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과기장관 후보자 “韓 AI 저력있어...AI 3대 강국, 차질 없이 이행” 작성일 06-24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QRJQFsdc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3a906f406157c0af7e0b4592b4a8b0506e299573eef47f0a7e72aeab05e029c" dmcf-pid="bxeix3OJA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mk/20250624110907370gnzk.jpg" data-org-width="700" dmcf-mid="qU6xfXEQo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mk/20250624110907370gnz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e19a62cf8972551c8e3d6e9cc0e2e5705729fc6bed74406305117269116a508" dmcf-pid="KMdnM0Iioi" dmcf-ptype="general">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는 24일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수준에 대해 “분명히 저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가 보완된다면 세계적인 수준의 AI를 개발하고 서비스 생태계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div> <p contents-hash="3e3fdcd3078aa38cd60496c3d40383af10455c5d73c00c93990cc09fcf210a8e" dmcf-pid="9RJLRpCnkJ" dmcf-ptype="general">배 후보자는 이날 서울 종로구 광화문우체국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며 기자들과 만나 국내 AI 기술 수준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p> <p contents-hash="d9a58d43f6dccbcd60cb65eab3b83dfe928df7301af7664561fcce627f987ca8" dmcf-pid="2eioeUhLcd" dmcf-ptype="general">배 후보자는 아울러 “미국 스탠퍼드대 ‘AI 인덱스 보고서 2025’에 한국 모델이 주목할만한 글로벌 AI로 등재됐고, 올해 더 많은 AI 모델이 세계적 수준의 모델로 등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스탠퍼드대 연구소가 올해 낸 보고서에 유일하게 포함된 국내 AI 모델은 LG AI연구원의 엑사원 3.5로, 배 원장은 엑사원 개발을 주도한 기술 전문가다.</p> <p contents-hash="256c3c37b1c243152cc463f828443a270a5241752d501277786db24948dbe251" dmcf-pid="VcDmc45rke" dmcf-ptype="general">2020년 LG그룹이 설립한 AI 연구원의 초대 원장인 배 후보자는 LG경제연구원 AI자문 연구위원, LG전자 AI추진단장 등을 거치며 AI 관련 리더십을 발휘했다. 특히 AI를 국가 전략자산으로 간주하고, 기술 자립의 필요성을 줄곧 강조해왔다.</p> <p contents-hash="bd6207676dbcebb522c7d9b857b7e7b41a3526066f5053f398b30445109273a2" dmcf-pid="fkwsk81maR" dmcf-ptype="general">그는 이와 관련 “산업 현장에서 인공지능 연구와 개발에 몸담아 온 사람으로서 그간 쌓아온 경험과 노하우를 대한민국 발전을 위해 쏟을 수 있게 돼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장관 후보 지명 소감을 밝히기도 했다.</p> <p contents-hash="7a94766f47dc591f8557081ef2ce81f8cb02bfea536c2e8da6a4edc740651c86" dmcf-pid="4ErOE6tscM"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 세계 3대 강국 실현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과학기술에 기반한 진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09949daf4e9c8717a095a0482542ded0836d7dd26ceb77b28bd836ebbb51771" dmcf-pid="8DmIDPFOgx" dmcf-ptype="general">AI 투자 규모를 묻는 말엔 “한국에서만 쓸 수 있는 AI를 만들 것인가 글로벌 수준의 AI에 도전할 것인가 거기에 답이 있는 것 같다”면서 “한국이 세계 3대 AI 강국이 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08b41ba9aa5cb3ce31240d2a33be023945192bcebe37cd09efb0f7cf57b3cc55" dmcf-pid="6wsCwQ3IAQ" dmcf-ptype="general">그는 AI 외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묻는 말에 “AI 전문가이기 전에 과학기술인”이라며 “아시다시피 (단백질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 로제타폴드 등 세계적 수준의 기술들이 나온 것엔 AI와 기초 과학 연구의 결합이 있었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b599df33df159165efa264eafa8e0127ed9551420772e7fed1cbb768229a945" dmcf-pid="PrOhrx0CcP"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특히 바이오, 제조 분야에서 많은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 이 기초 과학 연구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며 기초 과학 연구와 AI 생태계를 잘 연결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0e239047d16bfe961ac785f04faa3e80bfd8b3fb0e04ee924ac6ad8a2fa8866c" dmcf-pid="QmIlmMphA6" dmcf-ptype="general">그는 이어 LG유플러스 재직 경험을 언급하며 “통신사의 경험도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도 어느 정도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KAIST "G3 AI 강국 실현 앞장서겠다…AI 기본사회로 제조업 위기 극복” 06-24 다음 ‘AI 3대강국’ 도약…이광형 KAIST 총장 “인재양성·R&D 혁신 가속화”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