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ZBP1 억제제' 개발 속도···"감염병·간질환 치료" 작성일 06-22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가신약개발사업 선정, 감염병 신약후보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rtmiNrRCb"> <p contents-hash="fa777a9335a083e543ffd256b19cb1f6580cd1ffc8a3dbb7480d30a9c16bde15" dmcf-pid="6mFsnjmeSB"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강민구 기자]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감염병과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낸다.</p> <p contents-hash="10a18bcf68493f302d5155d2db013ecb7f8976572ff0fc0da8e0e6886bfd7f56" dmcf-pid="PcHkMnc6Sq" dmcf-ptype="general">UNIST는 이상준 생명과학과 교수팀이 ZBP1 억제제를 활용한 알코올 간질환 치료제 개발 과제가 국가신약개발사업단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p> <figure class="s_img 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92615c3eb436a941556ba7d1a7ca94d8836af2832c401b643ae1c9caf9f790" dmcf-pid="QkXERLkPT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상준 UNIST 생명과학과 교수.(사진=UN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daily/20250622093446463dshx.jpg" data-org-width="229" dmcf-mid="4S2HrhGkl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daily/20250622093446463dshx.jpg" width="229"></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상준 UNIST 생명과학과 교수.(사진=UNIST)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03b503cf6641441bc8f82b807e7853e710c4dc3a54588e2eaf9e301e45a947b" dmcf-pid="xEZDeoEQl7" dmcf-ptype="general"> ZBP1은 세포 내 비정상적인 RNA나 DNA를 인식해 강한 면역 반응을 일으키는 단백질이다. 바이러스 감염 시에는 방어 기능을 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알려진 염증과 세포사멸을 유도해 오히려 조직 손상을 초래한다. </div> <p contents-hash="50446275a30bf521a7b2ca1e3bc49c98adc96e3ba72054029a2625369dc56d40" dmcf-pid="yziqGtzThu" dmcf-ptype="general">최근 연구들은 ZBP1이 코로나19,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 질환뿐 아니라 알코올성 간질환에서도 병을 악화시킨다고 경고하고 있다.</p> <p contents-hash="b2fd8f818f5711dba9050e4a88f8c16704e9ed07dcab9f0753ea09eb908524c3" dmcf-pid="WqnBHFqyWU" dmcf-ptype="general">이상준 교수는 “ZBP1의 과도한 염증 반응과 세포사멸을 조절할 수 있는 억제제를 개발할 계획”이라며 “AI 기반 가상 스크리닝을 통해 후보물질을 선별하고, 세포 실험과 동물모델 실험으로 효과를 검증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83cb95195c2d90f1a7f44e2a4e26c4de95bc5cb0876599047a736a78c0eaec8" dmcf-pid="YBLbX3BWyp" dmcf-ptype="general">강민구 (science1@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현무 “외대 합격했지만 바로 취소..재수 후 연대 합격”(티처스2’) 06-22 다음 god부터 싸이까지 ‘불명’에 떴다…동시간대 시청률 1위 06-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