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양자 산업화 원년…통신3사, 하이브리드 보안망 등 양자암호 상용화 경쟁 작성일 06-24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Ys5Id7vY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73af2d4889ab6be42240820ee8ffc5d69967b2f57b82298302adde81ce5d8dc" dmcf-pid="tcdrizva5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4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에서 관람객이 KT 부스에서 양자암호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etimesi/20250624141808540jnbt.jpg" data-org-width="700" dmcf-mid="XoLCa9GkH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etimesi/20250624141808540jnb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4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열린 퀀텀코리아 2025에서 관람객이 KT 부스에서 양자암호 기술을 살펴보고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7d2bc6ace6e66ccd39ff2a60bde395ca6309a78ab51588e84533649598e207d" dmcf-pid="FkJmnqTNHY" dmcf-ptype="general">올해 세계 양자과학 기술의 해를 맞아 글로벌 양자 혁신 흐름을 조망하고 국내 생태계 육성을 위한 '퀀텀코리아 2025'가 24일 개막했다. 전세계 8개국 57개 기업·기관이 참가해 국가별 양자전략을 논의한다. 국내서도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가 부스를 마련해 양자암호통신, 양자보안 등 다양한 상용화 기술을 선보였다.</p> <p contents-hash="8a16ecf6540e5bb784c6c23760ce7f7cfa358db136a216a07870fae8eedd8b3b" dmcf-pid="3EisLByj1W" dmcf-ptype="general">이날 개막식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올해는 양자기술이 실험실을 넘어 현실로 나아가는 역사적 전환점이자 대한민국 양자 산업화의 원년”이라며 “정부는 전년보다 35% 늘어난 198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양자 원천기술 개발과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 등 K-퀀텀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2a8f6fff16cb72e236eccf77ad36c95bfda103b8066e1a2ddd8d58cc10c41916" dmcf-pid="0DnOobWAGy" dmcf-ptype="general">양자컴퓨터 상용화 시계가 빨라지며 방패 역할을 하는 양자암호 기술 중요성이 부각됐다. 통신 3사는 양자역학 기반의 양자키분배(QKD)와 수학 난제 알고리즘 기반의 양자내성암호(PQC)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보안망 등 자체 개발한 양자암호 솔루션과 상용장비 전면에 내세웠다.</p> <p contents-hash="9e41a86d0b6b947b63dbbc5d27caa334e5355914f9ca4216941aa57ca4efd49c" dmcf-pid="pwLIgKYcXT"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QKD 장비에 자체 개발한 NIST 표준 PQC 기술을 결합한 양자암호 하이브리드 솔루션을 전시했다. 보안성을 강화하면서 유연한 네트워크 망 구축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p> <p contents-hash="6fb7d1ef64b04f11e44d97f9839cb68aecb00b513d275234e9ec15c6a2f136e4" dmcf-pid="UroCa9GkZv" dmcf-ptype="general">특히 이번 행사를 통해 처음 선보인 Q-SDP 솔루션도 이목을 끌었다. 회사 관계자는 “제로트러스트 기반 차세대 VPN 보안 제품인 SDP 솔루션과 SKT텔레콤의 PQC 소프트웨어를 결합, 기존 VPN 장비 대비 보안성이 강화된 원격 접속 보안 기술”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aa873bf874bcbe350e5cefc37473a6074caf83d25ab062489c503929007d4746" dmcf-pid="umghN2HE5S"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이 엑스퀀텀 멤버사와 개발한 차세대 양자암호 원칩 솔루션 'Q-HSM'은 손가락보다 작은 QKEV7 암호칩에 PQC와 양자난수생성기(QRNG) 기술이 들어간 제품이다. 국가정보원의 KCMVP 레벨2 인증을 획득해 로봇·드론은 물론 군용 무전기 등 소형 장비에도 탑재 가능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388d5fa01861a69a45ef819306b2ed6755db88eab8f41385a52b92826eb9ae0" dmcf-pid="7saljVXD5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SK텔레콤이 퀀텀코리아 2025에서 선보인 QKD-PQC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etimesi/20250624141809838elme.jpg" data-org-width="700" dmcf-mid="5JSpTg9HX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etimesi/20250624141809838elm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SK텔레콤이 퀀텀코리아 2025에서 선보인 QKD-PQC 하이브리드 양자암호통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57bc9d509f353a6d4681f70d81a0a55a57165623c51d48a880e0d5b30e9edd4" dmcf-pid="zONSAfZwYh" dmcf-ptype="general">KT도 하이브리드 양자암호 전용회선과 양자 VPN 등을 선보였다. 전송망과 엑세스망 등 네트워크 전 계층에 이중화된 양자 보안을 적용한 고신뢰 네트워크 기술이다. KT는 해킹 등 위협 발생시 양자암호통신망의 보안 역량을 관람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부스를 구성했다.</p> <p contents-hash="9bd123f5f584705f81a435201fdf02867a56ce674afe877e4fbd2a59eb894ebd" dmcf-pid="qIjvc45rHC" dmcf-ptype="general">KT는 이번 전시에서 공공·국방·산업·금융·의료 등 다양한 산업군에 양자암호 기술 적용 사례도 소개했다. 상용 5G 기반 공군 양자암호 사업과 신한은행 본점과 강남별관을 연결하는 하이브리드 양자보안망, 국립암센터 AI 의료데이터 양자암호화 등이 대표적이다.</p> <p contents-hash="999a06ad62256277edc35d6512b9283d38bcbf5f0c93ca96141ba79322978d67" dmcf-pid="BuHbZEP31I" dmcf-ptype="general">LG유플러스도 PQC 기반 클라우드용 통합 계정관리 솔루션 '알파키'와 통합 보안 플랫폼 'U+SASE'를 중심으로 부스를 꾸렸다. 알파키 체험존에서는 태블릿 기반 시뮬레이터를 통해 실제 인증 절차를 체험할 수 있다. 기업고객이 고속의 전용 통신망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U+PQC VPN과 PQC SIM, 5G 산업용 PUF 유심 기술도 고객 발길을 붙잡았다.</p> <p contents-hash="ded83bd5347f298a74e4659b5675d532af45d9a90307a9d8593e714809524820" dmcf-pid="b7XK5DQ05O" dmcf-ptype="general">유 장관은 올해 양자 산업화 기반 마련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유 장관은 “올해 안에 양자 종합계획과 양자 클러스터 기본계획을 마련하겠다”면서 “향후 8년간 약 7000억원을 투입하는 양자 플래그십 프로젝트 착수도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ee770ae8863012c85ad3ebd579524e4d2d06c67fcccf1a416a3fd79a198a5ab" dmcf-pid="KzZ91wxpZs" dmcf-ptype="general">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방탄소년단, 美 RIAA서 13번째 '플래티넘' 인증 06-24 다음 18년 만에⋯다음 프리미엄 메일 가격 인상, 1만9900원→3만4900원 [IT돋보기]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