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수년...이젠 '빅 게임'으로 승부해야" 작성일 06-24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NDC 기조강연 "모바일·온라인 시장 위축…'낯선 도전' 필요"<br>'익숙한 관점' 탈피 주문…"새로운 시도 주저 말아야"</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LwegKYckF"> <p contents-hash="8152eca3b5b2051871dcb1e1883f61abb3186651fe53afd7be9942687354ef16" dmcf-pid="5orda9Gkgt"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박정민 기자] "앞으로 우리에게 남은 시간은 수년 정도입니다. 이제는 우리 게임사들도 낯선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글로벌 경쟁사들과 '빅 게임'으로 승부하지 않으면 안됩니다."</p> <p contents-hash="60161a3eb2e64283fd15f098ea013a94c42299ac1344c27ecd02ef1ca6eb0392" dmcf-pid="1gmJN2HEc1" dmcf-ptype="general">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겸 넥슨코리아 부사장은 24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에서 기조강연을 통해 K-게임이 '빅(Big) 게임'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4a2bcdfaf3a9ca09949383da61595d6936fa7156ea80bc7c357c55b4fc43c7c" dmcf-pid="tasijVXDa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겸 넥슨코리아 부사장이 24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에서 기조강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박정민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inews24/20250624121433602nrlw.jpg" data-org-width="580" dmcf-mid="HPUFzSo9j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inews24/20250624121433602nrl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겸 넥슨코리아 부사장이 24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에서 기조강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박정민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0f8e5c6bff9690cb807c097d767696222c73ebf7bd8bd9f3b485de7f8cad1bd" dmcf-pid="FNOnAfZwaZ" dmcf-ptype="general">빅 게임이란 모바일·온라인 게임 등 국내 게임사가 주력하던 기존의 '라이브 서비스'형 게임에서 벗어나 방대한 서사와 게임 플레이 환경으로 승부하는 게임을 말한다.</p> <p contents-hash="7b0690246cc88a49532278218affb2587c2ce77dc92eca730caf18b600bdcaf9" dmcf-pid="3jILc45rNX" dmcf-ptype="general">박 대표는 빅 게임에 도전해야 하는 이유로 우리 게임이 강점을 보이던 모바일·온라인 게임 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현실을 지적했다.</p> <p contents-hash="f829a5e6f12820f76d9f4a32d50f894df65d009076f1e02b52e00cf1f08c129f" dmcf-pid="0ACok81mcH" dmcf-ptype="general">그는 "리그 오브 레전드 등 5~10년 이상 이어온 게임들이 여전히 PC방 순위 상위권을 독점하고 있다. 모바일 게임도 틱톡, 유튜브와 경쟁하며 시장이 위축되는 상황"이라며 "이제는 국내 빅 플레이어(대형 게임사) 누구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현실"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5e448b5887c0d686fc1420c62643ddc47121e0f5043339e8397a170fd9b0b31" dmcf-pid="pchgE6tsgG" dmcf-ptype="general">이어 '검은 신화: 오공', '킹덤 컴: 딜리버런스2' 등 중국·동구권 개발사들이 최근 앞다퉈 빅 게임에 도전하는 사례를 소개하며 "(K-게임이 빅 게임 시장에 진출할 시간이) 앞으로 수년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낯선 도전'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2d5cd5b614a8abc0495332c566c59c23a30f6593b90f46e92601d6e678b671f" dmcf-pid="UklaDPFOk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겸 넥슨코리아 부사장이 24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에서 기조강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박정민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inews24/20250624121434946iogc.jpg" data-org-width="580" dmcf-mid="XDCok81mc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inews24/20250624121434946iog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박용현 넥슨게임즈 대표 겸 넥슨코리아 부사장이 24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 2025에서 기조강연을 펼치고 있다. [사진=박정민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bac2d8ec945231f7086d636834ffbe74a8867001892a32d7aa0a8218b6ef338" dmcf-pid="uDvjrx0CNW" dmcf-ptype="general">박용현 대표는 넥슨게임즈의 전신 넷게임즈 시절부터 MMORPG '히트', 루트 슈터 게임 '퍼스트 디센던트', 서브컬처 장르 '블루 아카이브' 등 대작 개발을 주도하며 해외 시장을 공략한 바 있다. 그는 강연에서 빅 게임으로 해외 시장에 도전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익숙한 관점'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주문했다.</p> <p contents-hash="c0088cfa8df2e4457821f65e724820512192036ff977338d55bab884f50e33cf" dmcf-pid="7wTAmMphcy" dmcf-ptype="general">박 대표는 "우리 게임사들은 신작 출시 시 2달 정도의 짧은 기간 안에 트레일러, 게임 스크린샷 공개 등 마케팅을 집중한다. 그러나 해외 게임사들은 짧게는 1년, 길게는 수년 전부터 게임 트레일러 영상을 공개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용자들을 공략한다"며 "해외 게임사들은 게임 내 간단한 대화 신(Scene)만 보더라도 인물의 감정이나 스토리텔링을 영화처럼 세심하게 표현하는 스타일이다. 그간 익숙했던 우리의 게임 제작 관점을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2938fb238894345e212ef56ee48a1181acc2f81a78b9e9941d6308e240d3441" dmcf-pid="zrycsRUlgT" dmcf-ptype="general">박 대표는 국내 게임사들이 낯선 길인 빅 게임에 도전하면서 '새로운 시도'를 주저하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p> <p contents-hash="e844d510ad99410dac0066fa1ffefcaf31a4e20234e634dbebecdc687ad076d0" dmcf-pid="qmWkOeuSkv" dmcf-ptype="general">그는 "해외 게임사들의 성공 전략을 우리가 똑같이 따라갈 순 없다. 빅 게임은 해외 게임사들도 끊임없이 새롭게 도전하는 미지(Unknown)의 세계"라며 "그러나 우리 게임사들에게 후발주자로서의 이점은 있을 것이다. 우리에게 던져진 이 숙제를 빠르게 풀어 빅 게임 시장을 돌파해야 한다"고 당부했다.</p> <p contents-hash="90eedb2c9314bbf7121661e5e08b471842de6ced02c55afacecb72f1640d5113" dmcf-pid="BsYEId7vcS"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이번 NDC는 그래서 더 중요하다. 큰 문제는 혼자 해결할 때보다 여럿이 함께 논의할 때 더 좋은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NDC 2025가 K-게임의 빅 게임 진출을 도울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384ab2fed0b93070513c32f46a84fd462fb00e10e0b3a04e6fd998cbe2b9fed4" dmcf-pid="bOGDCJzTkl" dmcf-ptype="general">이날부터 사흘간 개최되는 NDC 2025는 넥슨과 국내 게임사 관계자들이 연사로 나서 게임기획·프로그래밍·경영관리 등 게임 개발과 관련된 핵심 노하우를 전달한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6년 만에 오프라인 공개 행사로 개최돼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넥슨 사옥과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사흘간 총 49개의 강연이 열린다.</p> <address contents-hash="83f0a46db087980ebc9cf36ebea7f9fb798c0b58ce6b2892b1d24eb6c59f5be2" dmcf-pid="KIHwhiqyAh" dmcf-ptype="general">/박정민 기자<span>(pjm8318@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야심 앞세우다 재미 잃었네, '28일 후'가 아쉽다 06-24 다음 '152명 치열한 경쟁 시작' 2025 민속씨름 보은장사씨름대회, 내달 4일 충북 보은서 개최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