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숨결까지 정확히 감지하는 정밀 촉각센서 개발 작성일 06-23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8mWgVMUv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3ba5dc97be5ec63d591d1c38980988fae5276bbe4054f01274b5f59b35a53e2" dmcf-pid="56sYafRul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왼쪽부터 박인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최중락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원, 이돈호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생, 한찬규 연구원.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7036tpav.jpg" data-org-width="680" dmcf-mid="GdGGN4e7y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7036tpa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왼쪽부터 박인규 KAIST 기계공학과 교수, 최중락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원, 이돈호 KAIST 기계공학과 박사과정생, 한찬규 연구원.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a2f414e2f5f8679594cfcaf835e0bbb9f9cfbed1ad970eff59a3265721e5998" dmcf-pid="1POGN4e7TQ" dmcf-ptype="general">국내 연구팀이 작은 숨결과 음파까지 정확하고 빠르게 감지할 수 있는 촉각 센서를 개발했다. 발바닥 압력 분포 같은 일상 움직임을 분석하거나 외과 수술을 훈련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7edfe57cf8d2cc03bb9ca176e77c692c62b423ae3a8989a62b355cf89377d991" dmcf-pid="tE39yAsdhP" dmcf-ptype="general"> KAIST는 박인규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 촉각 센서 기술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14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됐다.</p> <p contents-hash="6cf0cfa04c01059683007ec2ce5fde3d3cc0181783cbcdb33a00a5fd6713c5d2" dmcf-pid="FD02WcOJC6" dmcf-ptype="general"> 촉각 센서는 압력을 감지해 얼마나 강한 힘으로 눌렸는지 파악하는 기술이다. 기존 촉각 센서는 부드러운 엘라스토머(탄성체)를 기반으로 제작됐다. 응답속도가 느리고 똑같은 자극을 반복했을 때 재료가 변형돼 정확도가 점차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1eb672c3f1667396e95519b8917073e85747ae42aff17000c742a2ae4d38645" dmcf-pid="3wpVYkIiv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기존 연성 엘라스토머 기반의 3차원 센서(위)와 연구팀이 개발한 열성형 기반 3차원 센서의 구조와 기계적 특성 비교.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8328uhlx.png" data-org-width="680" dmcf-mid="HUqP5mvaC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8328uhlx.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기존 연성 엘라스토머 기반의 3차원 센서(위)와 연구팀이 개발한 열성형 기반 3차원 센서의 구조와 기계적 특성 비교.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62e261e25ce2e94cb6e434e6e2a5d003db9863fc02be86c0c0525c5aad6313b" dmcf-pid="0rUfGECnT4"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열성형 기반 3차원 전자 구조(Thermoformed 3D Electronics, T3DE)'를 적용해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미세한 압력까지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촉각 센서를 구현했다. T3DE 센서는 얇은 2차원 필름 위에 전극을 정밀하게 배치하고 열과 압력을 가해 입체로 성형된다. </p> <p contents-hash="8ef5b78fe4f780b9091e76a8a5972e60e463152368993076837d88a16e194875" dmcf-pid="pmu4HDhLlf" dmcf-ptype="general"> T3DE 센서는 설계 단계에서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조절할 수 있다. T3DE 센서의 3차원 구조를 변형하면 운동을 할 때 바닥에 가해지는 100만파스칼(Pa)의 높은 압력부터 10파스칼(Pa) 수준의 작은 음파까지 상황에 따른 맞춤형 센서를 구현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87b00512711fa56b71de9751071b3bcaaae379cc9531c6d81cba1bdf690e6933" dmcf-pid="Us78XwlolV" dmcf-ptype="general"> T3DE 센서의 응답속도는 1만분의 1초, 5000번 반복 작동했을 때도 정밀도를 99.9% 유지했다. 음향 감지 실험에서는 상용 음향 센서와 비슷한 성능을 냈다. 연구팀은 센서 2800개로 운동 중 발바닥의 압력 분포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고 맥박 측정을 통해 혈관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도 성공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2aa4e5d0b2877ed99b06bcad0c8333cf666bd5f453f525338ad58a809e322ab" dmcf-pid="uOz6ZrSgT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T3DE 센서 입체 구조에 따른 압력 감지 범위와 활용(왼쪽 위), 음향 감지 실험 결과(오른쪽 위), 맥박 모니터링(왼쪽 아래), 체중 분산 모니터링(오른쪽 아래).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9722uvij.png" data-org-width="680" dmcf-mid="XcIHj8dzT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3/dongascience/20250623111409722uvij.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T3DE 센서 입체 구조에 따른 압력 감지 범위와 활용(왼쪽 위), 음향 감지 실험 결과(오른쪽 위), 맥박 모니터링(왼쪽 아래), 체중 분산 모니터링(오른쪽 아래).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d068b18453eef34bae3e6835fb65791b671a3e6ad1183b16ab2cb21340547f5" dmcf-pid="7IqP5mvaT9" dmcf-ptype="general">T3DE 센서 지지체의 다리 두께, 길이, 개수 등을 조절하면 센서를 피부, 근육, 힘줄 등 생체조직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어 생체 인터페이스 센서로 유용하다.</p> <p contents-hash="a46c332d3333d5ef64c44b95eabfa596b8d05111a9ab00954ac9f9989c43f42f" dmcf-pid="zCBQ1sTNWK" dmcf-ptype="general"> 증강현실(AR) 기반 외과 수술 훈련 시스템에도 적용됐다. 센서가 실제 생체조직과 유사한 강성으로 설계돼 절개 시 가해지는 압력 강도에 따라 시각·촉각 피드백을 동시에 제공한다. 너무 깊이 베거나, 위험한 부위를 건드리면 실시간 위험 경고가 가능하다. 의료 교육의 몰입도와 정확성을 획기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다.</p> <p contents-hash="5e99ed0b61f65579fd46d4f1438920b70bb108321b06ee6a05bac5e334043954" dmcf-pid="qhbxtOyjCb" dmcf-ptype="general"> 박 교수는 "개발된 센서는 설계 단계에서부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한다"며 "일상생활은 물론 의료, 재활, 가상현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fc78f15687409e0d01eb8c929abcb21c241ec65fb1fd909eeb442f9aa5b85cd" dmcf-pid="BlKMFIWAhB" dmcf-ptype="general"> <참고 자료><br> - doi.org/10.1126/sciadv.adv0057</p> <p contents-hash="719c37d0df2d94f7b16b81d187493386675776ed7b52deee9b1d91f0dc4d736d" dmcf-pid="bS9R3CYcTq" dmcf-ptype="general">[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뭉찬4’ 박항서 팀, 리그 첫 필드골 넣고도 패배…안정환 앞 설욕 실패 06-23 다음 고석현·유주상 등 UFC, 신예 파이터 팬 사인회 개최 06-2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