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AI 3개국 도약 추진…한국형 LLM 등 연구" 작성일 06-24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큐닉스컴퓨터·넥슨·네이버 등 누적 창업기업 1천914곳</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PdzmiA8U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2027c8406841a80926ae5074a57834be32ae8485440106bbdaf91d35c1088b" dmcf-pid="5QJqsnc6u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 데이터 분석하는 KAIST 연구원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yonhap/20250624085728365vwkx.jpg" data-org-width="1200" dmcf-mid="HWZw217vu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yonhap/20250624085728365vwkx.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 데이터 분석하는 KAIST 연구원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1c1ae259c1ad655ce5754405e05f8717075971bc84cce87d5ac3e7b00f92015" dmcf-pid="1xiBOLkPzY" dmcf-ptype="general">(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지능(AI) 주요 3개국(G3) 도약을 목표로 'AI 기본사회' 실현을 위한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R&D)을 진행중이라고 24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e124e4f33298ef0c970253543acecae9e096b599ef6ccbf09f89a7cc80dfe052" dmcf-pid="tpBWJKP33W" dmcf-ptype="general">우선 KAIST가 주관하는 '국가AI연구거점'사업(책임자 김기응)을 통해 AI 기술을 기반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사회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p> <p contents-hash="9a089508ff04f86201babab49084d251670e81468f1c7536b8548dfdf54219a2" dmcf-pid="FUbYi9Q0Fy" dmcf-ptype="general">한국형 LLM(대규모언어모델), 뉴로모픽 반도체, 저전력 AI 프로세서 등 핵심 AI 기술 개발을 비롯해 자율주행, 도심항공교통(UAM), 정밀의료, 설명 가능한 AI(XAI)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해 연구도 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2dd2245afae48a84cd56c9d779cbd71fe4d0fc9add0ae36d13c1832538f2b7fa" dmcf-pid="3uKGn2xpFT" dmcf-ptype="general">제조업 분야에서는 장영재 교수 연구팀이 제조 현장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현실 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을 가상 세계에 구현한 기술)과 AI 기반 예측 기술로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첨단 제조 분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김성민 교수팀은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해 ㎝(센티미터) 이하의 정밀도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초저전력 무선 태그 기술을 개발했다. </p> <p contents-hash="dee3f24908ba5368494858a21e80be1dd8b0d9bc3a3f13bf8f1d44d5ac3f1827" dmcf-pid="079HLVMUzv" dmcf-ptype="general">최재식 교수가 창업한 인이지는 산업 공정 최적화, 설비 고장 예측 기술을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해 성과를 내고 있으며, 지난 3월 정부가 추진하는 설명가능한 AI(XAI) 분야 국가전략기술로도 지정됐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f98ac1eb95f49907cbd08cd1e5d7f1cc40f8d67f478bb1263e97332697268a" dmcf-pid="pz2XofRuF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학생들이 연구하는 모습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yonhap/20250624085728577tzfm.jpg" data-org-width="1200" dmcf-mid="X4me5OyjF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yonhap/20250624085728577tzf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학생들이 연구하는 모습 [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65db29b9f847298cdb50ed0d9b71578c9c5c8e5bb4df9903d38102007c2802f" dmcf-pid="UqVZg4e70l" dmcf-ptype="general">KAIST의 AI 분야 연구 성과는 국제적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p> <p contents-hash="459e59ce968b7629504ed28ce86e4b916b199b987febf7525e3f7e3a64cf261c" dmcf-pid="uBf5a8dzFh" dmcf-ptype="general">머신러닝 분야 최고 3대 학회(ICML, NeurIPS, ICLR)의 게재 논문 수에서 최근 5년간 세계 5위, 아시아 1위를 기록했으며, 권위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 학술대회인 'ISSCC'에서 19년(2006∼2024)간 평균 논문 채택 수 세계 1위를 차지하며 연구력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b32b0a15e6156aac6b3ec5a016e7c0676c7298c2a2663572ac0dc91e580d9bd4" dmcf-pid="7b41N6JqzC" dmcf-ptype="general">바이오·생명과학 분야에서도 독일 머크(Merck)사와 협력해 합성생물학, mRNA(메신저 리보핵산·단백질을 만드는 중간 과정의 전령RNA) 등을 연구하는 등 AI뿐만 아니라 양자암호통신, 수소연료전지, 소형 위성을 기반으로 한 우주탐사 기술,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등 미래 핵심 기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고 KAIST는 전했다. </p> <p contents-hash="2af286ca5039266a3857ca26ce0fbd1f6b0f8ad68f576e95f7b9fa08b7cbdbb0" dmcf-pid="zK8tjPiBFI" dmcf-ptype="general">이러한 연구 활동은 창업 흐름으로 이어져 큐닉스컴퓨터·넥슨·네이버 등 누적 창업기업이 1천914곳에 이르며 이들의 누적 자산은 94조원, 매출 36조원, 고용 6만 명에 달한다. </p> <p contents-hash="6416270d03c6197c03d47be306c26eba487242333a6e5ee59176d16193983db8" dmcf-pid="q96FAQnbuO" dmcf-ptype="general">이 중 90% 이상이 교수·학생 연구실 기반 기술창업으로, 과학기술에 기반해 경제에 기여하는 모델을 제시했다고 KAIST는 자평했다.</p> <p contents-hash="f7edda0d8e9e125ec3a42046779a3e47f3a182b119add526afee23178d0d235d" dmcf-pid="B2P3cxLKUs" dmcf-ptype="general">이광형 총장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인 G3 AI 강국 실현을 위해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주력할 것"이라며 "피지컬 AI, AI 로봇, AI 모빌리티 기술을 산업 현장에 적극 보급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b37c41b2c64f787e2ca83bde0313576854c4f2721fc0e39c44123c02c5b44e23" dmcf-pid="btuSMzf53m" dmcf-ptype="general">jyoung@yna.co.kr</p> <p contents-hash="310597acbd556d770c6c90f2dbf11ec19d0896e82c7d13e6aa2b3c9ad98aa3ae" dmcf-pid="93zTeB8t3w"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낙상사고' 이경실, 발 부상에도..2박3일 손주 독박육아 "또 놀러오길" 06-24 다음 "폴더블폰 너무 비싸다" 이 반응, 또?…'갤Z플립7' 이번엔 얼마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