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전투원 맞춤형 훈련 가능…KAIST, 플렉서블 ‘전자섬유’ 개발 작성일 06-25 3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스티브 박 교수·박규순 소령 연구팀<br>10000번 반복 테스트에서도 안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vXHM5wMpk">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6d53eec799b9de2a7961430c611a629b00fe3b4d5e4a092df48243d67ca3d99" dmcf-pid="UTZXR1rRU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KAIST 신소재공학과의 스티브 박(왼쪽 작은 사진) 교수와 박규순 박사과정생(육군 소령) [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ned/20250625111216178ckff.png" data-org-width="793" dmcf-mid="0zZXR1rRz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ned/20250625111216178ckf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KAIST 신소재공학과의 스티브 박(왼쪽 작은 사진) 교수와 박규순 박사과정생(육군 소령) [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cc53811eb85e9754546acf781e8da80aa61c3f4e9e713708e8c4628564d1798" dmcf-pid="uy5ZetmepA" dmcf-ptype="general">현직 육군 소령이 포함된 연구진이 전자섬유 플랫폼을 개발해 전투원 개개인의 특성과 전투 국면을 반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이 기술은 전장에서 활용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함이 입증됐고, 많은 병력에게 보급할 수 있을 정도의 경제성도 갖췄다는 평가다.</p> <p contents-hash="74d68d6b9d76457a295a8cc9c47eb8bef6598377dfc3311cf1d29ffbbf975eff" dmcf-pid="7W15dFsduj" dmcf-ptype="general">KAIST는 신소재공학과의 스티브 박 교수와 박규순 육군 소령(박사과정생) 연구팀이 섬유 위에 전자회로를 그려 넣는 혁신적인 기술을 통해 유연하고 착용 가능한 전자 섬유(E-textile)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p> <p contents-hash="a54d8fa7f00b3910f8d932b65fec66d27507bb32ae4110c25c2f9c4a79bddacc" dmcf-pid="zSSlVTaVzN" dmcf-ptype="general">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전자 섬유 플랫폼은 3D 프린팅 기술과 신소재공학적 설계를 결합해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센서와 전극을 섬유에 직접 인쇄했다.</p> <p contents-hash="51089285e1c17039359b5a2e59f4a971a041e39cb3adc16e40420c7e8a03c0b2" dmcf-pid="qvvSfyNf0a" dmcf-ptype="general">기존 전자 섬유 제작 방식은 복잡하거나 개인별 맞춤형 제작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고자 ‘직접 잉크 쓰기’ 3D 프린팅이라는 적층 방식 기술을 도입했다.</p> <p contents-hash="b08c23efb385ffa37c99b61823bab234f7656eb59d2e2dd9ef02bd9a4d76f3a8" dmcf-pid="BTTv4Wj4ug" dmcf-ptype="general">이 기술은 센서와 전극의 기능을 하는 특수 잉크를 섬유 기판 위에 원하는 패턴으로 직접 분사해 인쇄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복잡한 마스크 제작 과정 없이도 다양한 디자인을 유연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됐다. 이는 수십만 명에 달하는 군 병력에 손쉽게 보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술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735d365859db4a599830956c1a0af7736da20ad11e87aff25eb1da9b0f3f65c4" dmcf-pid="byyT8YA8uo" dmcf-ptype="general">기술의 핵심은 신소재공학적 설계에 기반한 고성능 기능성 잉크 개발이다. 연구팀은 유연성을 가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분자와 전도성을 부여하는 다중 벽 탄소나노튜브를 조합, 최대 102% 늘어나면서도, 1만번의 반복적인 테스트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인장·굽힘 센서 잉크를 개발했다. 이는 전투원의 격렬한 움직임 속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꾸준히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p> <p contents-hash="c3537c70ad29e2d0144dfbacecf1a01c7ab4bc5406a6c4dd0fa8f027a837aed4" dmcf-pid="KWWy6Gc6uL"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실제 인체 움직임 모니터링 실험을 통해 개발된 플랫폼의 성능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개발된 전자 섬유를 옷의 주요 관절 부위(어깨·팔꿈치·무릎)에 프린팅해 달리기, 팔 벌려 높이뛰기, 팔굽혀 펴기 등 다양한 운동 시의 움직임과 자세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했다.</p> <p contents-hash="ed11b267377b32a2121acf55c747751481b4301bd6055dbd82b6d97ae3926808" dmcf-pid="9YYWPHkP0n" dmcf-ptype="general">또 스마트 마스크를 활용해 호흡 패턴을 모니터링하거나, 장갑에 여러 센서·전극을 프린팅해 기계학습을 통한 물체 인식과 복합적인 촉감 정보를 인지하는 응용 가능성도 시연했다.</p> <p contents-hash="13202860b5c1a0dfa1e204507254309eb86093aed16d343f85ed02a80ed5deb3" dmcf-pid="2GGYQXEQFi" dmcf-ptype="general">박 소령은 “현재 우리 군은 인구절벽으로 인한 병력자원의 감소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위기이자 기회를 마주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병과·직책별, 전투의 유형에 따른 맞춤식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우리 장병들의 전투력을 향상하고 생존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p> <p contents-hash="f2b8a786fa289bcde20f8160e6f8727b1913fbc1db6dd7045f57dc6b7a124878" dmcf-pid="VHHGxZDxuJ"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 결과는 전기·전자·재료공학 분야 국제 학술지 ‘엔피제이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ible Electronics)’ 지난달 27일자에 게재됐다. 구본혁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넥슨 자회사 네오플 노조 게임업계 첫 전면파업 돌입 06-25 다음 삼성 파운드리 사업 전략 수정…1.4나노 개발보다 2·4나노 수율 집중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