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NG 선박 연료탱크, '스마트하게' 빠르고 값싸게 용접 작성일 06-25 3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생기원 연구팀, 관련 ‘스마트 용접기술’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c9LYLbYN0"> <p contents-hash="7bdb48bdbe337305c03fa4d9d1e24aa82913cdda0fdbc9d1d2382af90db24485" dmcf-pid="Kk2oGoKGa3" dmcf-ptype="general">[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한국생산기술연구원(원장 이상목)이 액화천연가스(LNG) 선박의 핵심 부품인 연료탱크를 더 빠르고 값싸게 제작할 수 있는 스마트 용접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3c8f79139ed5a5aff5416922184e38d404c6d974a66ac96c26163865e2369197" dmcf-pid="9EVgHg9HoF" dmcf-ptype="general">LNG 연료탱크는 선박 전체 건조 비용의 약 30~40%를 차지하는 핵심 부품이다. 고품질 정밀 용접이 필요해 제작 기간도 다른 부품보다 길다.</p> <p contents-hash="bb51aba243a109f6b11c6d5c53885622c16cf3154d0fe5529b4603db70298c3e" dmcf-pid="2NBJTJzTNt" dmcf-ptype="general">생기원 스마트정형공정그룹 지창욱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극저온 특수소재에 맞춰 최적화한 ‘레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기술(Hybrid Laser-Arc Welding, HLAW)’을 개발했다. LNG 연료탱크를 더 적은 비용으로 더 빨리 제작하게 됐다.</p> <p contents-hash="56d60c1c70e428b28a197be2e0f631d595a74cdfa70f3a46f6ade196063f5062" dmcf-pid="Vjbiyiqyc1" dmcf-ptype="general">LNG 연료탱크 제작에는 아크 용접 방식이 주로 사용돼 두께가 두꺼운 극저온 특수소재의 경우 여러 차례 반복 용접을 해야 해서 작업 시간과 제작비용 증가의 원인이 돼 왔다.</p> <p contents-hash="f8229f7a536031989d381b1d27deb7d50df2a6b0b530739f996e3daa7db2d33c" dmcf-pid="fAKnWnBWc5"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정밀 접합이 가능한 레이저 용접과 이음부 간격이나 단차를 메울 수 있는 아크 용접의 장점을 결합한 HLAW를 9% 니켈강 등의 특수소재에 최적화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cd44e7396db59ef1ab829d80a44bf80fad98427d8ed481058e9e0c091adf0e" dmcf-pid="4c9LYLbYa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생기원 연구팀이 레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장비로 용접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있다. [사진=생기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inews24/20250625101341581ljtz.jpg" data-org-width="566" dmcf-mid="B1wXQXEQN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inews24/20250625101341581ljt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생기원 연구팀이 레어저-아크 하이브리드 용접장비로 용접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있다. [사진=생기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b93d0bbc5e9a5b760b9cee58b30ca5e498d1881558880804ecf9b6495931097" dmcf-pid="8k2oGoKGNX"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추가 이음부 가공 없이 한 번에 빠르게 접합하는 단층(1-pass) 용접 방식 구현에 성공하며 열변형과 균열 등 기존 용접의 문제도 함께 해결했다.</p> <p contents-hash="95593e695e46398088590dd948bb45cc051efa12587d9d8dd0ac89945cf536cb" dmcf-pid="6EVgHg9HkH" dmcf-ptype="general">용접할 때 재료 내부까지 깊게 구멍을 뚫는 키홀(Keyhole) 형성 조건을 최적화해 곡선이나 복잡한 형상의 부품도 단층(1-pass) 용접만으로 깊고 단단하게 접합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09d73d6f8ebe44d47b23b5476d8fdc7ef3972bd6b16b627c2aca7f3600993722" dmcf-pid="PDfaXa2XaG" dmcf-ptype="general">키홀은 재료에 열을 깊숙이 전달해 주는 통로로 이 구조를 통해 두꺼운 소재도 한 번의 용접으로 강도 높게 이어 붙일 수 있다. HLAW 공정에 실시간 품질 감지와 즉각 대응이 가능한 AI 기반의 공정 모니터링 시스템도 개발해 스마트 용접기술을 구현했다.</p> <p contents-hash="072007ea53b757f376641a532f1a56cc4e5e837d5494f34ed28b07677d43a464" dmcf-pid="Qw4NZNVZjY" dmcf-ptype="general">레이저 용접에서만 사용돼 온 포토다이오드 센서를 하이브리드 공정에 최초 적용한 결과이다. AI 알고리즘이 용접 중 발생하는 자외선(UV)과 적외선(IR) 신호를 분석·구분해 불량이 감지되면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ac27092fad1ae20e7d96cbecc9e857e7218c48d0127b1588eb7e79a1570dc34e" dmcf-pid="xr8j5jf5aW"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소재 자기 특성 분석과 결함 예측 시스템도 개발했다. 9% 니켈강은 강한 자성을 띠는 특성 때문에 외부 자기장에 노출되면 금속 내에 자기장이 남는 자화(Magnetization) 현상이 발생해 용접 시 결함이 생길 수 있다.</p> <p contents-hash="f9e1b0d0ce72f0b8bea5487864b12ff4e179a2bf2cea34297169bb9c00003629" dmcf-pid="yblpnpCnAy" dmcf-ptype="general">이 때문에 자화 제거 작업에만 1~2일이 걸렸는데 연구팀은 변형량이 2%를 넘거나 잔류자속밀도가 5mT를 초과할 때 용접 과정에서 자화로 인한 결함 발생 위험이 줄어든다는 사실을 알아냈다.</p> <p contents-hash="75cafc8af59cb48b49f56f0a6d168fb17fe193a366b61ca0843ab03a9dbce99b" dmcf-pid="WKSULUhLaT" dmcf-ptype="general">이 기준을 바탕으로 금속의 성분, 가공 정도, 용접 방향, 자기장 세기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입력해 용접 불량 위험을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5c7c3a3ce6f92073fe50daf30e7ef61c8769718558ad08e75d85f796f2ffda4b" dmcf-pid="Y9vuouloNv" dmcf-ptype="general">지창욱 수석연구원은 “극저온 연료탱크 용접 공정의 시간과 비용, 결함을 모두 단축할 수 있는 스마트 용접공정 기반을 마련했다”며 “개발된 기술을 수소,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친환경 선박의 탱크 제작에 확대 적용하는 연구를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p> <address contents-hash="35af0df5f72fa4cbac2723fcf1ebe814f8e6929e401a06a343a562d44f26a2b3" dmcf-pid="G2T7g7SgcS" dmcf-ptype="general">/정종오 기자<span>(ikokid@inews24.com)</span> </address>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C레벨 400명 모았다"…윤풍영, SK AX 사명 교체 후 첫 공식 석상서 한 말은? 06-25 다음 배경훈 과기장관 후보 "AI 3강 목표 2~3년 내 반드시 달성하겠다"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