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의 모든 것을 본다…또 하나의 천문학 혁명 작성일 06-23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font color="#333333">곽노필의 미래창</font><br> 칠레 베라루빈천문대, 오늘밤 첫 관측사진 공개<br> 32억화소 카메라로 3일마다 밤하늘 전체 촬영</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4vzGawMZ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ddd582de0378919c47b8aa1c5b8bc07311677511fdf1faa97a5453467ca0704" dmcf-pid="UWdOozf55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발 2647m의 칠레 중부 안데스산맥 세로파촌산 정상에 설치된 베라루빈천문대.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0083fppv.jpg" data-org-width="800" dmcf-mid="1h2HmPiBG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0083fpp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발 2647m의 칠레 중부 안데스산맥 세로파촌산 정상에 설치된 베라루빈천문대.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2083cf3b3ff30cc5dc56b536d41759d749cfb7f61542cd2948668d9708875e" dmcf-pid="uYJIgq41HX" dmcf-ptype="general"> 올해 초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남미 안데스산맥에 설치된 베라루빈천문대를 ‘2025년 10대 혁신 기술’의 하나로 꼽았다. 지난해 말부터 관측 준비를 하고 있는 베라루빈천문대가 마침내 23일 첫번째 관측 사진을 공개한다.<br><br>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광적외선천문학연구소(NOIRLab)는 이날 오전 11시(한국시각 24일 0시) 사진 공개와 함께 기념 행사를 연다. 행사는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된다.<br><br> 해발 2647m의 칠레 세로파촌산 정상에 자리한 베라루빈천문대는 역대 망원경 중 가장 큰 시야(3.5도)로 3일 밤마다 남반구에서 보이는 하늘 전체를 관측할 수 있다. 한 번에 관측하는 영역이 보름달 크기의 45배다. 허블우주망원경이 보름달 크기의 1%,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보름달 크기의 75%인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큰 눈을 가졌는지 짐작이 간다.<br><br> 2022년 관측 활동을 시작한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깊은 눈’으로 우주 기반 관측의 새 시대를 열었다면, 베라루빈천문대는 ‘큰 눈’으로 지상 기반 관측의 새 지평을 열어젖힐 것으로 기대된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 가동 3년만에 또 한 번의 천문학 혁명이 시작되는 셈이다.<br><br> 베라루빈천문대는 이를 위해 최대 지름 8.4m인 3개의 대형 반사경과 최대 지름 1.65m인 3개의 렌즈, 32억화소의 디지털 카메라, 근자외선에서부터 근적외선에 이르는 빛(320~1050nm)을 포착할 수 있는 6개 필터를 갖추고 있다. 카메라 무게만 3톤이며 전체 무게는 무려 350톤에 이른다. 베라루빈천문대가 찍은 사진을 하나의 전체 화면으로 보려면 4K급 초고해상도(UHD) 텔레비전 400대를 연결해야 한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1547e849ad02f248c3ca7e19339079b6ac440da84049950da0a435dd255148" dmcf-pid="7GiCaB8t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베라루빈천문대의 32억화소 카메라는 지름 1.65m로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카메라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1388zjfn.jpg" data-org-width="800" dmcf-mid="t5kRBlHEt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1388zjf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베라루빈천문대의 32억화소 카메라는 지름 1.65m로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 카메라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e6cf5e5bf320b9397775d16d8f5f243da623a4ca310157a1da9d8aa25f5df69" dmcf-pid="zHnhNb6F5G" dmcf-ptype="general"><strong>매일 1000장씩…‘우주 10년 타임랩스’ 만든다</strong><br><br> 이 천문대엔 별도의 관측 프로그램이 없다. 밤하늘에 보이는 모든 것을 관측하기 때문이다. 천문학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관측 데이터 부분을 골라 분석하면 된다. 이 천문대의 데이터관리담당 부소장 윌리엄 오멀레인은 뉴욕타임스에 “우리는 모두를 위한 데이터를 생산하기 때문에 직접 망원경에 가서 관측한다는 생각은 있을 수 없다”며 “관측은 이미 이뤄진 것이고, 당신은 관측 결과를 찾기만 하면 된다”고 말했다. 천문학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해 언제 어디서나 이 데이터로 새로운 발견을 할 수 있다.<br><br> 베라루빈천문대는 앞으로 10년 동안 매일 밤 1000장 이상의 사진을 촬영해 차곡차곡 쌓아가면서 말 그대로 우주의 ‘타임랩스’ 영상을 만들게 된다. 똑같은 영역을 연간 100번씩 촬영해 총 200만장 이상으로 구성될 타임랩스 영상엔 소행성에서부터 거대한 별과 은하에 이르기까지 가시광선으로 수집할 수 있는 모든 것이 담긴다.<br><br> 한국천문연구원의 황나래 책임연구원은 “하늘 전체를 봐야 하기 때문에 한 번에 15~20초의 짧은 노출 시간만 주면서 반복해서 찍는다”고 말했다. 이처럼 빠르고 넓게 하늘을 살펴보기 때문에 지금까지 놓치거나 관측하기 어려웠던 일시적인 천체 현상도 실시간에 가깝게 포착할 수 있다. 초신성 폭발, 감마선 폭발, 태양계 소행성들의 움직임 등 다양한 우주 현상을 고스란히 담아 알려준다. 이전 사진과 비교해 조금이라도 변화가 생기면 자동으로 알려주는 경보시스템이 작동하도록 돼 있다. 과학자들은 매일 사진 하나당 1만건씩 최대 1천만건의 경보가 울릴 것으로 예상한다. <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e6b20c96db6768396c91ae10920999c98635e4b36ce5889823ef006d0ff4f09" dmcf-pid="qXLljKP3Z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디지털 카메라의 초점면. 폭 60cm에 189개 센서가 32억화소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2643rmpm.jpg" data-org-width="800" dmcf-mid="F2RBXjme5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2643rmp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디지털 카메라의 초점면. 폭 60cm에 189개 센서가 32억화소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605178d93984b565e4181354d2a60fc3c6581ade627107311c00d3777ec94f4" dmcf-pid="BZoSA9Q0GW" dmcf-ptype="general"><strong>방대한 관측 데이터로 암흑물질 추적 </strong><br><br> 베라루빈천문대의 최대 임무 중 하나는 우주의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다. 남반구 하늘 전역을 샅샅이 훑어보면서 우주의 95%를 차지하는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의 존재에 관한 단서를 찾는 걸 목표로 삼고 있다. 이 천문대의 케빈 라일 연구원은 뉴사이언티스트에 “3일마다 하늘 전체를 촬영한 사진을 10년간 쌓으면 아주 깊고 먼 우주까지 볼 수 있다”고 말했다.<br><br> 베라루빈천문대가 하룻밤에 쌓는 관측 데이터는 20테라바이트(1테라=1조)다.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의 350배나 된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따르면 지금까지 모든 망원경이 수집한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관측 첫해에 수집한다.<br><br> 과학자들은 10년 후 관측이 끝날 무렵엔 200억개 은하와 170억개 별, 1000만개의 초신성 목록이 포함된 60페타바이트(1페타=1000조)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 데이터를 슈퍼컴퓨터로 분석하면 암흑물질이 은하와 별에 미치는 중력 효과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br><br> 영국 퀸스 유니버시티 벨파스트 연구진은 최근 베라루빈천문대가 태양계에서만 9만개의 지구근접천체(NEO)와 140만~500만개의 소행성대 천체를 추가로 발견할 것으로 추정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5c33b3ef6ec55908385df874b8fb10a1d3d9db0bc3d75a9e4b83a7979c17fab" dmcf-pid="b5gvc2xp5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름 8.4m의 주거울.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3940khmo.jpg" data-org-width="800" dmcf-mid="3ibZOxLKt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3940khm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름 8.4m의 주거울.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daa1d5abc8723f0b8892b59c43eec91d76cbbe2aa740aa61b0efbb1527b6488" dmcf-pid="KAzJ9T5rYT" dmcf-ptype="general"><strong> 천문대 이름의 주인공 베라 루빈은 누구?</strong><br><br> 천문대 명칭에 쓰인 ‘베라 루빈’은 1970년대 암흑물질의 단서를 포착한 여성 천문학자의 이름이다. <br><br> 그는 은하의 바깥쪽 가장자리에 있는 별들이 생각보다 너무 빨리 움직이는 걸 보고, 우리가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물질이 존재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은하 중심부에는 외곽보다 별이 더 많다. 따라서 중력도 더 강하게 작용한다. 이는 중심부에 가까운 천체일수록 회전 속도가 더 빨라야 한다는 걸 뜻한다. 하지만 그가 관측한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외곽의 별이 안쪽 별들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의 중력이 작용하지 않고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라고 생각했다. 이후 이 보이지 않는 물질은 암흑 물질이라고 명명됐다. <br><br> 천문학자들은 현재 우주에는 일반 물질보다 약 5배 많은 암흑 물질이 존재하며, 암흑물질의 거대한 중력이 현재 우리가 보는 우주의 틀을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우주는 실(필라멘트)로 이어진 3차원 거미줄 구조 비슷한데, 암흑물질은 은하와 성간 가스를 필라멘트로 묶어주는 역할을 한다.<br><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f762868a1b98b330cd703f7074b3b26bb8cb357c951a5bb107c15f0f667941b" dmcf-pid="9cqi2y1mt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베라루빈천문대는 3.5도 시야각으로 한 번에 보름달 45개 크기의 하늘 영역을 촬영한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5231occc.jpg" data-org-width="800" dmcf-mid="0E4Ax17vX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hani/20250623093645231occ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베라루빈천문대는 3.5도 시야각으로 한 번에 보름달 45개 크기의 하늘 영역을 촬영한다. 베라루빈천문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866c1d62d33cbab8901ea8514908a0448d1219f30bbc8b882bb78ca1975fc8a" dmcf-pid="2kBnVWtsXS" dmcf-ptype="general"><strong> ‘빠르면서도 넓고 깊게’…새로운 탐사의 시작</strong><br><br> 베라루빈천문대처럼 넓은 하늘을 관측할 망원경이 필요하다는 아이디어는 1996년 우주의 팽창 속도를 연구하던 토니 타이슨 데이비스캘리포니아대 교수(물리학)한테서 처음 나왔다. 그와 동료 학자들은 이 생각을 가다듬어 2009년 거대개괄탐사망원경(LSST) 필요성을 제안하는 600쪽 분량의 문서를 발표했다. 이후 미국 국립과학재단이 이를 받아들여 2015년부터 본격 망원경 건설 작업에 들어갔고, 2020년엔 망원경 이름을 베라루빈천문대로 바꿨다.<br><br> 현재 베라루빈천문대 수석과학자이기도 한 타이슨 박사는 뉴욕타임스에 “그동안 수많은 탐사가 있었지만 동시에 ‘빠르면서도 넓고 깊게’ 탐사하지는 못했다”며 “루빈천문대는 이전엔 하지 못했던, 새로운 천문학 시대의 시작”이라고 말했다.<br><br> 스탠퍼드대 국립가속기연구소(SLAC)의 마르고 로페스 연구원은 과학잡지 사이언티픽아메리칸에 “천체관측 역사상 가장 큰 카메라인 베라루빈천문대 관측의 핵심은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라며 “인간은 항상 가장 높은 산이나 가장 먼 바다에 가고 싶어했는데, 이 천문대도 바로 그런 것 중 하나”라고 말했다.<br><br> 베라루빈천문대는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미국 에너지부(DOE)가 공동으로 8억달러의 자금을 지원했으며, 과학재단의 광적외선천문학연구소(NOIRLab)와 스탠퍼드대의 국립가속기연구소가 공동으로 운영한다. <br><br> 베라루빈천문대에는 미국과 칠레 외에 한국천문연구원을 포함한 30여개 국가가 후속 관측, 연구원 파견 등 현물기여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다. 앞으로 2년간은 이들 나라의 과학자들이 관측 데이터를 독점 사용한다.<br><br> 곽노필 선임기자 nopil@hani.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착한 사나이' 이동욱, 건달로 변신…"내 인생 망가져도 괜찮아" 06-23 다음 렛츠런파크 부산·경남 물놀이장 다음 달 5일 개장 06-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