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자컴퓨터 우주로 향했다…세계 첫 발사 성공 [우주로 간다] 작성일 06-25 3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국제 연구진 개발…팰컨9 로켓에 실려 우주로 향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J2GfyNfnK"> <p contents-hash="8c2d86ed0db545f8ef979e971c5a5954ff84d8811c23f5a3f86d7fc8085b8b76" dmcf-pid="uiVH4Wj4db"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양자 기술의 역사적 이정표가 될 양자 컴퓨터가 최초로 우주로 발사됐다고 과학전문매체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최근 보도했다.</p> <p contents-hash="b84af19835b4b7fcde21ba12c2c45b2d99973e4dc2e08609ae4cd106eaa99617" dmcf-pid="7nfX8YA8LB" dmcf-ptype="general">오스트리아 빈 대학 필립 발터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이 개발한 이 소형 양자컴퓨터 시스템은 23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에 실려 발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04f60c61d7092595fadae41ac302b02330ea23aa88007cba42269de8c99971" dmcf-pid="zL4Z6Gc6i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양자컴퓨터를 탑재한 위성(좌측)과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우측)의 모습 (출처=빈 대학/스페이스X)"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085325700nfbn.jpg" data-org-width="640" dmcf-mid="QxjVdFsdn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085325700nfb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양자컴퓨터를 탑재한 위성(좌측)과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우측)의 모습 (출처=빈 대학/스페이스X)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386c96949589cb7b79047839c4b7e7b754f1fae9d03af8f4cfbe30172a56aa0" dmcf-pid="qo85PHkPJz" dmcf-ptype="general">이 양자컴퓨터 프로세서는 지구 상공 약 550km에서 작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번 발사는 마이크로 위성 및 재진입 캡슐 등 70개의 탑재물을 운반하는 스페이스X 트랜스포터-14 임무의 일환으로 진행됐다.</p> <p contents-hash="949b75d58a2ab8ae0fec26a53bb22de1ed484b7226d5ab801e2d139ad7c95f0c" dmcf-pid="B7GAXa2Xi7" dmcf-ptype="general">팰컨9 로켓에 실린 미니 양자 컴퓨터는 우주 기반 데이터 처리와 지구 관측에 혁명을 일으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주목 받고 있다. </p> <p contents-hash="449709556074aff93cc228850a23cf45f3faf2aca1bb3d5925f7ab635fb1db69" dmcf-pid="bzHcZNVZeu" dmcf-ptype="general">그 동안 우주에서 작동하는 양자 컴퓨터를 설계하는 것은 여러 가지 공학적 어려움을 안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연구진은 우주 여행 중 극심한 온도 변화와 방사선, 진동에도 견딜 수 있는 양자 컴퓨터를 개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a1a47e1d4c7a5a8e3f64ba63cccdb0107ecc8267ca7afc35939e633816375b1" dmcf-pid="KqXk5jf5R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스페이스X 팰컨9로켓이 23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영상=스페이스X 엑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085327262orew.gif" data-org-width="500" dmcf-mid="7WrxazvaR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085327262orew.gif" width="5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스페이스X 팰컨9로켓이 23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영상=스페이스X 엑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2e2a4ffc883fa66ab336c42ce22629c0fe353715c7192ca87a1fbf85af696b6" dmcf-pid="9BZE1A41Mp" dmcf-ptype="general">12명의 연구진은 4주간 독일 항공우주센터 반응형 우주클러스터 역량센터 클린룸에서 위성 탑재체를 조립했고 11일 만에 비행 모델을 완성했다.</p> <p contents-hash="c44288908db0b1a6c62c64218e732a744f63cf10f7db6198fffd3f8ff708b7cc" dmcf-pid="2b5Dtc8td0" dmcf-ptype="general">이 위성은 궤도 진입 약 일주일 후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책임자인 필립 발터는 "기본적인 양자 물리학이든 실용적인 응용 분야든 우주에서 더 많은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노하우를 갖추게 됐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76bbc55c9b08575ef350c608f0c87ac74ee4528dd1c6a46a10ba9f14ad0b719" dmcf-pid="VK1wFk6Fi3" dmcf-ptype="general">우주에 양자 컴퓨터를 배치할 경우 기기가 위치한 현장에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엣지 컴퓨팅(Edge Comp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성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지구에 다시 보낼 필요 없이 탑재된 시스템에서 곧바로 처리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대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27164be4a24e960f2931cc42292fcd977043b722473a49c81f2811fe30cd08cb" dmcf-pid="f9tr3EP3nF" dmcf-ptype="general">양자 컴퓨터는 기존 시스템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작업에도 탁월한 성능을 보인다. 이 프로세서는 빛 기반 광학 시스템을 사용해 빛의 간섭과 회절의 물리적 원리를 이용해 연산을 수행하는데 이런 방식은 계산량이 많은 프로세스에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다.</p> <p contents-hash="3627176aca0f4194db2dbe87fa3b88230cefc0cf5238710a3927911f084386c9" dmcf-pid="42Fm0DQ0nt" dmcf-ptype="general">또, 이 시스템은 적응성이 매우 뛰어나 향후 우주 임무에 맞춰 구성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 임무를 통해 극한 조건에서 양자 하드웨어의 성능과 내구성을 시험할 수 있다. 우주의 혹독한 환경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작동 상태를 유지하는지 조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0df8198de3817869f34537c8a2c352602aef35a3ef6f5135f9bdc19777b790aa" dmcf-pid="8V3spwxpL1"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기후 모니터링, 통신, 심지어 기초 양자 연구 등 광범위한 분야에 잠재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p> <p contents-hash="e6ed1a777ba4ba58c2c4c73cbbc61767fc538db13fd5aa678b4bae45ca25fb4b" dmcf-pid="6f0OUrMUJ5"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국가대표 AI' 노리는 코난테크놀로지, 경기도형 특화 LLM도 만든다 06-25 다음 AI가 책 학습해도 저작권 침해 아냐...미 법원 첫 판결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