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후보자 “인프라·데이터만 보완하면 세계적 수준 AI 개발 가능” 작성일 06-24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8cYFZjf5j8"> <p contents-hash="4051003ce53b7eca10ba94e17322914624c15c9c6c84d63ed62ac81a9ad217e0" dmcf-pid="6kG35A41N4" dmcf-ptype="general">“컴퓨팅 인프라와 데이터만 보완하면 우리도 세계적 수준의 인공지능(AI) 기술과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6cf3a647b9194cd6fad0726a589e4eec1cea7a389d658f9fe2e79abe4b6039de" dmcf-pid="PEH01c8tNf"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24일 서울 광화문 우체국에 마련된 사무실로 첫 출근하며 이같이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4913a771ce85383dc5d9901cbce1359910869a16b5d92fe6eab1b5272380ddb" dmcf-pid="QDXptk6Fc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4/mk/20250624152403848mkvh.png" data-org-width="700" dmcf-mid="4Uawc9Gkc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4/mk/20250624152403848mkvh.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배경훈 LG AI연구원장.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375a3c584b791ea2187e5ae7de5b5abd65782576802f14f04ec518e65064cc08" dmcf-pid="xwZUFEP3A2" dmcf-ptype="general"> 배 후보자는 LG AI연구원이 지난 3월 공개한 국내 유일의 추론형 AI 모델 ‘엑사원 딥’ 개발을 주도한 인물로, 한국 AI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한국도 AI 분야에서 세계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충분한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했다. </div> <p contents-hash="6663a09348157ba19027409800eecf825c5b081338678f3353c34994b6714930" dmcf-pid="yBiAgzvaN9" dmcf-ptype="general">실제로 LG AI연구원의 또 다른 모델인 ‘엑사원 3.5’는 스탠퍼드대 AI연구소가 올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 AI 모델 중 유일하게 ‘주목할 만한 AI’로 등재돼 주목을 받았다. 배 후보자는 “2025년 스탠퍼드 AI 인덱스 리포트에 한국 모델이 이름을 올린 것처럼, 올해 더 많은 국내 AI 모델이 세계적 수준으로 진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p> <p contents-hash="ea4b0ced782d051c02f8a4346d810b7bc4e7762ea05cb91209e70702972a8110" dmcf-pid="WbncaqTNoK" dmcf-ptype="general">그는 이재명 대통령의 1호 공약인 ‘AI 세계 3대 강국 실현’을 언급하며 “과학기술 기반의 실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각계 전문가들과 폭넓게 협력하고, 현장과 끊임없이 소통하며 직접 뛰는 장관이 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19c307190833a035157cb77f258b1adc968f5b0026cbd7967f523a643035e837" dmcf-pid="YKLkNByjcb" dmcf-ptype="general">취임 후에는 AI의 산업 전반 보급에 집중할 계획도 내비쳤다. 그는 “모든 산업과 기술에 AI를 결합해야 한다”며 “1차적으로는 전 분야에 AI를 적용하고, 모든 국민이 AI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c273f6cbeeaf4c1f12b7c579cdbdd3de5865776b3f8eb1bad998eb89724728ad" dmcf-pid="G9oEjbWANB" dmcf-ptype="general">AI 투자와 관련해서는 “한국만을 위한 AI를 만들 것인지, 세계 수준에 도전할 것인지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며 “글로벌 3대 AI 강국이 되려면 보다 과감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615bc240a11ca2038fc984a6970514ad0893dc0310bee70ec2d0a88f4c58abf5" dmcf-pid="H2gDAKYcoq"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가 관할하는 과학·연구개발(R&D) 등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느냐는 질문에는 “AI 전문가이기 이전에 과학기술인으로서 다양한 분야에서 AI를 활용해 성과를 내왔다”고 답했다. 그는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알파폴드·로제타폴드 등 세계적 수준의 기술이 나올 수 있었던 비결은 기초과학과 AI의 융합”이라며 “바이오와 제조 산업의 혁신을 위해 기초과학과 AI 생태계를 연결하는 역할도 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6b67a447ef61b3cdd2cb3f655fc980f05ce6948f21d24a38210cd49f22efe275" dmcf-pid="X4jmEVXDgz" dmcf-ptype="general">정보통신 분야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배 후보자는 “통신 사업 경험도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서도 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일축했다. 그는 SK텔레콤 미래기술원 부장과 LG유플러스 AI 플랫폼담당을 역임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알리바바까지 中 'AI굴기'…한국 독자 AI 생태계 재설정 시급 06-24 다음 [NDC25] ‘블루 아카이브’의 3D 배경을 2.5명으로 완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06-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