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선박 용접 한 번에...생기원, 新용접기술 구현 작성일 06-25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HygNqTN1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cf2e0755484162b21da3c2f61ac0e71fda02da189f50576fe8c64373345b4b2" dmcf-pid="WXWajByjZ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레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장비로 용접 중인 모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100107148xmql.png" data-org-width="467" dmcf-mid="QmXlvd7vG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100107148xmq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레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장비로 용접 중인 모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2dc03acc43af2b9a15ce6ed3c147c3bf28250040295a5bb03575e7f152da03" dmcf-pid="YZYNAbWAY9" dmcf-ptype="general">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이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핵심 부품인 연료탱크를 더 빠르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스마트 용접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8f01cc5cf29b9da21f450eccaa99d848b69a4f67c2659856e9df22b0f9d888eb" dmcf-pid="G5GjcKYcYK" dmcf-ptype="general">생기원은 지창욱 스마트정형공정그룹 수석연구원팀이 극저온 특수소재에 맞춰 최적화한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HLAW)'을 개발, LNG 연료탱크를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빨리 제작하게 됐다고 25일 밝혔다.</p> <p contents-hash="01af300a6ba63c3a845d21a6a56cea7c08b98ebda0337f1004ce9d509c4d57fa" dmcf-pid="H1HAk9Gktb" dmcf-ptype="general">LNG 연료탱크는 선박 건조 비용 약 30~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으로, 고품질 정밀 용접이 필요해 제작 기간도 길다. 제작에 아크 용접 방식이 주로 사용돼, 두꺼운 극저온 특수소재는 여러 차례 용접을 해야 했다. 작업 시간과 비용 증가 원인이다.</p> <p contents-hash="f3c43c1804d566016308ff60c9e70616327ddff4b2ee6153faf5818fede59a3f" dmcf-pid="XCmxR1rRYB"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정밀 접합이 가능한 레이저 용접, 이음부 간격이나 단차를 메울 수 있는 아크 용접 장점을 결합한 HLAW를 9% 니켈강 등 특수소재에 최적화했다.</p> <p contents-hash="8277238a87dd723b1eff5dd6035a374a1ace8662e38541822db75eb435aa9ea9" dmcf-pid="ZhsMetmeHq" dmcf-ptype="general">추가 이음부 가공 없이 한 번에 빠르게 접합하는 단층(1-pass) 용접 방식 구현에 성공, 열변형과 균열 등 기존 용접 문제도 함께 해결했다.</p> <p contents-hash="feba8a8f1a2c77783aa4b6394d3c3733ad295be2000df9c2d4ed321973af86ff" dmcf-pid="5lORdFsdXz" dmcf-ptype="general">특히 용접 시 재료 내부까지 깊게 구멍을 뚫는 '키홀' 형성 조건을 최적화해 곡선이나 형상이 복잡한 부품도 단층 용접만으로 깊고 단단하게 접합할 수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ca73fcecc76d53ee1ac5e6f55633e28c4393ebd237a3dc7996c180cb3c52c18" dmcf-pid="1SIeJ3OJH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단층용접부 단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100108453fsdb.png" data-org-width="515" dmcf-mid="x1YNAbWAY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etimesi/20250625100108453fsd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단층용접부 단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019bf0709ddbf6e2d5ec8fc3d07de00a7e29c4a76d368c8cbb52df11d560b68" dmcf-pid="tvCdi0Ii1u" dmcf-ptype="general">키홀은 재료에 열을 깊숙이 전달하는 통로로, 이 구조로 두꺼운 소재도 한 번 용접으로 강도 높게 이어 붙일 수 있다.</p> <p contents-hash="13a62f515b86c03402842ce01a2193448615c3b51c6fdc2f779e82190fa82a41" dmcf-pid="FThJnpCnZU" dmcf-ptype="general">HLAW 공정에 실시간 품질 감지와 즉각 대응이 가능한 인공지능(AI) 기반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도 개발해 스마트 용접기술을 구현했다.</p> <p contents-hash="8743364be03e83b45b34ad0a50c6fd22a8e00a17ce54743fbda7ffc5d8b8cf3f" dmcf-pid="3yliLUhLHp" dmcf-ptype="general">레이저 용접에서만 사용된 포토다이오드 센서를 하이브리드 공정에 최초 적용한 결과로, AI 알고리즘이 용접 중 발생하는 자외선(UV)과 적외선(IR) 신호를 분석·구분해 불량이 감지되면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989f9af7369083b47f4da456d22c3cec3bc9a4a09f7d9877392c57ed9eef99e3" dmcf-pid="0WSnouloX0"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소재 자기 특성 분석 및 결함 예측 시스템도 개발했다. 9% 니켈강은 강한 자성을 띠는 특성 때문에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면 금속 내에 자기장이 남는 '자화 현상'이 발생해 용접 시 결함이 생길 수 있다. 자화 제거 작업에만 1~2일이 소요된다.</p> <p contents-hash="16107cf5ed470b05621a59036512df3effdefd233fbe7e92cd1831c79068bcd2" dmcf-pid="pYvLg7SgY3"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변형량이 2%를 넘거나 잔류자속밀도가 5mT를 초과할 때 용접 과정에서 자화로 인한 결함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p> <p contents-hash="8a32fbd96cf991df4d06587ca2b71afd2c639fa9cc2c70ac80f2d05bfa8ae69e" dmcf-pid="UKzlvd7vtF" dmcf-ptype="general">이 기준을 바탕으로 금속 성분, 가공 정도, 용접 방향, 자기장 세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해 용접 불량 위험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97c102cc95b54a56a11ce636a16cbc9139adadf27bca3b8467136c603a8ea179" dmcf-pid="u9qSTJzTGt" dmcf-ptype="general">이번 성과는 생기원 울산기술실용화본부의 대표과제를 통해 개발돼 국내 조선 및 기자재 기업들과 협력해 현장 실증을 추진 중이다.</p> <p contents-hash="37652b1e35fe6a2c9c21d8bba5b486acc60a95f712de6f6df352b8a38173a238" dmcf-pid="72BvyiqyG1" dmcf-ptype="general">지창욱 수석연구원은 “극저온 연료탱크 용접 공정의 시간과 비용, 결함을 모두 단축할 수 있는 스마트 용접공정 기반을 마련했다”며 “개발된 기술을 수소,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의 탱크 제작에 확대 적용하는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bfe91d165a124b98ba18c0075234b889a735986d8309bf0c5815d2a1311a9641" dmcf-pid="zVbTWnBW15" dmcf-ptype="general">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베이비몬스터, 80년대 힙합 도전…7월 1일 청량 서머송 컴백 06-25 다음 "기계가 기계 해킹하는 시대"…취약점 발견 해커 1위에 AI 챗봇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