rjwlou4" dmcf-ptype="general">csm@yna.co.kr</p> <p contents-hash="f08a400cd07209ef9807c8b4e04bfd58452fb5c09b44d1c09f02d4885f3ddb74" dmcf-pid="FZFdcmvaUV"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삼성페이, 애플 2차 공습에 '수수료 부과' 고민[애플페이 지각변동]④ 06-22 다음 '임종훈X안재현,'세계1위'르브렁 형제 꺾었다!" WTT스타컨텐더 류블라나 男복식 우승...'3대0' 완승! 06-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