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뉴스]취약계층 AI서비스 격차 커…'AI 빈부격차' 우려 작성일 06-25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TUSE2HEGc"> <p contents-hash="f3d0b1d116745a8219e262eb97a232bacee927f8077c9763ad3694cc88918cbd" dmcf-pid="PyuvDVXD1A" dmcf-ptype="general">장애인과 저소득층, 고령층 등에서 인공지능(AI) 서비스 이용 경험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경험이 부족한 이유로는 이용할 기기나 제품이 없기때문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49b47f52d4b1a1bd14097ebb0942de3eed8549c71a17b649a1753407fadc706" dmcf-pid="QW7TwfZwG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서비스 이용 경험 현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5555vqub.png" data-org-width="700" dmcf-mid="fmxUGoKGZ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5555vqu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서비스 이용 경험 현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d79e2ae1a548c7b308f24117604c4f7c89abfe7d2e6ebfc5d7ff96f2e17df5f" dmcf-pid="xYzyr45r5N" dmcf-ptype="general">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가 한국갤럽조사연구소를 통해 최근 발행한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AI 서비스 경험과 관련 일반국민은 51%가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반면 장애인 41%, 저소득층 35.8%, 고령층 27.8% 순으로 조사됐다. AI 서비스 경험의 경우 취약계층 평균은 30.7%로 일반국민과 20%포인트(P) 이상 격차를 보였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721abf88c00089ae7e655436326c978fb5b34c2c6349384104dae4fb51638c0" dmcf-pid="yRExbhnbX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서비스 이용 역량 비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6808ujbt.png" data-org-width="700" dmcf-mid="46L93EP3X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6808ujbt.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서비스 이용 역량 비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bb38a0fbabf1eca899695967ec1c1e77a26c1e2f81c46f7f8ffc45c02e527c" dmcf-pid="WeDMKlLKGg" dmcf-ptype="general">AI 서비스 이용 역량과 관련 'AI가 적용된 기기와 그렇지 않은 기기를 구별 가능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일반국민은 60.2%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장애인과 고령층,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 평균은 37.8%로 낮았다. 또 AI애플리케이션이나 제품을 업무에 효율적으로 활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일반국민은 58.4%가 '그렇다'고 한 반면 취약계층 평균 35.5%에 그쳤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2bec47c09b4d57f501f7106fb86bd56ac9bd00b73c1155929336a22cc816e6" dmcf-pid="YJre2vg21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AI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답변 현황"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8087swjl.png" data-org-width="700" dmcf-mid="8THDnpCnt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084508087swj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AI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답변 현황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3963af13b5b38fcfcf26f35bd7beac64a4420915a04e3cc71d82c75cc15f62f" dmcf-pid="GimdVTaVtL" dmcf-ptype="general">AI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일반국민, 취약계층 모두 '이용할 기기나 제품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각각 59.8%, 59.7%로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용 방법이 어려워서'라고 답한 취약계층은 42.9%로 일반국민 32.6%보다 10%P 높게 나타났다.</p> <p contents-hash="097a0a4f2e078005c1ef294490e1970ee7046b4c99f54c4a3db605c8f8a0c24d" dmcf-pid="HnsJfyNfHn" dmcf-ptype="general">아울러 일반국민은 'AI가 더욱 편리하고 좋은 디지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81.5%가 답변했지만 취약계층은 66.9%에 그쳤으며, 'AI기술이 빈부격차를 강화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일반국민 71.9%, 취약계층 60.7%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AI기술이 일상에 편리함을 줄 것'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지만 빈부격차가 커질 것이라는 우려도 강했다.</p> <p contents-hash="09b0d353b141c204de37d54579f0b40b704f333b6b31f8c7377b9a709b78aed8" dmcf-pid="XLOi4Wj4Zi" dmcf-ptype="general">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준원 팬카페, '정준원과 1시 13분' 나눔자리 후원 06-25 다음 아일리원, 데뷔 3년만 활동 종료...해체 수순 “각자의 일상으로”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