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SKT 불용안테나 164톤 재활용…“탄소감축효과 1662톤, 국내 첫 검증” 작성일 06-22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Oyvd7VZ10">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6b989d8f1a0e056e57b61054a568f819425baba863a94fef3a69d3dc675a52" dmcf-pid="tH0Fk6Jq13"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2732okar.jpg" data-org-width="700" dmcf-mid="YgCs6tzTY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2732oka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동통신 기지국 장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4db263760319f18453411e809455940a1ccb31810df96c4f7d6508a9c4b25f" dmcf-pid="FXp3EPiBGF"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이 한 해 동안 전국 이동통신망에서 발생한 폐안테나 약 164톤을 재활용해 연간 1662톤에 달하는 온실가스 감축을 검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큰 알루미늄부터 고부가가치 광물을 품은 인쇄회로기판(PCB)에 이르기까지 원자재 소비를 절감한 덕분이다.</p> <p contents-hash="132da616b6db7e5abea571ee658dd36f4ab77ecad42936cae02d987c791ac772" dmcf-pid="3ZU0DQnbGt" dmcf-ptype="general">한국스코프쓰리협회는 경기도 화성 소재 리사이클링 업체 비젼알앤이가 '소재별·물질별 폐안테나 재활용한 결과'와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전주기평가(LCA) 방법으로 검증했다고 22일 밝혔다.</p> <p contents-hash="4b0cccfd93e713f8602813c1917655579685e285701a09a1e73bd5c39e688057" dmcf-pid="05upwxLK11" dmcf-ptype="general">국내 이통망에서 발생하는 폐안테나는 매년 10%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안테나 배출량은 거의 비슷한 수준이지만, 현재 SK텔레콤이 선제적으로 폐안테나 재활용 효과 검증 사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그룹차원에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전환을 더욱 가속화한다는 입장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0593d67718ca6868e3a7888ca1c25594d1d38f0400e81be1e3368c27cd15dcd" dmcf-pid="p17UrMo95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수거된 폐안테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4101afzd.png" data-org-width="362" dmcf-mid="GE2KlLkP1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4101afzd.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수거된 폐안테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7ecefaf606ba75b97c907a774cb52fe2a46b0fa8a99919b76aeaafca611251a" dmcf-pid="UtzumRg21Z" dmcf-ptype="general">지난해 SK텔레콤 이통망에서 발생한 폐안테나(약 164톤) 중 알루미늄이 46.2%(약 76톤)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뒤이어 플라스틱(약 44톤), 전선(약 14톤), 구리(약 10톤), 스테인리스(약 8톤), 아연(약 6톤), PCB(약 4톤), 고철(약 3톤) 순이다.</p> <p contents-hash="4721a98b1fef3d958d46a03dd8b8f21fa66944cf278e2f81b60abc4a931678e3" dmcf-pid="uFq7seaVYX" dmcf-ptype="general">탄소감축량이 가장 큰 소재는 알루미늄(1257톤)으로 전체의 75.6%에 달했다. 뒤이어 플라스틱(283톤), 구리(52톤), 스테인리스(32.8톤), 전선(18.5톤), 아연(11.8톤), 고철(3.8톤), PCB(2.1톤) 순이다.</p> <p contents-hash="94da0e528f20a4dfff34dc43d3ba4cbef344e20d192ca42f6dddb2ce07bba4c0" dmcf-pid="73BzOdNfGH" dmcf-ptype="general">특히, 약 4톤에 달하는 SK텔레콤 이통망 폐안테나 PCB는 폐전기·전자제품 중 고부가가치 핵심광물을 품고 있어, 재활용가치가 가장 크고 온실가스 감축효과 또한 가장 큰 것으로 밝혀졌다.</p> <p contents-hash="01392ff5b43122787f2dfe178952bfef53125853de7d244be13a3cef2cb2d8fc" dmcf-pid="z5upwxLKGG" dmcf-ptype="general">송효택 한국스코프쓰리협회 부회장은 “리사이클 업체가 2023년 일반 전기·전자제품과 스크랩류의 폐PCB 850톤을 수거· 재활용해 추출한 금·은·구리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약 1200톤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면서 “백금, 팔라듐 등 귀금속과 코발트, 니오븀 등 희소금속까지 추출할 경우 2배를 상회할 것”이라고 예측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8cb7e5d7d7776db0c29a7b0b262a7c435d48558fc02044fd3659be433d3a811" dmcf-pid="q17UrMo9Z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5350ifmu.jpg" data-org-width="700" dmcf-mid="H8f2vgDxY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5350ifmu.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127fb8d7632dd3f7d10d0fb41c0023a85de0a2511797b10d3014172c2f19799" dmcf-pid="BtzumRg2tW" dmcf-ptype="general">한편, 국내에서 발생하는 폐PCB는 연간 약 2만5000톤으로 폐전기·전자제품의 2.6% 수준이다. 앞으로 국내 탄소배출의 70%에 달하는 스코프3 분야 기업들도 불용장비 재활용에 동참해 온실가스를 감축·검증하고 핵심전략광물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늘어날 전망이다.</p> <p contents-hash="0da95560bff940dc94cf7621111e3ae4c4be7c4d250f62eb2440ff3287f311e5" dmcf-pid="bFq7seaV1y" dmcf-ptype="general">송 부회장은 “270여 기업·기관 활동에 대한 탄소감축효과를 검증한 결과, 폐전기전자제품·통신장비 등을 재활용하면 연간 300만톤 이상 탄소가 줄어들 수 있다”라면서 “스코프3부문 탄소중립에 대한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b940f4cf2c78244df63c5e779db33bc865768c689c28ecf39246754eb7415e2" dmcf-pid="K3BzOdNfY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수거된 폐PC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6710ptfx.jpg" data-org-width="700" dmcf-mid="56EcKYFOH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2/etimesi/20250622140316710ptf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수거된 폐PC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83a4a34c32f6709dad9053fe3e4c2f8331f384bad94613c01a9cba613933e82" dmcf-pid="90bqIJj4Hv" dmcf-ptype="general">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니쥬, 日서 가장 라이브 뛰어난 걸그룹 호평 “기쁘고 영광, 치열하게 고민중” 06-22 다음 대통령도 했던 게임이 질병?…'게임 1번지' 성남에서 부활한 망령 06-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