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M, 日이화학연구소에 최신 양자컴퓨팅 제공…"화학계산 혁신" 작성일 06-24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56큐비트 양자칩 '헤론' 기반…현지 슈퍼컴 '후가쿠'와 연동</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U7D2Gc60A">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c22781a043d03ee2d7fb079971a102fe6fba337d9904fc43af29d4bdc14a47" dmcf-pid="0uzwVHkP0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RIKEN 계산과학연구센터에 설치된 IBM 퀀텀 시스템 투(IBM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WS1/20250624131047172zywc.jpg" data-org-width="936" dmcf-mid="FNczsRUl0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NEWS1/20250624131047172zyw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RIKEN 계산과학연구센터에 설치된 IBM 퀀텀 시스템 투(IBM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4ba09f95b78ac23a288597b488de7fbad838938aa23babf8ae79146177d6388" dmcf-pid="p7qrfXEQ7N"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IBM은 일본 국립 연구기관인 이화학연구소(RIKEN)에 자사의 최신 양자칩 기반 '퀀텀 시스템 투'를 설치 후 가동까지 완료했다고 24일 밝혔다. 미국 이외 지역에서 최초로 설치한 사례다.</p> <p contents-hash="e1faaa7d3a5cc18a18918c5165f93f8a60f432a1351a277106dba50ba4be88ee" dmcf-pid="UzBm4ZDxFa" dmcf-ptype="general">퀀텀 시스템 투는 156 큐비트 양자 프로세서 '헤론'을 탑재했다. 헤론은 이전 세대의 127 큐비트 양자칩 '이글(Eagle)'과 비교해 성능이 크게 향상됐다.</p> <p contents-hash="a174ac0e3bc0d65cd933e2435d37d2b879e3927637714dddd782f32ab778ae03" dmcf-pid="uqbs85wM0g" dmcf-ptype="general">회사에 따르면 헤론은 2큐비트 기준 에러율이 0.003%로, 이글에 비해 10배 개선됐다. 회로 레이어 작업 속도(CLOPS)는 초당 25만 회이며, 이 역시 10배 향상됐다.</p> <p contents-hash="f8922d7587ce4e34adde5a2642c336220cb28cdf4b12f15737193dd58f54c597" dmcf-pid="7BKO61rR3o" dmcf-ptype="general">IBM 퀀텀 시스템 투는 RIKEN 계산과학연구센터(R-CCS) 내에 자리한 '후가쿠' 슈퍼컴퓨터와 연동됐다. 두 시스템은 명령어 수준에서 고속 네트워크로 긴밀히 연결된다.</p> <p contents-hash="e12298c010d899ab6508ab27521e5d040f0e04350974561a65997402b151438a" dmcf-pid="zb9IPtmeuL" dmcf-ptype="general">현재 RIKEN과 IBM의 엔지니어들은 △병렬화된 작업 부하 △지연 시간이 적은 고전-양자 통신 프로토콜 △고급 컴파일 기술 및 라이브러리 개발 등을 함께 진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a50d2fc7eb36a31dbd98250f85ac02742a96d8bccea16c769f4165bf58a3a5ad" dmcf-pid="qb9IPtmeUn" dmcf-ptype="general">IBM 측은 "양자 컴퓨팅과 고전 컴퓨팅은 서로 다른 계산적 강점을 지니고 있다. 각 시스템이 가장 적합한 연산을 자연스럽게 분담하는 방식"이라며 "RIKEN과의 협업으로 화학 분야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자 우위 알고리즘 개발이 앞당겨질 것"이라고 기대했다.</p> <p contents-hash="041b6ca384e099d9b94764641b73ecca5385836734e5806fc325352f9c14f734" dmcf-pid="BK2CQFsd0i" dmcf-ptype="general">실제로 IBM은 RIKEN과의 협업을 통해 양자 하드웨어를 활용해 황화철의 전자 구조를 정밀하게 모델링하는 ‘샘플 기반 양자 대각화(SQD: Sample-based Quantum Diagonalization)’ 기법을 선보이기도 했다. 연구는 최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표지에 실렸다.</p> <p contents-hash="a48305e1082dd20186043c70c3ce83c12c59ed36b1347599c1f21ad2f71f81b1" dmcf-pid="b9Vhx3OJ0J" dmcf-ptype="general">IBM은 "기존에는 오류 내성이 있는 양자 컴퓨터만이 이런 모델링을 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하지만 SQD 워크플로가 있다면 (슈퍼컴 같은) 고전적 인프라와 양자컴을 결합해 과학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3e8e573a28abbbd2e1131878d01d4cf762b018a07d4a8d2c5c11ae2c30b20179" dmcf-pid="K2flM0Iizd" dmcf-ptype="general">한편 이번 프로젝트는 일본 경제산업성(METI) 산하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가 추진하는 '양자 및 슈퍼컴퓨터 통합 활용 기술 개발' 일환이다.</p> <p contents-hash="52f28371a0c8afea106a9b1e8ebc372512b116a6511774dd4b8afc4343923998" dmcf-pid="9V4SRpCn0e" dmcf-ptype="general">legomaster@news1.kr<br><br><strong><용어설명></strong><br><br>■ 큐비트<br>큐비트 또는 양자 비트는 양자 컴퓨팅에서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의 기본 단위다. 물질의 얽힘과 중첩 상태인 '결맞음'을 이용해 0과 1의 값을 동시에 지닌다. 양자컴퓨팅의 혁신적인 연산 속도를 구현하는 배경이다.<br><b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NDC 2025] 넥슨게임즈 박용현 대표 “빅 게임으로 마지막 기회를 개척해야” 06-24 다음 “AI와 결합한 양자기술, 산업 대전환 이끈다”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