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5년 안에 오류 줄인 양자컴퓨터 나온다” 작성일 06-25 3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오스카 페인터 아마존 웹서비스 퀀텀 총괄<br>‘퀀텀코리아 2025′ 기조강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JiIEa2X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174feae37a8f846e7224085aa637021be8b72ad951d41a6b8979425888669c5" dmcf-pid="XinCDNVZd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오스카 페인터(Oskar Painter) 아마존 웹서비스(AWS) 퀀텀 총괄은 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퀀텀 코리아 2025’ 기조강연에서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오류 정정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퀀텀 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1370lczn.jpg" data-org-width="5000" dmcf-mid="W4fscoKGR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1370lcz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오스카 페인터(Oskar Painter) 아마존 웹서비스(AWS) 퀀텀 총괄은 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퀀텀 코리아 2025’ 기조강연에서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오류 정정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퀀텀 코리아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b0c02360b16e27e8400c66e65fcec5a32d8aee0db82f030277943c148892fe6" dmcf-pid="ZnLhwjf5L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1693qzjw.png" data-org-width="1232" dmcf-mid="YoxDaJzTL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1693qzjw.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5477a0b84c9306d953ffa47d049dbb41f56471bc2d1641c2e5e1a9788bda3aa0" dmcf-pid="5LolrA41n4" dmcf-ptype="general">“양자화학, 암호학, 최적화, 머신러닝 등에서 양자컴퓨팅의 활용 가능성이 높지만, 여전히 ‘오류’라는 기술적 과제가 그 앞을 가로막고 있다.”</p> <p contents-hash="bb072be5fddd47647a6265e024100b1a008e113159a651db32b9899fc86d449c" dmcf-pid="1ogSmc8tRf" dmcf-ptype="general">오스카 페인터(Oskar Painter) 아마존 웹서비스(AWS) 퀀텀 총괄은 24일 서울 양재aT센터에서 열린 ‘퀀텀 코리아 2025’ 기조강연에서 양자컴퓨터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오류 정정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496122f4a124551932c12bae60df3b5dce69a9190f5e743807bd8f934eaf285e" dmcf-pid="tgavsk6FeV" dmcf-ptype="general">양자컴퓨터는 큐비트를 통해 작동한다. 그러나 큐비트는 극도로 민감해 외부 환경의 미세한 영향에도 정보가 손실되기 쉽다. 페인터 총괄은 “0이 1로, 혹은 그 반대로 바뀌는 ‘비트 플립’ 오류와 상태의 위상이 바뀌는, 양자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오류인 ‘페이즈 플립’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8a14802222f343054b15f42ed23fce7636f8794d60c29b5000185e0e9ff9f84" dmcf-pid="FaNTOEP3L2" dmcf-ptype="general">현재 AWS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자 오류 정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페인터 교수는 “15년 전에는 연산 10번 중 한 번꼴로 오류가 발생했지만, 현재는 0.3% 수준까지 줄어들었다”며 “실용적 계산을 위해서는 오류율을 1조분의 1 수준까지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f3c93dbfdf6f4efc3dc7a78e60582f8f1a2e8b3a913ad93e1088a09e1efeee6" dmcf-pid="3NjyIDQ0n9" dmcf-ptype="general">이러한 오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WS는 새로운 큐비트 구조인 ‘캣 큐비트’를 개발했다. 슈뢰딩거가 양자 상태를 고양이가 죽었으면서도 살아있는 것과 같다고 비유한 ‘슈뢰딩거의 고양이’에서 영감을 받은 개념이다. 캣 큐비트를 활용해 비트 플립 오류를 5000배 줄이는 데 성공했으며, 올해 2월에는 이를 기반으로 한 양자칩 ‘오셀롯’을 공개했다.</p> <p contents-hash="0e7a6cb3a4a266953970ac1dec8e65a5aa62ce52c15af3c712ce32c3ad8707f4" dmcf-pid="0EDXvOdzJK" dmcf-ptype="general">페인터 교수는 “현재의 오류 정정 단계는 1960년대 마이크로전자산업 초기와 같은 전환점이라고 본다”며 “이 시기 혁신을 위해서는 소재, 디바이스, 3차원 칩 스태킹 등 제조기술 전반의 재설계가 필요하다. 빠르면 5~10년 내에 내결함성 양자컴퓨터가 나올 것”이라고 강조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abe78426e5253ae01ba93fa6ccbda96f09c888e731fa9378d440dee0fec5ef8" dmcf-pid="pDwZTIJqM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실리아 머츠바처(Celia Merzbacher) 미국 양자개발컨소시엄(QED-C) 대표./퀀텀 코리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3072doqe.jpg" data-org-width="5000" dmcf-mid="GNgSmc8tR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60223072doq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실리아 머츠바처(Celia Merzbacher) 미국 양자개발컨소시엄(QED-C) 대표./퀀텀 코리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84569111150281ebb203c383a137876313847e1c6b34d839dc3bde00a613288" dmcf-pid="Uwr5yCiBnB" dmcf-ptype="general">이어 기조강연에 나선 실리아 머츠바처(Celia Merzbacher) 미국 양자개발컨소시엄(QED-C) 대표는 글로벌 산업 현황을 소개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557억 달러(약 75조원)의 공공 자금이 양자 기술에 투자된 것으로 파악되며, 미국과 중국, 영국, 독일, 한국이 상위 5위에 속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6c87275898c5394d1a14e3d2b49bce831bc253c9d77db1cb157e574f65ed8089" dmcf-pid="urm1WhnbLq" dmcf-ptype="general">QED-C에 따르면, 전 세계 양자 기업 수는 5989개에 달하며, 양자 기술에만 집중하는 ‘퓨어 플레이’ 기업은 513개에 달한다. 앞으로 5년간 양자 기업들의 연간 매출 성장률은 평균 27%로 예측되며, 양자컴퓨팅과 양자센싱 분야의 기업 수익은 2028년 각각 20억 달러(약 2조 7000억원), 10억 달러(약 1조 3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p> <p contents-hash="8afe42c42d3086e9f16c7a094dfb0d3d567ae57d304fc66cc615417efcbfd200" dmcf-pid="7mstYlLKRz" dmcf-ptype="general">머츠바처 대표는 동시에 양자 기술이 산업에 실제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장벽도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양자 기술이 산업에 실질적으로 도입되려면 기술뿐 아니라 비용, 전력, 크기, 표준화, 규제 등 전방위적 과제가 해결돼야 한다. 기술적 신뢰성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도입할 이유’를 설득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오류 정정, 알고리즘 개발과 함께 양자컴퓨팅과 관계없는 레이저와 같은 주변 요소들의 개발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4156f5b6e7ba20d4c1d972e74d0e4782ca9db6ae5785c066ffc50287a61e54d0" dmcf-pid="zsOFGSo9d7"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네이버지도에 몰리는 마케팅 업체…AI 검색 학습 데이터 어쩌나 06-25 다음 중국 ‘가성비·대화면’ 공세에… ‘TV 왕좌’ 삼성전자, 미니 LED TV 4위로 주저앉아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