텔레픽스-LK삼양 , 화성·달 탐사 AI 자율항법 시대 열다 작성일 06-24 2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공동 개발한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 24일 새벽 팰컨9으로 발사…"현재 정상 작동"</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oLnXmvaRl"> <p contents-hash="2f1888bd82ff84e32f8119d78e4c303c820350e9846c8eca035e6f97cdb0d495" dmcf-pid="bgoLZsTNRh"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우주 AI 종합 솔루션 기업 텔레픽스(대표 조성익)가 광학 솔루션 전문 기업 LK삼양(대표 구본욱, 신승열)과 공동으로 화성·달 탐사 AI 자율항법 시대를 열었다.</span></p> <p contents-hash="7e90b3f67a94a43dbee29db0221b8a2b3b79decb687f570167b9b770f75cdabf" dmcf-pid="Kago5OyjJC" dmcf-ptype="general">텔레픽스는 LK삼양과 공동 개발한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를 성공적으로 발사, 정상 궤도에 진입했다고 24일 밝혔다.</p> <p contents-hash="034c1aed9a50b0e46e52b2d7f4320a710ed153fa79593827b3cdb4dd1a6b946d" dmcf-pid="9Nag1IWAnI" dmcf-ptype="general">추적기 발사는 24일 새벽 6시 26분(한국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공군기지에서 스페이스엑스 팰컨9 로켓에 실려 ‘트랜스포터-14’ 라이드셰어(승차공유) 미션을 통해 우주로 발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c8416004f66ef45b9cba8e386918ba58a69331fd4c2363bd24cc2fec86b721" dmcf-pid="2jNatCYcR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텔레픽스-LK삼양의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가 실린 스페이스X 팰컨9 발사 23초 후 모습.(사진=텔레픽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5464fmfz.png" data-org-width="640" dmcf-mid="XF15JKP3i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5464fmf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텔레픽스-LK삼양의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가 실린 스페이스X 팰컨9 발사 23초 후 모습.(사진=텔레픽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d9605a193cfe2e5d0cdb687809f1192f5c111e0c05e63faedff86e892961dcd" dmcf-pid="VWyT6pKGJs" dmcf-ptype="general">조성익 대표는 "현재 임무 궤도에 성공적으로 진입해 초기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da79cd5e91e8fef43edb1f64903abd689bcedcfdb415b09e00ed8d98f25055e" dmcf-pid="fYWyPU9Hem" dmcf-ptype="general">텔레픽스와 LK삼양은 지난해 4월 심우주항법용 별추적기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우주 발사 테스트 및 양산 사업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맺었다.</p> <p contents-hash="148ebae786d1fbc3df3eb8b030994a0fc54771061d68d9385e6f6eb411324329" dmcf-pid="4GYWQu2XJr" dmcf-ptype="general">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는 달, 화성 등 지구로부터 먼 심우주에서 위성이 지상국 통신 지원 없이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항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첨단 자율항법 시스템이다.</p> <p contents-hash="feef999ad47571b6b81796820e62a22cff70602ee56a5503411de979788873d4" dmcf-pid="8HGYx7VZew" dmcf-ptype="general"><strong>초고해상도 카메라 및 고성능 영상처리 알고리즘 탑재</strong></p> <p contents-hash="286168325056306232e211c474281abff6e9a0183f6880a3cf74099da7175282" dmcf-pid="6XHGMzf5JD" dmcf-ptype="general">기존에는 지상국에서 위성을 지속적으로 관제하며 궤도를 제어했다. 그러나 이는 위치 오차가 누적될 뿐만아니라 지상 기반 관제 의존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p> <p contents-hash="d85cdd9a7a3009fced1a78a56dca3bb6280a7e0e380ac960b25baa491bb31246" dmcf-pid="PZXHRq41ME" dmcf-ptype="general">이번에 양사가 개발한 별추적기는 광시야 초고해상도 카메라와 고성능 영상처리 알고리즘을 결합했다. 별과 행성 등 천체의 상대적 위치를 관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성 스스로 정확한 위치와 궤도를 계산한다.</p> <p contents-hash="c9f31e8bc76ea70cb9779e3ab616245658bb846fbf955388153858065b06dbb1" dmcf-pid="Q5ZXeB8tMk" dmcf-ptype="general">조성익 대표는 "위성의 자세만 측정할 수 있었던 기존 별추적기와 달리, 위치 결정 기능까지 구현돼 보다 완벽한 자율 항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f82f77f915f9bd995af3fbf51c0d23183c49ac09d77be1ff4f74824355f8fce8" dmcf-pid="x15Zdb6Fnc" dmcf-ptype="general">텔레픽스는 '트랜스포터-14'에 지난해 8월 발사에 성공한 우주 인공위성용 온보드 AI 프로세서인 테트라플렉스도 탑재했다. 대용량 센서 데이터 처리, 천문 계산, 궤도 예측까지 위성 내부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완전 자율 항법 시스템을 구현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648f7534ae5456dd134969e0c55a5627a58fbe446561d605d7485b08e899c7f" dmcf-pid="yLniHrSge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6750hfaz.jpg" data-org-width="355" dmcf-mid="pEZXeB8ti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6750hfa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심우주항법용 차세대 AI 별추적기.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adeaafd359f167d7c86ea092ec925b4b2b688e1d3d4b39e432833c46f05c433" dmcf-pid="WoLnXmvaLj" dmcf-ptype="general">양사는 이번 시범 운영을 통해 시스템 성능을 검증하고, 향후 달·화성 탐사 등 심우주 임무에 적용하기 위한 추가 연구개발과 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1e104456b6f9e54bbbdcb65d3ef9f1d73451a51aaa10fc4fb68adea33f1be98f" dmcf-pid="YgoLZsTNJN"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별추적기 자체 판매뿐 아니라 별추적기로 관측한 별과 행성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도 구상 중"이라며 "별을 인식하는 알고리즘과 노하우는 텔레픽스의 위성영상 데이터 분석 및 활용 솔루션의 고도화에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8fffa9acd1e936b2a7c81a48db46f1975d8ee81a242e680ac161e7264cb9120" dmcf-pid="Gago5OyjLa" dmcf-ptype="general">이번 차세대 AI 별추적기의 영상 기반 자율 항법(DNAV) 시스템의 핵심인 영상대조항법 기술은 단순한 심우주 항법을 넘어 향후 우주 내 다양한 미션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텔레픽스 측 설명이다.</p> <p contents-hash="5a9053e1a5243099db91865eb581c0868ac25bad6f5f16cd326a1cc6c0855ea5" dmcf-pid="HNag1IWARg" dmcf-ptype="general"><strong>KAIST 능동제어 위성 개발에도 텔레픽스 AI기술 활용</strong></p> <p contents-hash="e70bfde24eaeeb46377b0ee07ba798c3da15b81cd90c34a539660dadfa660ad8" dmcf-pid="XwDEuy1mno" dmcf-ptype="general">조 대표는 "현재 KAIST에서 연구를 진행 중인 능동제어 위성 관련 인-오비트 서비싱(In-Orbit Servicing,궤도상 서비스) 및 우주감시(SSA) 등 능동제어 위성이 다른 위성을 찾아가거나 우주 물체를 정밀 추적·관측하는 미션에서도 이번에 개발한 텔레픽스의 우주 AI 기술이 활용될 것"이라고 부연 설명했다.</p> <p contents-hash="7033e927591998482087e9b36689982564a9845f7fb09d9f9afa2a0791dbb737" dmcf-pid="ZrwD7WtsdL" dmcf-ptype="general">텔레픽스 홍경우 미래혁신연구팀장은 “이번 별추적기 발사는 텔레픽스의 우주 AI 기술이 심우주 탐사 항법 분야에서 본격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첫걸음”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29e632bd383e428d6bbd9202231ac92019b22e94f906b6b5d6b4b49690b63ff" dmcf-pid="5mrwzYFOdn" dmcf-ptype="general">LK삼양 관계자는 “LK삼양의 광학 기술과 텔레픽스 AI 기술이 결합해 심우주 탐사 핵심 기술을 성공적으로 실증한 점에 큰 의미가 있다”며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심우주 항법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adabfe43370196133e3d2f54f1344fec410be4d76e45395f47e3b5908ea96c8" dmcf-pid="1smrqG3In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7049dozb.jpg" data-org-width="400" dmcf-mid="UGrwzYFOR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ZDNetKorea/20250624084327049dozb.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7b86b36b47038f8fdb401f837b1cf7e88f5b09720518a35d69483de18a8e3baf" dmcf-pid="tOsmBH0CJJ"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서장훈 "결혼하고픈데 모은 돈은 없고…짜증나서 왔냐" 현실 조언 (물어보살)[종합] 06-24 다음 AI 3대강국 도약…이광형 KAIST 총장 “인재양성 R&D 혁신 가속화”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