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 나뭇잎→그린 수소 만든다 [지금은 과학] 작성일 06-23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UNIST 연구팀, 고효율·고내구성 인공 광합성 모듈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bey8H0Cao"> <p contents-hash="043e9ef851e8fbaa856e742a3c3b7da2cb86223f9e203fc3096d37062a98b517" dmcf-pid="uKdW6XphkL"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인공 나뭇잎으로 그린 수소를 만들 수 있는 길이 성큼 다가왔다. 국내 연구팀이 인공 광합성 모듈을 개발했다. 태양에너지를 그린수소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이다.</p> <p contents-hash="d5d0eeff2ad910a9beab0173253a712e8080c0936cd67767bf453109b5a1b15b" dmcf-pid="79JYPZUljn" dmcf-ptype="general">태양에너지를 수소로 직접 전환하는 인공 광합성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을 크게 높인 연구 결과여서 주목된다. 고효율·장기 안정성·확장성을 모두 만족하는 인공 나뭇잎 모듈이다.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한 그린 수소 생산 기술에 큰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았다.</p> <p contents-hash="ce256c81e42f2d369c4669ee9a4976fd2201715ce52fd4390ef8778b9858dd58" dmcf-pid="z2iGQ5uSoi" dmcf-ptype="general">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석상일·장지욱 교수팀은 고효율·고내구성·대면적 확장성(scalibility)을 모두 갖춘 ‘모듈형 인공 나뭇잎’을 개발했다고 23일 발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4964b48c4fb63d42b2fe54837b719d48528c402969daba41caecec0e14f06dc" dmcf-pid="qVnHx17vo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공 나뭇잎 모듈이 태양광 시뮬레이터에서 나온 빛을 받고 있다. [사진=UN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inews24/20250623080140812lxbz.jpg" data-org-width="580" dmcf-mid="3vMvfYFOo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inews24/20250623080140812lxb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공 나뭇잎 모듈이 태양광 시뮬레이터에서 나온 빛을 받고 있다. [사진=UN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60ded6028cd69512ee1bb37cc72e69d96f8a29a84a9b984fa4e020fe4ba05b6" dmcf-pid="BfLXMtzTod" dmcf-ptype="general">‘인공 나뭇잎’은 자연의 잎처럼 햇빛과 물만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외부 전력을 따로 사용하지 않는다. 수소 생산 과정에서도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수소 생산 방식이다.</p> <p contents-hash="f471cd6e50581d2b27fbf617271759da376765001ef9b4c9131df6bc6a48e3db" dmcf-pid="b4oZRFqyae" dmcf-ptype="general">기존 태양전지 기반 전기분해 방식(PV-EC)과 달리 전기 생산 단계를 생략하고 광에너지를 직접 화학에너지로 바꾸는 구조이다. 시스템 사이 저항에 의한 손실이 적고 설치 면적도 줄일 수 있다. 낮은 효율, 내구성과 그 규모를 키우는 확장성 문제로 상용화에 제약이 있었다.</p> <p contents-hash="2cc3c54e38fb6ee05a5ffe32a96b1639006c8cb1e2c78abba5eb5fadff7cb710" dmcf-pid="K8g5e3BWoR"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기반의 태양광 흡수층과 니켈-철-코발트 촉매를 활용해 1㎠ 단위의 고효율 광전극을 제작했다. 이를 4×4 배열로 확장한 모듈형 인공 나뭇잎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10a0105d66963844076c3652a4e1fcfb29cc48ec78b103fd644226068b8a23ee" dmcf-pid="96a1d0bYjM" dmcf-ptype="general">이 모듈은 별도 전원 없이도 태양광만으로 안정적 수소 생산이 가능하다. 모듈 전체 수준에서 태양광 수소 전환 효율(Solar to Hydrogen Efficiency, STH) 11.2%를 달성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54ee7c505ec8b022dffe9ca1bba2ed4e2d1f1444a6505be39647b7523d0647" dmcf-pid="2PNtJpKGj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고효율 무배선 인공 나뭇잎. 태양에너지를 그린 수소로 만들 수 있다. [사진=UN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inews24/20250623080142097byda.jpg" data-org-width="580" dmcf-mid="pEJYPZUlA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inews24/20250623080142097byd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고효율 무배선 인공 나뭇잎. 태양에너지를 그린 수소로 만들 수 있다. [사진=UN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01713dda66c7ac031ff50018ab973070bb81687f8dc0970b3faf9bbc659284" dmcf-pid="VQjFiU9HgQ" dmcf-ptype="general">이는 현재까지 보고된 인공 나뭇잎 중 최고 수준이다. 상용화에 필요한 10% 이상의 효율을 모듈 규모에서 달성했다는 점에서 눈길을 끈다.</p> <p contents-hash="8a378b123ab6193d6ea0f7e46b8373b499d9550d1c2ef00995c1158fab2a11b0" dmcf-pid="fRkpozf5jP"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고효율과 안정성을 확보한 이유로 염소를 첨가한 페로브스카이트 흡광층(Cl:FAPbI₃)과 자외선에 강한 전자수송층(Cl:SnO₂), 촉매층(NiFeCo)의 조합을 꼽았다. 전극의 수분 노출에 의한 손상을 막기 위해 특수 니켈 포일과 수지 봉지 기술을 적용해 140시간 연속 작동에서도 99%의 초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e11ad444aeaed8b7640cdb5943a5471f70503a1f008755f45507fb2c0fa6bda3" dmcf-pid="4eEUgq41k6" dmcf-ptype="general">이재성 교수는 “이번 성과는 단순히 실험실에서의 고효율 수소 생산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이용할 수 있는 수준의 모듈형 인공 광합성 장치로 상용화의 기준인 10% 이상의 효율을 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태양전지 패널처럼 대면적 인공 나뭇잎 패널로 확장도 가능해 상업화를 위한 결정적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381ae538c074cee4d8f6f1cd6987bb7cc0e1215aeebfc07f56018b503943a8a" dmcf-pid="8dDuaB8tA8"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논문명: Scalable and durable module-sized artificial leaf with a solar-to-hydrogen efficiency over 10%)는 국제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 올해 5월 6일 자로 실렸다.</p> <address contents-hash="73ee2d098388ae08c7e9a548b165801a4f2fd656c7e4929e3a5cec2c2021ac5f" dmcf-pid="6Jw7Nb6Fg4"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티처스2’ 반수생 희귀 성적표에 정승제 기겁 06-23 다음 '김동현 제자' 고석현, UFC 데뷔전서 압도적 배당 뒤집고 언더독 반란! '반칙 극복' 박준용, 동반 승리 06-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