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전투원 맞춤형 훈련 가능케 할 전자 섬유, 육군 소령이 개발 작성일 06-25 3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KAIST 스티브 박 교수 연구팀<br>육군 소령인 박규순 박사과정생이 연구</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kvV7se7L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9f8e57d09da5ce58b677181204962579784678dc0b8b09948779e3ed3d77b6" dmcf-pid="HETfzOdze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육군 소령인 박규순(오른쪽) 박사과정생과 연구를 지도한 스티브 박 KAIST 교수./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1245ngik.jpg" data-org-width="793" dmcf-mid="yFuQ9So9e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1245ngi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육군 소령인 박규순(오른쪽) 박사과정생과 연구를 지도한 스티브 박 KAIST 교수./KAIST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e77692962a8d96e5f796cca382a998a9c5773bc594f57a37d75a71be55c4851" dmcf-pid="XDy4qIJqe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1634hltm.png" data-org-width="1800" dmcf-mid="W5uQ9So9J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1634hltm.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9e439b63742d4cdbdd8db0f64057129aeb63431c86dff2f4b47efb5727e56dd6" dmcf-pid="ZwW8BCiBJP" dmcf-ptype="general">육군 소령이 전투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훈련 방식을 제안할 수 있는 전자 섬유 기술을 개발했다. 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고, 대량으로 보급할 수 있을 정도의 경제성도 갖췄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35f9a88bd1d451d7b7d7c9af7e86d1bcf31f5824ad7eb563e7b469f3e7e528a0" dmcf-pid="5rY6bhnbe6" dmcf-ptype="general">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스티브 박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섬유 위에 전자회로를 `그려 넣는'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유연하고 착용 가능한 전자 섬유(E-textile)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특히 이 기술 개발은 현역 육군 소령인 박규순 박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참여해 눈길을 끈다.</p> <p contents-hash="734541ea5b28e7724301c3efa383bb6d717f9afe1a0bd7fc162585cbd822d205" dmcf-pid="1mGPKlLKJ8"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만든 웨어러블 전자 섬유 플랫폼은 3D 프린팅 기술과 신소재 공학적 설계를 결합해 센서와 전극을 섬유에 직접 인쇄했다. `직접 잉크 쓰기(Direct Ink Writing, DIW)‘로 불리는 기술로 센서와 전극의 기능을 하는 특수 잉크를 섬유 기판 위에 원하는 패턴으로 직접 분사해 인쇄하는 방식이다. 복잡한 마스크 제작 과정 없이도 다양한 디자인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35667bb1af58bc7fdab88aa7f0ca20617bf15f2f2c02e66319717dfba8ce83fc" dmcf-pid="tsHQ9So9e4"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기술에 활용하기 위해 고성능 기능성 잉크를 직접 개발했다. 유연성을 가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분자와 전도성을 부여하는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해 최대 102% 늘어나면서도 1만번의 반복 테스트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센서 잉크를 개발했다. 전투원의 격렬한 움직임 속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꾸준히 얻을 수 있다.</p> <p contents-hash="82df24ce882e4bc20ccb713ca738079cdd2717ac4ea060e1f26124a6d95afe56" dmcf-pid="FOXx2vg2Rf"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실제 인체 움직임 모니터링 실험을 통해 개발된 플랫폼의 성능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전자 섬유를 옷의 주요 관절 부위(어깨, 팔꿈치, 무릎)에 프린팅해 달리기, 팔 벌려 높이뛰기, 팔굽혀 펴기 등 다양한 운동 시의 움직임과 자세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beff25ff2e62abe141f652f527f6194b5d807ff973b27092bb2681e466bbaf2" dmcf-pid="3G7aetmen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투복 등 다양한 섬유에 직접 잉크 쓰기(DIW)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전자섬유 개략도./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2911psyo.jpg" data-org-width="643" dmcf-mid="Y2qjJ3OJM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chosunbiz/20250625092812911psy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투복 등 다양한 섬유에 직접 잉크 쓰기(DIW)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전자섬유 개략도./KAIS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f6b5c4e11462fb12064fc32c2f921f305c940c35316206368b779da074c04f2" dmcf-pid="0HzNdFsdL2" dmcf-ptype="general">또 스마트 마스크를 활용해 호흡 패턴을 모니터링하거나, 장갑에 여러 센서와 전극을 프린팅해 기계학습을 통한 물체 인식, 복합적인 촉감 정보를 인지하는 응용 가능성도 시연했다.</p> <p contents-hash="5b6b138f98f5790b097c92922dcada93eb6e58b00d96fd38dcd1e35579e1c09b" dmcf-pid="pXqjJ3OJe9" dmcf-ptype="general">박 소령은 “현재 우리 군은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력자원의 감소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위기이자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며 “전장에서의 생명 존중이 큰 이슈로 떠오르고 는데, 이번 연구는 병과·직책별, 전투의 유형에 따른 맞춤식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우리 장병들의 전투력을 향상하고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1026fa77103481114fbb2670dcc6ad467b3ed0df2e985000ed6221dd9f9df688" dmcf-pid="UZBAi0IiiK"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30d1dad0e5cd775ad3223b4cf31fc1a545b6d67bba206207f837b53e42889c78" dmcf-pid="u5bcnpCneb" dmcf-ptype="general">npj Flexible Electronics(2025), DOI : <span>https://doi.org/10.1038/s41528-025-00414-7</span></p> <p contents-hash="4156f5b6e7ba20d4c1d972e74d0e4782ca9db6ae5785c066ffc50287a61e54d0" dmcf-pid="71KkLUhLLB"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서경덕 "'케이팝 데몬 헌터스'가 중국 문화 표절?…기가 막힐 따름" 06-25 다음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 "미중에 근접한 AI 3강 2∼3년내 달성"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