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강국 도약…이광형 KAIST 총장 “인재양성 R&D 혁신 가속화” 작성일 06-24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KAIST, ‘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비전 제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FWTN6Jq75">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43b53f16a749afaf10265b4e3f2bfa1b1efade8ef3cbc80d0301e3083dee60b" dmcf-pid="U3YyjPiBz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광형 KAIST 총장.[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d/20250624084514939ksam.jpg" data-org-width="1280" dmcf-mid="38ImeB8tu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d/20250624084514939ksa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광형 KAIST 총장.[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fa3e33ffa4fd2c72b6ca37c18dc23596a7b985abdd5fe8d143b5fa78f4b6ddd" dmcf-pid="upHYcxLK3X"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인 G3 AI 강국 실현을 위해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다.”(이광형 KAIST 총장)</p> <p contents-hash="93bc6852b15d675cfdcce99add506f6c59d45bf6d5ebea1bc8528e22397a768c" dmcf-pid="7UXGkMo93H" dmcf-ptype="general">KAIST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가 혁신을 주도하고 인류 문제 해결에 앞장서는 ‘AI 중심 가치 창출형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 거듭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p> <p contents-hash="855d217117b689a6dbf82cfbcfa11aab942369a8040fe90904b9e252d9aa2a83" dmcf-pid="zuZHERg23G" dmcf-ptype="general">대한민국이 기술 주도형 사회로 대전환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KAIST는 지난 반세기 동안 국가 발전사의 ‘스타터킷(Starter Kit)’ 역할을 수행해온 경험을 토대로, 단순한 교육·연구기관을 넘어 새로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혁신 허브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92841a858408354ce2e34e9375636139eaf00498c086c54405b510f573367651" dmcf-pid="q75XDeaV3Y" dmcf-ptype="general">KAIST는 대한민국이 인공지능 주요 3개국(G3)에 도약할 수 있도록 전 국민이 소외 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AI 기본사회’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KAIST가 주관하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국가AI연구거점’사업을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는 데 매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311cc8ac424fb13c1b3743e412d7e12376d5ae85c4589b67b5b95273303689ad" dmcf-pid="Bz1ZwdNf0W" dmcf-ptype="general">KAIST의 AI 분야 연구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는다. 머신러닝 분야 최고 3대 학회에서 최근 5년간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같은 기간동안 인공지능 Top 학회의 논문 수 기준으로 세계 5위, 아시아 4위를 차지했다. 또한 세계 최고 권위의 반도체 집적회로 학술대회인 ISSCC에서 19년간(2006~2024) 평균 논문 채택 수 세계 1위를 차지하며 독보적인 연구력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1edeb91c04157f3df1ddf0ace5c82e4eca5a86b97ed195b3c712a129066c7989" dmcf-pid="bqt5rJj47y" dmcf-ptype="general">KAIST는 초거대 AI 모델(한국형 LLM),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AI 기술 개발을 비롯해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정밀의료, 설명 가능한 AI(XA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도 연구를 지속 확대 중이다.</p> <p contents-hash="73e4a1abac165376b940377e438fec8625d8962c3cdf2a79e2370e4ab4386a63" dmcf-pid="KBF1miA8uT" dmcf-ptype="general">제조업 분야에서도 KAIST의 AI 기술은 현장 혁신을 주도한다. 김성민 교수팀은 센티미터 이하의 정밀도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초저전력 무선 태그 기술을 개발해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앞당기고 있다. 최재식 교수가 창업한 ㈜인이지의 산업 공정 최적화, 설비 고장 예측과 같은 기술은 실제 산업 현장에 빠르게 적용되어 성과를 내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9529cf48e0ffa4adad473ac834a9eee2faee3dbe0bb2fbc0bd326595eca071b" dmcf-pid="9b3tsnc6p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연구원이 AI 연구를 위해 데이터 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있다.[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d/20250624084515229ulex.jpg" data-org-width="1280" dmcf-mid="0hidzYFOF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d/20250624084515229ule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연구원이 AI 연구를 위해 데이터 분석작업을 수행하고 있다.[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f696d98c95c16e14d3c8cd4a316f22ffb750fcc96aea5f68f75687bfd14064c" dmcf-pid="2K0FOLkP0S" dmcf-ptype="general">AI와 밀접한 연관을 지닌 로봇 분야에서도 실용화 사례가 잇따른다.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팀은 재난 구조, 험지 탐사, 등 고위험 환경에서 활용 가능한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 2’를 새롭게 개발해 주목을 받았다. 공경철 교수팀과 ㈜엔젤로보틱스는 외골격 로봇 ‘워크온 슈트’를 개발해 하반신 완전마비 또는 보행 장애인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p> <p contents-hash="07a1f49980d34814d069364cb4a197a2dba9b9b3c3e45716aa929858df864381" dmcf-pid="V9p3IoEQFl" dmcf-ptype="general">이런 첨단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KAIST는 산업계는 물론 글로벌 무대에서도 영향력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MIT, 스탠퍼드대, 뉴욕대(NYU) 등 세계 유수 대학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으며, 특히 NYU와는 뉴욕에 공동캠퍼스를 설립하여 인적 교류, 공동연구 등을 강화하고 있다. 구글, 인텔, TSMC 등 글로벌 기업들과의 산학협력도 활발히 이어가며 미래 기술 개발과 혁신생태계 조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p> <p contents-hash="914263dabb6c2a9fa0ee61e865330115fce8ffe52333541666074aa2f1e8af2e" dmcf-pid="f2U0CgDx3h" dmcf-ptype="general">이광형 총장은 “KAIST가 특히 역점을 두는 AI 분야에 대한 비전은 모든 사람이 AI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AI를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고, 피지컬 AI, AI 로봇, AI 모빌리티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극 보급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텔레픽스-LK삼양 , 화성·달 탐사 AI 자율항법 시대 열다 06-24 다음 한국, 세계남자주니어 핸드볼 선수권서 캐나다 꺾고 2연승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