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시총이 3.6조 달러인 이유는 생명과학 기대감 때문" 작성일 06-25 4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승구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장, 이노바이오카페서…정운채 박사 "대전,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0qiOwxpeS"> <p contents-hash="29768b888f8cf6c442d02a26ced906cab4c5c10895ed2735c30dcd3e2af3e78c" dmcf-pid="2pBnIrMURl"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박희범 기자)<span>"엔비디아 최근 주식 시총을 보니 3.6조달러나 됐다. 애플이나 마이크로소프트도 3조 달러다. 그 이유가 바로 미래 생명과학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span></p> <p contents-hash="2aa2d245be2fa132cb12979838b091df7b0b0946da5ca1f83a52826358d960ac" dmcf-pid="VUbLCmRuMh" dmcf-ptype="general">이승구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장(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국가 바이오파운드리 구축과 민간협력 개발'을 주제로 한 '이노바이오 카페' 강연에서 바이오파운드리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 같은 시총 흐름은 2008~2009년 유전체 데이터 폭증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8b064f2b79d2e6579f162d52d970998fb3fbe5d846d6153c6d5bdfb522827c7b" dmcf-pid="fuKohse7iC" dmcf-ptype="general">이 행사는 (재)대전테크노파크가 주최하고 생명공학연우협동조합이 주관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4de7e6fcf29448995a377b58233a1d7361e7a84dd477b0e26016fe95655868a" dmcf-pid="479glOdzJ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승구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장이 25일 비이오파운드리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0799tcig.jpg" data-org-width="450" dmcf-mid="bXW2oJzTR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0799tcig.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승구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장이 25일 비이오파운드리 사업에 대해 설명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e6db1020c08c7a2003d951da3f5090169c6c566018cf8015ab470a5c21309c0" dmcf-pid="8z2aSIJqiO" dmcf-ptype="general"><span>이 단장은 "현재 빅데이터 기반 설계 제작에 의한 바이오 파괴와 혁신이 진행중"이라며 "10년 내 억대 연구비 정도만 투입하면 1년 이내에 원하는 유전체를 만들어내는 시대가 올 것"으로 전망했다.</span></p> <p contents-hash="4bc07c47a9af146917efea04d15533d8a343ae03b2c5233a058a5b1791bf26eb" dmcf-pid="6qVNvCiBMs" dmcf-ptype="general">"우리의 경제, 사회, 삶을 바꿀 혁신이 바로 합성생물학에서 일어날 것입니다. 바이오파운드리 플랫폼이 그 기반이 될 것입니다."</p> <p contents-hash="8190ccaefdfede9a04aa4abee043bdf97656de72c6b75e8517fa4abd0d0b231f" dmcf-pid="PaEX9qTNnm" dmcf-ptype="general">이 단장은 "<span>인터넷에 의해 러시아 경제 규모와 비슷한 조 달러 단위 시장이 형성되었듯 합성생물학에서도 </span><span>그 같은 일이 </span><span>10~20년내 반드시 일어날 것"이라며 "대략 이 시기가 되면 연간 4조 달러에 이르는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측했다.</span></p> <p contents-hash="c7a2d6872a177c02215e15fcd69132ca72ee07a37c8db80b20a7f4beb9e470a7" dmcf-pid="QNDZ2ByjMr" dmcf-ptype="general"><span>이 단장은 또 합성 생물학이 부상한 배경에 대해 "고성능 세포 설계와 제작기술이 초병렬 자동화 기술과 인공지능(AI), 부품/모듈화 등으로 인해 지난 </span><span>2010년부터 주목받았다"며 "톱 다운 방식(유전자 편집으로 생명체 기능연구)에서 바텀업 방식(생명체 기능을 DNA 및 구성요소 설계</span><span>·</span><span>제작</span><span>·</span><span>조립으로 만드는 일)으로 </span><span>최근 </span><span>연구 </span><span>및 </span><span>및 </span><span>생산 </span><span>동향도 </span><span>전환되고 </span><span>있다"고 부연설명했다.</span></p> <p contents-hash="22dca1e04f1c56a2465d900c1a4d3c138b23d17b3bd989d31631e6bb812c05c1" dmcf-pid="xjw5VbWAiw" dmcf-ptype="general">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한 바이오파운드리 구축사업에 대해서도 소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37fd6a2ff08445c3f81edb7cfa98e9b8d5e199946dddf9c7548c3f44a868d7b" dmcf-pid="ypBnIrMUn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생명공학연우협동조합이 25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이노바이오 카페를 개최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2090gdjs.jpg" data-org-width="640" dmcf-mid="KkE1fKYcL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2090gdjs.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생명공학연우협동조합이 25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이노바이오 카페를 개최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9cc12039720d7b2b940cbe971624437fffdd22a3ce8e5c17e6f838c776be9cd" dmcf-pid="WUbLCmRuJE" dmcf-ptype="general">이 파운드리는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총 1천263.3억 원을 들여 세포제작 월 3천 개, 전문인력 205명 양성, 자동화 워크플로우 개발 38건, DBTL 사이클 단축률 100%를 목표로 한다.</p> <p contents-hash="d3830844bf89a1857bbe61fa6b6a279d4a3ac460aa82bfe81f3e79b6484aca58" dmcf-pid="YuKohse7ek" dmcf-ptype="general">이 단장은 <span>단순한 인프라 조성만이 아니라, 바이오파운드리 산업생태계를 만들고 인력을 양성하는 일까지 이 사업에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span></p> <p contents-hash="8b1c49647c007241c1725410ab2460038978177838888cc15af8a5c6da2fc293" dmcf-pid="G79glOdznc" dmcf-ptype="general"><span>이 단장은 또 "합성 생물학 진흥법이 올해 통과되면서 현재 생명연 생명공학 정책센터 중심으로 시행령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span></p> <p contents-hash="a5248b06be7d89408e7ec0d93a60f915883cb1783e30fd10dbd0b695a83c9e0c" dmcf-pid="Hz2aSIJqnA" dmcf-ptype="general">장비 국산화를 위해선 산업부-과기정통부 지원을 받아 기계연-kisti 등과 협력 사업을 런칭해 가고 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69d6ea42e45177e7e9457a2f9c7da8397abcc3e60e8501ef72892d20757201c0" dmcf-pid="XqVNvCiBJj" dmcf-ptype="general"><span>이어 생명연 바이오파운드리 사업단 정운채 박사는 추가 강연자로 나서 합성생물학과 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사업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했다.</span></p> <p contents-hash="0c71a59df6f8cfa9c2277fc1d811a453b971ed323d36a38edb493087a0aac138" dmcf-pid="ZBfjThnbJN" dmcf-ptype="general">정 박사는 "선진국과의 기술차가 75%라고 KISTEP에서는 말하고 있지만, 요소 기술을 보면 좀 다른 면도 있다"며 "대전에선 이를 육성하기 위해 글로벌 혁신특구가 필요했는데, 다행히도 지난 달 지정됐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d90862face4f6e73bb3b050ab1639203a767d65ecaa189368a5be8ac493f411" dmcf-pid="5b4AylLKM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 정운채 박사가 강연 중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3372cyur.jpg" data-org-width="640" dmcf-mid="9PDt49GkJ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6/25/ZDNetKorea/20250625122133372cyu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바이오파운드리사업단 정운채 박사가 강연 중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b3e308586aa853821984d4a807088347ece8a3657328a1a590c6b623f6baabc" dmcf-pid="1K8cWSo9Lg" dmcf-ptype="general">글로벌 혁신특구가 필요했던 이유로 ▲해외보다 엄격한 국내 규제 ▲기술역량 미흡 ▲중소기업진입 장벽 등 3가지를 꼽았다.</p> <p contents-hash="716d556672914c3591ad1b03fc04880a9537b25ea379aaa7e6099e2093f997e3" dmcf-pid="t96kYvg2Ro" dmcf-ptype="general">한편 정 박사는 국내 규제 어려움 겪었던 기업 사례로는 제노포커스와 제노켐을 꼽았다. </p> <p contents-hash="ac5cc9619ffb22357719c5652b1c99a5fb9ffcc253cfc5f88c9a9851ac3a0c1f" dmcf-pid="F2PEGTaVnL" dmcf-ptype="general">제노포커스는 균주 안전성 심사 가이드라인이 명확하지 않아 힘들었고, 제노켐은 2018년 시알릴락토스에 대한 미FDA 인증도 받았지만, 국내 LMO 위탁생산시설이 없어 2023년까지 5년간 판매 및 수출을 못했다고 언급했다.</p> <p contents-hash="2a53016758ae8877811e0697e73d5d2686389ec2ee4099b657ff4575b0eefad7" dmcf-pid="3vH2oJzTMn" dmcf-ptype="general">박희범 기자(hbpark@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가성비는 옛말" 샤오미, '체험·AS' 앞세워 삼성·애플에 정면 도전 06-25 다음 [경륜] 하반기 등급 심사 발표…류재열·황승호 슈퍼특선 승급 06-2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