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 AI 경진대회 열린다…실증형 신약개발 연구에 활용 작성일 06-22 1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고품질 화합물 바이오데이터 개방…7월 31까지 개최<br>한국화합물은행 데이터 활용, CYP3A4 효소 저해 예측모델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q3LDhGkT7">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17ca5fe8fb94b2f51790a986ece58c1e37db09e96cf78283e2fea831c27ca6b" dmcf-pid="HB0owlHEC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Boost up AI)’를 개최한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newsis/20250622120207264quxu.jpg" data-org-width="344" dmcf-mid="Y6QlZU9Hv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newsis/20250622120207264qux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울=뉴시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Boost up AI)’를 개최한다.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bbfa9783668ae4f2b1034fbdf77b54e4904faee7f31bd66d5ebe542c211ca97" dmcf-pid="XbpgrSXDTU" dmcf-ptype="general"><br>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바이오연구데이터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 실제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AI) 예측모델을 구현해보는 대회가 열린다. </p> <p contents-hash="a62ab57f7b019b4a3cc9c7ff33357fb84629841667c7c2d3958591217e13e29c" dmcf-pid="ZMfsWtzTSp"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2025 신약개발 인공지능 경진대회(Boost up AI)’를 개최한다고 22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ddc215ec05f915a0ff3198b15c32d2d805587244fd45094f20c9d3bce991b304" dmcf-pid="5R4OYFqyC0" dmcf-ptype="general">이번 경진대회는 국가 바이오소재 클러스터인 ‘한국화합물은행’의 자체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CYP3A4 효소 저해 예측모델 개발’을 주제로 진행되며, 신약개발과 인공지능 기술 융합에 관심 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8cde5359a4350b64e30c1225bdb23e80a7113780451da6590e8a5fb87e780383" dmcf-pid="1e8IG3BWW3" dmcf-ptype="general">CYP3A4는 인체 내에서 약물이나 독소를 분해하는 효소로써 약물의 상호작용이나 대사 안정성을 예측하는데 핵심적으로 활용. 신약 후보 물질의 초기 스크리닝 단계에서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p> <p contents-hash="162ffc0deb8583ed6bd56c6636633a7a7dbbabc56eff60686a1228de06532f4e" dmcf-pid="td6CH0bYvF" dmcf-ptype="general">참여자들은 한국화합물은행(KCB)이 공개한 CYP3A4 효소에 대한 화합물 구조정보와 효소 활성저해 측정값 등을 담은 학습용 데이터 1680여건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필수적인 약물 대사 AI 예측 모델을 개발하게 된다. </p> <p contents-hash="24d353126a720d0e1d28f11433c9203497cf32aac149c1d852ebb3d6274fb9d7" dmcf-pid="FJPhXpKGlt" dmcf-ptype="general">제출한 예측값은 한국화합물은행의 실측값과 비교해 예측 모델의 정확도·데이터 처리 방식 및 범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렇게 개발된 AI 예측 모델은 향후 실증형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 과정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p> <p contents-hash="5a42ab698902af7dca7eb47f1f43029ceac8a49bcb092f5e426a10bc6bd72562" dmcf-pid="3iQlZU9HT1" dmcf-ptype="general">이번 경진대회는 23일부터 7월 31일까지 개최되며, 8월 중 1차 평가(상위 10팀)와 2차 발표평가를 통해 최종 5팀을 선정하여 9월 최종 수상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a67cd1fd480730f5c8e11a69312559d3a9b08d4eab0240446ec384cbe58d7db7" dmcf-pid="0nxS5u2Xv5" dmcf-ptype="general">최우수상(과기정통부 장관상, 500만원) 1건, 우수상(한국화학연구원장상·한국생명공학연구원장상, 300만원) 2건, 장려상(한국화합물은행장상·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상, 100만원) 2건이다. </p> <p contents-hash="78ca4ec9fe28fa9a569e9ca35b8773221035a888c62f6abe281c46d31f0f2f59" dmcf-pid="pLMv17VZlZ" dmcf-ptype="general">김성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약물대사 예측에 인공지능을 접목함으로써 신약·바이오-인공지능 융합의 미래를 체감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고품질의 공공 바이오데이터를 개방하여 국민 누구나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이번 경진 대회를 통해 바이오 분야의 혁신 역량이 더욱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67b594a6538a12204be87916648b2cb0fb2de5797d45cec7d1b9224e7475216" dmcf-pid="Ue8IG3BWCX"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siming@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용·문화·여가 마이데이터 확대한다…개보위, 현장의견 청취 06-22 다음 개인정보위, 마이데이터 관계기관과 연이어 간담회 개최 06-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